"만일 어떤 비구가 너희들에게 와서 그가 이미 얻은 지혜를 말하면서 '나의 생은 이미 다하고, 범행은 이미 서고, 할 일은 이미 마쳐, 다시는 후세의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안다'고 말하거든 너희들은 그 말을 듣고는 마땅히 '그렇다' 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라. '그렇다' 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한 뒤에는 다시 그 비구에게 이렇게 물어 보라.
'현자여, 세존께서는 색성음(色盛陰 : 色取蘊) 각성음(覺盛陰 : 受取蘊) 상성음(想盛陰 : 想取蘊) 행성음(行盛陰 : 行取蘊) 식성음(識盛陰 : 識取蘊), 이 5성음(盛陰)에 대해 말씀하셨다. 현자여, 이 5성음을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보아야 그것에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 수 있겠는가?'
이렇게 물었을 때 만일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이미 법을 세운 자라면 응당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여러분, 색성음은 과(果)가 아니요, 공허한 것이며, 욕심 낼 것이 아니요, 항상 있는 것도 아니며, 의지할 것도 아니요, 변하는 법이다. 나는 그런 줄을 알기 때문에 만일 색성음에 대해서 욕망이 있고 물듦이 있으며, 집착함이 있고 묶임과 묶임의 번뇌가 있으면, 그것을 없애고 욕심 내지 않으며 마음을 멸하고 쉬고 그쳐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상 행에 대해서도 또한 그러하다. 또 식성음은 과(果)가 아니요, 공허한 것이며, 욕심 낼 것이 아니요, 항상 있는 것도 아니며, 의지할 것도 아니요, 변하는 법이다. 나는 그런 줄을 알기 때문에 만일 식성음에 대해서 욕망이 있고 물듦이 있으며, 집착이 있고 묶임과 묶임의 번뇌가 있으면, 그것을 없애고 욕심 내지 않으며 마음을 멸하고 쉬고 그쳐,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안다.
여러분, 나는 이 5성음(盛陰)을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보기 때문에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된다.'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이미 법을 세운 자라면 틀림없이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너희들은 그런 말을 들으면 마땅히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여야 하느니라.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한 뒤에는 다시 그 비구에게 이렇게 물어 보라.
'현자여, 세존께서는 4식(食)에 대하여 말씀하셨는데, 중생들은 그것으로써 살고 몸을 기르게 된다. 어떤 것이 그 넷인가? 첫째는 거칠거나 섬세한 단식( 食)이요, 둘째는 갱락식(更樂食)이요, 셋째는 의념식(意念食)이요, 넷째는 식식(識食)이다.
현자여, 이 네 가지 음식을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보아야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되는가?'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법을 세운 자라면 마땅히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여러분, 나는 단식에 대해서 만족하지도 않고 실망하지도 않으며, 의지하지도 않고 얽매이지도 않으며, 물들지도 않고 집착하지도 않아 해탈을 얻고, 다 해탈하여 마음에 전도됨이 없다. 그리하여 생은 이미 다하고, 범행은 이미 서고, 할 일은 이미 마쳐, 다시는 후세의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안다. 이와 같이 갱락식과 의념식에 있어서도 또한 그러하며, 식식에 대해서도 만족하지도 않고 실망하지도 않으며, 의지하지도 않고 얽매이지도 않으며, 물들지도 않고 집착하지도 않아 해탈을 얻고, 모두 해탈하여 마음에 전도됨이 없다. 그리하여 생은 이미 다하고, 범행은 이미 서고, 할 일은 이미 마쳐, 다시는 후세의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안다. 여러분, 나는 이 4식에 대하여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보기 때문에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된다.'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이미 법을 세운 자라면 마땅히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너희들은 그런 말을 들으면 마땅히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해야 하느니라.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한 뒤에는 다시 그 비구에게 이렇게 물어 보라.
'현자여, 세존께서는 4설(說)에 대하여 말씀하셨다. 어떤 것이 그 네 가지인가? 첫째는 견견설(見見說)이요, 둘째는 문문설(聞聞說)이요, 셋째는 식식설(識識說)이요, 넷째는 지지설(知知說)이다. 현자여, 이 4설에 대하여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보아야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되는가?'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법을 세운 자라면 마땅히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여러분, 나는 견견설에 대해서 만족하지도 않고 실망하지도 않으며, 의지하지도 않고 얽매이지도 않으며, 물들지도 않고 집착하지도 않아 해탈을 얻고, 모두 해탈하여 마음에 전도됨이 없다. 그리하여 생은 이미 다하고, 범행은 이미 서고, 할 일은 이미 마쳐, 다시는 후세의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안다. 이와 같이 문문설 식식설에 있어서도 또한 그러하며, 지지설에 대해서도 만족하지도 않고 실망하지도 않으며, 의지하지도 않고 얽매이지도 않으며, 물들지도 않고 집착하지도 않아 해탈을 얻고, 모두 해탈하여 마음에 전도됨이 없다. 그리하여 생은 이미 다하고, 범행은 이미 서고, 할 일은 이미 마쳐, 다시는 후세의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안다. 여러분, 나는 이 4설을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보기 때문에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된다.'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이미 법을 세운 자라면 마땅히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너희들은 그런 말을 들으면 마땅히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여야 하느니라.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한 뒤에는 다시 그 비구에게 이렇게 물어 보라.
'현자여, 세존께서는 안처(眼處) 이처(耳處) 비처(鼻處) 설처(舌處) 신처(身處) 의처(意處) 등 이 안[內]의 6처(處)에 대하여 말씀하셨다. 현자여, 이 안의 6처를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보아야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되는가?'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법을 세운 자라면 마땅히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여러분, 나는 눈[眼]과 눈의 식[眼識]과 눈의 식으로 아는 법을 함께 알아 두 법을 다 알아 마쳤다. 여러분, 만일 눈과 눈의 식과 눈의 식으로 아는 법의 즐거움을 다하고 나서, 그것을 없애고 욕심 내지 않으며 마음을 멸하고 쉬고 그치면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된다. 이와 같이 귀 코 혀 몸에 있어서도 또한 그러하다. 또 뜻[意]과 뜻의 식[意識]과 뜻의 식으로 아는 법을 함께 알아 두 법을 다 알아 마쳤다. 여러분, 만일 뜻과 뜻의 식과 뜻의 식으로 아는 법의 즐거움을 다하고 나서 그것을 없애고 욕심 내지 않으며 마음을 멸하고 쉬고 그치면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없어져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된다. 여러분, 나는 안의 6처를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보기 때문에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된다.'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이미 법을 세운 자라면 마땅히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너희들은 그런 말을 들으면 마땅히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여야 하느니라.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한 뒤에는 다시 그 비구에게 이렇게 물어 보라.
'현자여, 세존께서는 땅 경계[地界] 물 경계[水界] 불 경계[火界] 바람 경계[風界] 허공 경계[空界] 식 경계[識界] 등의 6계(界)에 대하여 말씀하셨다. 현자여, 이 6계를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보아야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되는가?'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이미 법을 세운 자라면 마땅히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여러분, 나는 땅 경계를 내 소유라고 보지 않고, 나는 땅 경계의 소유도 아니며, 땅 경계는 신(神)도 아니다. 그런데 이른바 3수(受)는 땅 경계를 의지하여 머무르고 식의 사자(使者)는 이를 집착한다. 그것을 없애고 욕심 내지 않으며 마음을 멸하고 쉬고 그치면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된다.
이와 같이 물 경계 불 경계 바람 경계 허공 경계도 또한 그러하다. 식 경계는 내 소유가 아니요, 나도 식 경계의 소유가 아니며, 식 경계는 신(神)도 아니다. 그런데 3수는 식 경계를 의지하여 머무르고 식의 사자는 이를 집착한다. 그것을 없애고 욕심 내지 않으며 마음을 멸하고 쉬고 그치면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된다. 여러분, 나는 이 6계를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보기 때문에 집착함이 없고 번뇌가 다하여 마음이 해탈한 줄을 알게 된다.'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이미 법을 세운 자라면 마땅히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너희들은 그런 말을 들으면 마땅히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여야 하느니라.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한 뒤에는 다시 그 비구에게 이렇게 물어 보라.
'현자여, 어떻게 알고 보아야 이 안 몸[內身]이 함께 가지고 있는 식과 또 바깥의 모든 모양과 일체의 나와 내가 지은 것과 또 교만의 번뇌를 끊고 그것을 뿌리째 뽑아 다시는 나지 않게 하겠는가?'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이미 법을 세운 자라면 마땅히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여러분, 나는 출가하여 도를 배우기 전에 이미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것과 울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슬퍼하는 것을 싫어해서 이 큰 괴로움의 무더기를 끊고자 하였다. 여러분, 나는 그것을 싫어한 끝에 이렇게 관찰하였다.
(집이란 지극히 비좁고 괴로운 곳이요, 집을 나가 도를 배우는 것은 시원하고 넓고 크다. 내가 지금 집에서 살면 쇠사슬에 묶여 한 평생 범행(梵行)을 깨끗이 닦을 수 없다. 나는 이제 적거나 많거나 상관없이 재물을 버리고, 또 적거나 많거나 상관없이 친척을 버리고, 수염과 머리를 깎고, 가사를 입고, 지극한 믿음으로 출가하여 집 없이 도를 배우자.)
여러분, 나는 그 뒤에 적거나 많거나 상관없이 재물을 버리고, 적거나 많거나 상관없이 친척을 버리고, 수염과 머리를 깎고, 가사를 입고, 지극한 믿음으로 출가하여 집 없이 도를 닦았다.
여러분, 나는 친척과 재물을 버리고 출가하여 도를 배운 뒤에는 비구가 갖추어야 할 요목을 배우고, 금계(禁戒)를 닦아 익히며 종해탈(從解脫)을 지켜 보호하였다. 또 위의와 예절을 잘 지키고, 털끝만한 죄를 보아도 언제나 두려워하였으며 학문의 요긴한 뜻을 받아 가졌었다.
여러분, 나는 살생을 여의고 살생을 끊었다. 그래서 칼이나 막대기를 버렸고, 자신에 대해서도 부끄러워하고 남에게도 부끄러워하였으며, 사랑하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으로 곤충에 이르기까지 모두를 이익하게 하였으니, 나는 살생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또 나는 도둑질을 여의고 도둑질을 끊었다. 그래서 남이 준 뒤에야 받고, 주는 것 받기를 좋아하였으며, 언제나 보시하기를 좋아하고 기뻐하여 아낌이 없었고, 그리고 그 갚음을 바라지 않았으니, 나는 도둑질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범행이 아닌 것을 여의고 범행이 아닌 것을 끊었다. 그래서 범행을 부지런히 닦고 묘한 행을 힘써 닦아 청정하고 더러움이 없었고, 욕심을 여의고 사음을 끊었으니, 나는 범행이 아닌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거짓말을 여의고 거짓말을 끊었다. 그래서 진실한 말을 하여 진실을 즐거워하고 진실에 머물러 움직이지 않았으며, 일체를 믿어 세상을 속이지 않았으니, 나는 거짓말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이간질하는 말을 여의고 이간질하는 말을 끊었다. 그래서 이간질하는 말로 사람들의 화합을 깨뜨리지 않았다. 여기서 들은 말을 저기에 옮겨 이것을 깨뜨리려 하지 않았고, 저기서 들은 말을 여기에 옮겨 저것을 깨뜨리려 하지 않았다. 갈라서려는 자는 합치게 하고 합친 자에겐 서로 기뻐하게 하며, 당파를 만들지 않고 당파를 즐기지 않으며 당파를 칭찬하지 않았으니, 나는 이간질하는 말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추악한 말을 여의고 추악한 말을 끊었다. 만일 말하는 바 말씨가 추하고 거칠며 악한 음성이 귀에 거슬리면,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고 사랑하지 않는 것이므로 남을 괴롭게 하고 안정을 얻지 못하게 한다. 그래서 나는 이런 말을 끊었다. 만일 그 말이 맑고 온화하며 부드럽고 윤택해 귀에도 순하고 마음에도 들면, 기뻐할 만하고 사랑할 만하여 남을 안락하게 하고, 말과 음성이 함께 분명하여 남을 두렵게 하지 않고 남을 안정되게 한다. 나는 이런 말을 하나니, 나는 추한 말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꾸밈말을 여의고 꾸밈말을 끊었다. 때에 맞는 말 참말 법다운 말 이치에 맞는 말 고요한 말을 하여 다툼을 그치게 하는 것을 좋아하고, 때를 따라 적당함을 얻고, 잘 가르치고, 잘 꾸짖나니, 나는 꾸밈말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살림살이를 여의고 살림살이를 끊었다. 그래서 저울과 말[斗]과 섬을 버렸고, 또한 재물을 받지 않으며, 사람을 결박하지 않고, 말질을 속이려 하지 않으며, 조그마한 이익으로 남을 속이지 않나니, 나는 살림살이에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과부나 처녀 받는 것을 여의고, 과부나 처녀 받는 것을 끊었으니, 나는 과부나 처녀 받는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종(奴) 받는 것을 여의고, 종 받는 것을 끊었으니, 나는 종 받는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코끼리 말 소 염소 받는 것을 여의고, 코끼리 말 소 염소 받는 것을 끊었으니, 나는 코끼리 말 소 염소 받는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닭이나 돼지 받는 것을 여의고, 닭이나 돼지 받는 것을 끊었으니, 나는 닭이나 돼지 받는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농사나 상점 받는 것을 여의고, 농토나 점포 받는 것을 끊었으니, 나는 농토나 점포 받는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생벼 보리 콩 받는 것을 여의고, 생벼 보리 콩 받는 것을 끊었으니, 나는 생벼 보리 콩 받는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술을 여의고, 술을 끊었으니, 나는 술 마시는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높고 넓고 큰 평상 쓰는 것을 여의고 높고 넓고 큰 평상 쓰는 것을 끊었으니, 나는 높고 넓고 큰 평상 쓰는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화만 영락 바르는 향 연지분 쓰는 것을 여의고 화만 영락 바르는 향 연지분 쓰는 것을 끊었으니, 나는 화만 영락 바르는 향 연지분 쓰는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노래 춤 풍류와 그것을 보고 듣는 것을 여의고 노래 춤 풍류와 그것을 보고 듣는 것을 끊었으니, 나는 노래 춤 풍류를 보고 듣는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금[生色] 은[像] 등 보배를 받는 것을 여의고 금 은 등의 보배 받는 것을 끊었으니, 나는 금 은 등의 보배 받는 것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오후의 음식을 여의고 오후의 음식을 끊고, 하루에 한 끼 먹으며, 밤이나 공부 때에는 먹지 않나니, 나는 오후의 음식에 있어서 내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이미 이 거룩한 계의 몸을 성취하였다. 그리고 또 나는 만족할 줄을 안다. 옷은 다만 몸을 가리기 위해 가지고, 음식은 다만 몸을 기르기 위해 먹는다. 내가 가는 곳마다 옷과 발우가 나를 따르니 더 이상 돌아보거나 그리울 것이 없다. 마치 기러기가 두 날개로 공중을 나는 것과 같나니, 나도 또한 그와 같다. 여러분, 나는 이미 이 거룩한 계의 몸과 또 매우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성취하였으며, 다시 모든 감각기관[根]을 지켜 언제나 막기를 생각하고 밝게 통달하기를 생각하며, 그 생각하는 마음을 잘 지켜 보호하여 성취하게 되었다. 그래서 항상 생각을 일으키기를 좋아하여 혹 눈으로 빛깔을 보더라도 그 모양을 받아들이지 않고, 또한 그 빛깔을 음미하지도 않는다. 무슨 까닭인가? 분노하고 다투게 되기 때문에 눈을 지켜 단속하여 마음 속에 탐욕 근심 슬픔과 착하지 않은 악법을 일으키지 않으며, 그리로 나아가기 위해 눈을 지켜 단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귀 코 혀 몸에 있어서도 또한 그러하며, 혹 뜻으로 법을 알더라도 그 모양을 받아들이지 않고, 또한 그 법을 음미하지 않는다. 무슨 까닭인가? 분노하고 다투게 되기 때문에 뜻을 지켜 단속하여 마음 속에 탐욕 근심 슬픔과 착하지 않은 악법을 일으키지 않으며, 그리로 나아가기 위해 뜻을 지켜 단속하는 것이다.
여러분, 나는 이 거룩한 계의 몸과 아주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성취하고, 모든 감각[根]을 깨끗이 단속하고 들고남을 바로 알아 잘 관찰하고 분별하며, 굽히고 펴기와 구부리고 우러르기와 몸가짐을 바로 알고, 승가리와 여러 가지 옷을 바르게 입고 발우를 바르게 가지며, 다니고 서기와 앉고 눕기와 잠자고 깨기와 말하고 잠잠하기를 바르게 알고 있다.
여러분, 나는 이미 이 거룩한 계의 몸과 매우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성취하고 또한 거룩한 계로 모든 감관을 단속하고 들고남을 바르게 알게 되었다.
그리고 멀리 떨어져 일 없는 곳에서 혼자 살거나, 혹은 나무 밑이나 비고 편안하고 고요한 곳이나 산바위 돌집 한데[露地] 짚무더기로 가고, 혹은 숲 속이나 혹은 화장터로 갔다. 여러분, 나는 일 없는 곳에 있거나 혹은 나무 밑이나 비고 편안하고 고요한 곳에 가서는 니사단을 펴고 가부좌를 하고 앉아 바른 몸과 바른 소원으로 생각이 다른 데로 향하지 않게 하였다. 탐욕을 끊어 없애고 마음에는 다툼이 없어 남의 재물이나 모든 생활 도구를 보아도 탐욕을 일으켜 내 소유로 만들려고 하지 않았으니, 나는 탐욕에 있어서 그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이와 같이 성냄 수면 들뜸 뉘우침에 있어서도 또한 그러하며, 의심을 끊고 미혹을 없애 모든 착한 법에 대해서 망설임이 없나니, 나는 의혹에 있어서 그 마음을 깨끗이 버렸다. 여러분, 나는 이미 마음을 더럽히고 지혜를 약하게 하는 이 5개(蓋)를 끊고 욕심을 여의고 착하지 않은 악법을 여의며 나아가 제 4 선을 증득하고 성취하여 노닌다. 여러분, 나는 이미 이러한 청정하고 고요한 마음을 얻어 더러움이 없고, 번거로움이 없고, 부드럽고 연하며, 잘 머물러 움직이지 않는 마음을 얻고, 번뇌가 다한 신통의 지혜로 나아가 스스로 징험을 얻었다.
여러분, 나는 이 괴로움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알고, 이 괴로움의 발생과 이 괴로움의 소멸과 이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알았다. 또 이 누(漏)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알고, 이 누의 발생과 이 누의 소멸과 이 누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알았다. 나는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보았기 때문에 욕루(欲漏)에서 마음이 해탈하고, 유루(有漏)와 무명루(無明漏)에서 마음이 해탈하고, 해탈한 뒤에는 곧 해탈한 줄을 알았다. 그리하여 생은 이미 다하고, 범행은 이미 서고, 할 일은 이미 마쳐, 다시는 후세의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알았다.
여러분, 나는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보았기 때문에 안 몸에 있는 식과 바깥의 모든 모양과 일체의 나와 내가 지은 것과 또 교만을 끊고 뿌리째 뽑아 다시는 나지 않게 하였다.'
번뇌가 다한 비구로서 범행을 알고 이미 법을 세운 자라면 마땅히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너희들은 그런 말을 들으면 마땅히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여야 하느니라.
그렇다고 인정하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한 뒤에는 다시 그 비구에게 이렇게 말하라.
'현자여, 현자가 처음에 말하였을 때 우리는 이미 옳다 하고 마음으로 기뻐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현자에게서 높고 또 높으며 지혜로운 대답의 변재를 듣고 싶었다. 그래서 우리는 현자에게 묻고 또 물은 것이다.'"
說智經 대정장 1/732 상~734 상; 한글대장경 중아함경 인터넷판, pp. 1397~1406.
'아함경 주제별 정리 >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반(涅槃) (2) 열반은 무엇을 의지하는가? (0) | 2013.08.27 |
---|---|
열반(涅槃) (1) 열반이란? (0) | 2013.08.27 |
해탈(解脫) (6) 너는 지금 어떻게 부처를 보았으며 법을 듣고는 의심이 없는가. (0) | 2013.08.27 |
해탈(解脫) (5) 큰 마음의 해탈과 한량없는 마음의 해탈 (0) | 2013.08.27 |
해탈(解脫) (4) 心解脫이 아직 익숙하지 못하여 만일 익히고자 한다면, (0) | 201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