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는 마땅히 공경하고 모든 범행인(梵行人)들을 잘 관찰할 것이며, 또 공경하고 존중해야 하느니라. 만일 비구가 공경하지 않거나 모든 범행인들을 잘 관찰하지 않으며, 또 공경하고 존중하지 않으면 아무리 위의법(威儀法)을 갖추려 해도 결코 그렇게 될 수 없느니라. 위의법을 갖추지 못하고서는 학법(學法)을 갖추려 해도 결코 그렇게 될 수 없으며, 학법을 갖추지 못하고서는 계신(戒身)을 갖추려 해도 결코 그렇게 될 수 없으며, 계신을 갖추지 못하고서는 정신(定身)을 갖추려 해도 결코 그렇게 될 수 없으며, 정신을 갖추지 못하고서는 혜신(慧身)을 갖추려 해도 결코 그렇게 될 수 없으며, 혜신을 갖추지 못하고서는 해탈신(解脫身)을 갖추려 해도 결코 그렇게 될 수 없으며, 해탈신을 갖추지 못하고서는 해탈지견신(解脫知見身)을 갖추려 해도 결코 그렇게 될 수 없으며, 해탈지견신을 갖추지 못하고서는 열반(涅槃)을 갖추려 해도 결코 그렇게 될 수 없느니라.
만일 비구가 공경하고 모든 범행인들을 잘 관찰하며, 또 공경하고 존중하고 나서 위의법을 갖추려 한다면, 틀림없이 그렇게 될 수 있을 것이요, 위의법을 갖추고서 학법을 갖추려 한다면, 틀림없이 그렇게 될 수 있을 것이며, 학법을 갖추고서 계신을 갖추려 한다면, 틀림없이 그렇게 될 수 있을 것이요, 계신을 갖추고서 정신을 갖추려 한다면, 틀림없이 그렇게 될 수 있을 것이며, 정신을 갖추고서 혜신을 갖추려 한다면, 틀림없이 그렇게 될 수 있을 것이요, 혜신을 갖추고서 해탈신을 갖추려 한다면, 틀림없이 그렇게 될 수 있을 것이며, 해탈신을 갖추고서 해탈지견신을 갖추려 한다면, 틀림없이 그렇게 될 수 있을 것이요, 해탈지견신을 갖추고서 열반을 갖추려 한다면, 틀림없이 그렇게 될 수 있을 것이니라.
比丘當行恭敬及善觀。敬重諸梵行人。若比丘不行恭敬.不善觀.不敬重諸梵行已。具威儀法者。必無是處。不具威儀法已。具學法者。必無是處。不具學法已。具戒身者。必無是處。不具戒身已。具定身者。必無是處。不具定身已。具慧身者。必無是處。不具慧身已。具解脫身者。必無是處。不具解脫身已。具解脫知見身者。必無是處。不具解脫知見身已。具涅槃者。必無是處。若比丘行恭敬及善觀。敬重諸梵行已。具威儀法者。必有是處。具威儀法已。具學法者。必有是處。具學法已。具戒身者。必有是處。具戒身已。具定身者。必有是處。具定身已。具慧身者。必有是處。具慧身已。具解脫身者。必有是處。具解脫身已。具解脫知見身者。必有是處。具解脫知見身已。具涅槃者。必有是處。(恭敬經 대정장 1/486 하~487 상; 한글대장경 중아함경 인터넷판, pp. 298~299.)
'아함경 주제별 정리 >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래 2.여래의 열 가지 힘 (0) | 2013.08.27 |
---|---|
여래 1.무엇을 부처라 하는가? (0) | 2013.08.27 |
삼학(三學) 9.五分香禮 (0) | 2013.08.27 |
삼학(三學) 8.계를 가짐으로 인하여 곧 후회하지 않게 되고, 안락함으로 인하여 선정에 들게 된다 (0) | 2013.08.27 |
삼학(三學) 7.계정혜 3학의 차제 (0) | 201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