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문이여, 마땅히 세 가지 불[火]을 부지런히 공양하고 때를 따라 공경하며 예배하고 받들어 섬겨, 그들에게 안락을 주어야 합니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근본(根本)이요, 둘째는 가족[居家]이며, 셋째는 복밭[福田]입니다.
어떤 것이 때를 따라 공경하고 받들어 섬기며 공양하여 그에게 안락을 주어야 할 근본이라는 불인가? 이른바 선남자는 방편으로 재물을 얻고 손발을 부지런히 써서 법답게 얻은 것으로 부모를 공양하여 안락을 얻게 해야 하나니, 이것이 근본이라는 불입니다. 무슨 까닭으로 근본이라 하는가? 선남자는 그들 즉 부모로부터 태어났기 때문에 근본이라 합니다. 선남자는 근본을 숭상하기 때문에 때를 따라 공경하고 받들어 섬기며 공양하여 안락을 드려야 합니다.
어떤 것이 선남자가 때를 따라 양육하고 안락을 주어야 할 가족이라는 불인가? 이른바 선남자는 방편으로 재물을 얻고 손발을 부지런히 써서 법답게 얻은 것으로써 처자․친척․권속․종․품꾼들을 이바지하고 때를 따라 공급하며 공경하여 안락을 얻게 해야 하나니, 이것이 가족이라는 불입니다. 무슨 까닭으로 가족이라 하는가? 선남자는 가족과 살면서 즐거우면 같이 즐거워하고, 괴로우면 같이 괴로워하며, 일을 할 때에는 다 서로 순종하므로 가족이라 합니다. 그러므로 선남자는 때를 따라 이바지하고 안락을 주어야 합니다.
어떤 것이 선남자가 때를 따라 공경하고 존중하며 공양하여 그에게 안락을 주어야 할 복밭이라는 불인가? 이른바 선남자는 방편으로 재물을 얻고 손과 발을 부지런히 써서 법답게 얻은 것으로써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능히 다스리는 모든 사문 바라문을 받들어 섬기고 공양해야 하나니, 이런 사문 바라문은 복밭을 이루어 그들을 높아지게 하고, 더욱 나아가게 하며, 자기 몫을 즐기고 그 과보를 즐기다가 미래에는 하늘에 태어나게 하나니, 이것이 복밭이라는 불입니다. 무슨 까닭으로 밭이라 하는가? 이른바 응공(應供)은 세상의 복밭이 되기 때문에 밭이라 합니다. 그러므로 선남자는 때를 따라 공경하고 받들어 섬기며 공양하여 그에게 안락을 드려야 합니다."
그 때 세존께서는 다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근본과 가정
응공은 복밭이라는 불
이런 불에 열심히 공양하고
충족시켜 편안하고 즐겁게 하며
지은 죄 없이 세상을 즐기는
지혜로운 사람, 하늘에 태어나리.
법다운 재물로 또 대회를 열어
공양할 만한 이를 공양한다면
공양할 만한 이를 공양한 까닭에
하늘에 태어나고 큰 명성 얻으리라.
그런데 바라문이여, 이제 선남자는 공양할 세 가지 불에 앞서 마땅히 세 가지 불을 끊어 없애야 합니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이른바 탐욕이라는 불과 성냄이라는 불과 어리석음이라는 불입니다. 이것들은 왜 끊어야 하는가? 만일 탐욕이라는 불을 끊어 없애지 않으면 자기를 해치고 남을 해치며, 자기와 남을 함께 해치고, 현세에서 죄를 짓고 후세에서 죄를 지으며, 현세와 후세에서 다 죄를 지어 그 때문에 마음에 근심과 괴로움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성냄이라는 불과 어리석음이라는 불에 있어서도 또한 그와 같습니다.
바라문이여, 만일 선남자가 나무를 쌓아 피운 불을 섬겨 때맞추어 고생하고 때맞추어 불태우며 때맞추어 불을 끈다면 그로 말미암아 고통받을 것입니다."
婆羅門當勤供養三火。隨時恭敬。禮拜奉事。施其安樂。何等爲三。一者根本。二者居家。三者福田。何者爲根本火。隨時恭敬。奉事供養。施其安樂。謂善男子方便得財。手足勤苦。如法所得。供養父母。令得安樂。是名根本火。何故名爲根本。若善男子從彼而生。所謂父母。故名根本。善男子以崇本故。隨時恭敬。奉事供養。施以安樂。何等爲居家火。善男子隨時育養。施以安樂。謂善男子方便得財。手足勤苦。如法所得。供給妻子.宗親.眷屬.僕使.傭客。隨時給與。恭敬施安。是名家火。何故名家。其善男子處於居家。樂則同樂。苦則同苦。在所爲作皆相順從。故名爲家。是故善男子隨時供給。施與安樂。何等名田火。善男子隨時恭敬。尊重供養。施其安樂。謂善男子方便得財。手足勤勞。如法所得。奉事供養諸沙門.婆羅門。善能調伏貪.恚.癡者。如是等沙門.婆羅門。建立福田。崇向增進。樂分樂報。未來生天。是名田火。何故名田。爲世福田。謂爲應供。是故名田。是善男子隨時恭敬。奉事供養。施其安樂。爾時。世尊復說偈言 根本及居家 應供福田火 是火增供養 充足安隱樂 無罪樂世間
慧者往生彼 如法財復會 供養所應養 供養應養故 生天得名稱
然。婆羅門。今善男子先所供養三火應斷令滅。何等爲三。謂貪欲火.瞋恚火.愚癡火。所以者何。 若貪火不斷不滅者。自害害他。自他俱害。現法得罪。後世得罪。現法後世得罪。緣彼而生心法憂 苦。恚火.癡火亦復如是。婆羅門。若善男子事積薪火。隨時辛苦。隨時然。隨時滅火因緣受苦。
(長身經 대정장 2/24 하~25 상; 한글대장경 잡아함경 인터넷판 p. 130~132.)
'아함경 주제별 정리 > 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가생활 (8) 3개월동안 의복, 음식, 탕약을 급고독장자가 제공함. 끝날 때 부처님의 축원. (0) | 2013.08.29 |
---|---|
재가생활 (7) 보름달에서 그믐으로 가는 것과 같은 불자, 초승에서 보름달로 가는 것과 같은 불자 (0) | 2013.08.29 |
재가생활 (5) 재가자가 집에 있으면서 현재와 후세에서 편안하고 즐거울 수 있는 네가지 법 (0) | 2013.08.29 |
재가생활 (4) 우바새가 스스로도 편안하고 남도 편안하게 하는 열여섯가지 법 (0) | 2013.08.29 |
재가생활 (3) 우바새의 모든 일을 원만히 하는 것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