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왕사성 가란다죽원에 계셨다.
그 때 외도 출가자 선니(仙尼)가 부처님 계신 곳으로 찾아와 공손히 인사드리고 한쪽에 앉아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예전 언제가 사문 바라문, 혹은 차라가(遮羅迦), 혹은 출가한 이들은 희유강당(希有講堂)에 모여 이런 이치를 이야기하였습니다.
'부란나가섭(富蘭那迦葉)은 대중의 주인이 되어 500제자들에게 앞뒤로 둘러싸여 있었다. 그 제자들 가운데는 지극히 지혜로운 사람도 있었고 지극히 미련한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그들이 죽음에 다다랐을 때, 그 스승은 그들이 어디로 가서 태어날지를 예언하지 않았다.
또 말가리구사리자(末迦梨瞿舍利子)도 대중의 주인이 되어 500제자들에게 앞뒤로 둘러싸여 있었다. 그 제자들 가운데는 지혜로운 사람도 있었고 미련한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그들이 죽음에 다다랐을 때, 그 스승은 그들이 어디로 가서 태어날지를 예언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선사나비라지자(先?那毘羅子)․아기다시사흠바라(阿耆多翅舍欽婆羅)․가라구다가전연(迦羅拘陀迦旃延)․니건타야제자(尼揵陀若提子) 등도 각각 500제자들에게 앞뒤로 둘러싸여 있었지만 그들 역시 앞의 사람들과 같았다.'
그런데 사문 구담이시여, 그 때 그 사람들 중에 이런 말을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사문 구담은 대중의 주인이 되어 그의 여러 제자들 중에 목숨을 마치는 사람이 있으면 곧 아무개는 저기에 태어나고 아무개는 여기에 태어난다고 예언한다.'
저는 그 말을 듣고 먼저 의심이 생겼습니다. 사문 구담께서는 어떻게 그러한 법을 얻으셨습니까?"
부처님께서 선니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의심하지 말라. 미혹이 있으면 그는 곧 의심을 일으키게 된다. 선니야, 마땅히 알라. 세 종류의 스승이 있으니,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어떤 스승은 '현세에서 진실로 이것이 나[我]다'라고 하며 제가 아는 대로 말하지만 목숨을 마친 뒤의 일은 능히 알지 못한다. 이런 이를 세간에 출현하는 첫 번째 스승이라 한다. 또 선니야, 어떤 스승은 '현세에서 진실로 이것이 나다'라고 보고 '목숨을 마친 뒤에도 또한 이것이 나다'라고 보아 제가 아는 대로 말한다. 또 선니야, 어떤 스승은 '현세에서 진실로 이것이 나다'라고 보지도 않고 '목숨을 마친 뒤에 진실로 이것이 나다'라고 보지도 않는다.
선니야, '현세에서만 진실로 이것이 나다'라고 하며 제가 아는 대로 말하는 첫 번째 스승의 견해를 단견(斷見)이라 한다. '현세에서나 후세에서나 진실로 이것이 나다'라고 하며 제가 아는 대로 말하는 두 번째 스승의 견해를 상견(常見)이라 한다. '현세에서 진실로 이것이 나다라고 보지 않고, 목숨을 마친 뒤의 나도 또한 보지 않는다'는 것은 곧 여래․응공․등정각의 말이다. 그는 '현세에서 애욕을 끊고 탐욕을 떠나 모든 번뇌를 없애면 열반(涅槃)을 얻는다'고 말한다."
선니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는 세존의 말씀을 듣고 의심만 더욱 더할 뿐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선니에게 말씀하셨다.
"마땅히 의심을 더해야 할 것이다. 왜냐 하면 이것은 매우 깊은 이치로써 보기도 어렵고 알기도 어려워 모름지기 깊이 관찰해야만 미묘하게 도달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그것은 지혜로운 사람만이 알 수 있고 범부 중생들은 분별해 알 수 없는 것이니, 무슨 까닭인가? 중생들은 오랜 세월 동안 잘못 보고, 잘못 참았으며, 잘못 찾고, 잘못 원하였기 때문이니라."
선니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는 세존 앞에서 마음에 깨끗한 믿음을 얻었습니다. 원하옵건대, 세존께서는 저를 위해 설법하시어 저로 하여금 이 자리에서 혜안(慧眼)이 청정하게 하여 주소서."
부처님께서는 선니에게 말씀하셨다.
"이제 너를 위해 좋아하는 대로 설명하리라. 선니야, 색은 항상한가, 무상한가?"
"무상합니다."
"만일 무상하다면 그것은 괴로운 것인가?"
"그것은 괴로운 것입니다."
"만일 무상하고 괴로운 것이라면 그것은 변하고 바뀌는 법이니라. 많이 아는 거룩한 제자들이 과연 그런 것에 대해 '이것은 나다. 나와 다르다. 나와 나 아닌 것이 함께 있는 것이다'라고 보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수․상․행․식에 있어서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세존께서는 다시 물으셨다.
"어떠냐 선니야, 색이 여래인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수․상․행․식이 여래인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다시 물으셨다.
"선니야, 색을 떠나서 여래가 있는가? 수․상․행․식을 떠나서 여래가 있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다시 물으셨다.
"선니야, 색 안에 여래가 있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선니야, 여래 안에 색이 있는가? 여래 안에 수․상․행․식이 있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선니야, 색도 아니고 수․상․행․식도 아닌 것이 여래인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선니에게 말씀하셨다.
"나의 여러 제자들은 내 말을 듣고도 그 뜻을 다 이해하지 못해 교만[慢]을 일으키고 빈틈없는 한결같음[無間等]을 얻지 못한다. 빈틈없이 한결같지 못하기 때문에 곧 교만이 끊어지지 않고, 교만이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 음(陰)을 버린 뒤에도 다른 음과 합하여 계속해 태어나느니라. 그러므로 선니야, 나는 이런 제자들에겐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난 뒤에 이러저러한 곳에 태어난다'고 예언한다. 왜냐 하면 그들에게는 남은 교만이 있기 때문이니라.
그러나 선니야, 내 말을 듣고 그 뜻을 능히 이해하는 나의 여러 제자들은 모든 교만에서 빈틈없는 한결같음을 얻는다. 빈틈없는 한결같음을 얻기 때문에 모든 교만이 끊어지고, 모든 교만이 끊어지기 때문에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난 뒤에 다시는 계속해 태어나지 않는다. 선니야, 나는 이런 제자들에겐 '이 음을 버린 뒤에 이러저러한 곳에 다시 태어난다'고 말하지 않는다. 왜냐 하면 예언할 만한 인연이 없기 때문이니라. 만일 내가 그들에 대해서 예언해야 한다면 나는 '그들은 모든 애욕을 끊고 유결(有結)을 길이 떠나 바른 뜻으로 해탈하여 고통을 완전히 벗어나리라'고 예언할 것이다. 나는 예전부터 지금까지 늘 교만의 허물[慢過]과 교만의 발생[慢集]과 교만의 생성[慢生]과 교만의 일어남[慢起]에 대하여 말하였다. 만일 그 교만에 대해서 빈틈없이 한결같이 관찰한다면 갖가지 고통은 생기지 않을 것이다."
부처님께서 이 법을 말씀하시자, 출가한 선니는 티끌과 때를 멀리 떠나고 법안이 깨끗해졌다. 그 때 출가한 선니는 법을 보고 법을 얻어 모든 의혹을 끊었다. 그래서 남의 가르침을 받지 않고 남의 구제를 받지 않고도 바른 법안에서 마음에 두려움이 없게 되었다. 그는 곧 자리에서 일어나 합장하고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저도 바른 법 안에서 출가하여 범행을 닦을 수 있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선니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바른 법 안에서 출가하여 구족계를 얻을 수 있고 비구의 신분이 될 수 있느니라."
그 때 선니는 출가하여 홀로 고요한 곳으로 가서 방일하지 않으며 지냈고, '족성자들이 출가하여 수염과 머리를 깎고 가사를 걸치고서 믿음으로 집에서 집 아닌 데로 출가한 목적대로, 위없는 범행을 완전히 이루고 현세에서 증득하여 (나의 생은 이미 다하고 범행은 이미 섰으며, 할 일은 이미 마쳐 후세의 몸을 받지 않는다)고 스스로 안다'라고 사유하고 아라한이 되었다.
선니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仙尼經 대정장 2/31 하~32 하; 한글대장경 잡아함경 인터넷판 pp. 168~172.
'아함경 주제별 정리 > 전법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처님 외도출가자들 전법사례 3.머리땋은 외도출가자 영발목건련의 교화 (0) | 2013.08.27 |
---|---|
부처님 외도출가자들 전법사례 2.외도출가자 점모류에 대한 설법 (0) | 2013.08.27 |
불 교설 성문해탈사례 7.많은 비구들의 해탈 (0) | 2013.08.27 |
불 교설 성문해탈사례 6.많은 비구들의 해탈 (0) | 2013.08.27 |
불 교설 성문해탈사례 5.40명비구의 心解脫 (0) | 201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