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생활 (32) 재가자의 전반적인 생활에 대한 법문 (중아함경 135 선생경)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왕사성(王舍城)을 유행하실 적에 두꺼비숲[蝦 林]에 머무셨다. 그 때 선생(善生) 거사(居士)의 아버지는 임종 때 6방(方)에 대하여 그 아들에게 유언으로써 잘 가르쳐 훈계하였다. "선생아, 내가 죽은 뒤에는 너는 마땅히 합장하고 6방(方)을 향하..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9.04
재가생활 (31) 두려울때는 불법승 삼보를 생각하라. 세존께서 그 상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넓은 벌판을 가다가 온갖 두려움이 생겨 마음이 놀라 온 몸의 털이 곤두서거나 할 때에는 마땅히 여래에 대한 일을 생각하라. 곧 '여래․응공․등정각……(내지)…… 불세존이시다'라고 그와 같이 생각하면, 두려움은 곧 사라지게 될 ..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9.04
재가생활 (30) 재가자의 수행성과 혹 어떤 우바새로서 이 법과 율에서 모든 번뇌를 없애고……(내지)…… 후생에는 몸을 받지 않을 그런 사람이 있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바차 종족에게 말씀하셨다. 다만 하나 혹은 둘, 셋 내지 5백 우바새뿐만이 아니다. 많은 우바새가 모든 범행을 닦고, 이 법과 율 안에서 욕계의 다섯 가..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9.04
재가생활 (29) 만일 네가 생을 받고 싶거든, 부디 발원하여 호귀한 집에 나고 비천한 집에 나지 말라.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슈라아바스티이의 제타 숲<외로운 이 돕는 동산>에 계셨다. 그 때에 존자 샤아리푸트라는 세존님께 나아가 땅에 엎드려 발아래 예배하고 한쪽에 앉았다가, 조금 뒤에 물러앉아 사뢰었다. "세존께서는 언제나 뛰어나고 귀하며 높은 지위를 칭찬하시고 비천한 이..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9.04
재가생활 (28) 네 종류의 부인 "장자 며느리야, 알아야 한다. 대개 부인으로서 네 가지 법이 있다. 그 네 가지란 무엇인가. 어머니와 같은 부인이 있고 친척과 같은 부인이 있으며 도적과 같은 부인이 있고 종과 같은 부인이 있느니라. 너는 지금 알아야 한다. 어머니와 같은 부인은, 때를 따라 남편을 보살펴 모자람이 ..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9.04
재가생활 (27) 전륜성왕의 교화방법 '전륜성왕은 어떤 법으로 교화하였나이까.' 아버지는 대답하였다. '법을 공경하고 법을 존중하며 법을 생각하고 법을 기르며 법을 자라게 하고 법을 성하게 하며 법을 크게 하나니, 이 일곱 가지 법을 행하면 성왕의 다스림에 알맞으며 또 七보를 이룩할 수 있느니라.' 왕은 다시 물었다. '..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9.04
재가생활 (26) 나라를 오래 보존하지 못하고 적이 많게 되는 국왕의 열가지 부덕과 반대 열가지 만일 국왕으로서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오래 보존하지 못하고도 적이 많을 것이다. 열 가지 법이란 무엇인가. 만일 국왕으로서 인색하고 탐하여 조그만 일로 곧 화를 내어 의리를 살피지 않으면 그것은 첫째 법의 성취로서 오래 보존하지 못하고 나라에는 도적이 많을 것이다. 또 그 왕..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8.29
재가생활 (25) 시주는 꾸준히 노력하고 계율을 가지는 여러 성현들을 어떻게 섬기고 공양해야 하는가. 시주로서 꾸준히 노력하고 계율을 가지는 많이 들은 성현들을 받들어 섬기고 공양할 때에는, 마치 헤매는 이에게 그 길을 가리키고, 양식 떨어진 이에게 먹을 것을 주며 두려워하는 이에게 근심을 없게 하고 놀란 이에게 두려움이 없게 하며 돌아갈 곳 없는 이를 보호해 주고 장님에게는 ..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8.29
재가생활 (24) 믿음이 독실한 우바새가 그 딸을 어떻게 가르쳐 성취시키겠는가? 마치 믿음이 독실한 저 우바새가 그 딸을 가르치는 것과 같다. 즉 ‘네가 집에 있거든 난다[難陀]의 어머니 구수다라 우바이와 같이 되라. 왜 그러냐 하면 그들은 그 표준이요 그 모범이며, 세존의 인증을 받은 제자는 곧 난다의 어머니 구수다라 우바이이기 때문이다. 만일 네가 머리를 ..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8.29
재가생활 (23) 독실한 믿음을 가진 어머니가 외아들을 어떻게 가르쳐 사람이 되게 할까? 마치 저 믿음이 독실한 우바새가 그 아들을 이렇게 가르치는 것과 같다. 즉 ‘네가 집에 있거든 저 칫타[質多] 장자나 상동자(象童子)와 같이 되라. 왜 그러냐 하면 그들은 그 표준이요 그 모범이기 때문이다. 세존의 인증을 받은 제자는 곧 칫다 장자요 상동자다. 또 네가 만일 수염과 머..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