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을 유행하실 적에 승림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지극히 사랑하고 염려하여, 온화하고 부드러운 마음으로 보고 보아도 싫증이 나지 않는 외아들을 둔 어떤 범지가 있었다. 그런데 그렇게 아끼던 그 아들이 갑자기 죽었다. 아들이 죽자 그는 슬픔에 잠겨 음식도 먹을 수 없고 옷도 입을 줄 모르며 또한 향도 바를 줄 모르고 그저 무덤에 가서 울면서, 아들이 누워 있는 곳만 생각하였다. 이에 그 범지는 정처 없이 돌아다니다가 부처님께 나아가 문안드리고 물러나 한쪽에 앉았다.
세존께서 물으셨다.
"범지여, 지금 그대의 모양을 보니 본 정신이 아닌 것 같구려."
범지가 대답하였다.
"지금 제가 무슨 경황으로 제 정신이 있겠습니까? 왜냐 하면 저에겐 오직 하나의 아들이 있었는데 지극히 사랑하고 생각하여 온화하고 부드러운 마음으로 보고 보아도 싫증이 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외아들이 갑자기 죽었기 때문입니다. 그 아이가 죽자 저는 슬픔에 잠겨 음식을 먹을 수도 없고 옷도 입을 줄 모르며 또한 향도 바르지 않고 그저 무덤에 가서 울면서 아들이 누워 있는 곳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그렇습니다. 범지여, 그렇습니다. 범지여,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기는 것입니다."
범지가 말하였다.
"구담이시여, 왜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고 말씀하십니까? 구담이시여, 마땅히 아소서. 애정이 생기면 기쁨과 즐거움이 생기는 것입니다."
세존께서는 다시 거듭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렇습니다. 범지여, 그렇습니다. 범지여,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깁니다."
범지도 또한 거듭 이렇게 말하였다.
"구담이시여, 왜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고 말씀하십니까? 구담시여, 마땅히 아소서. 애정이 생기면 기쁨과 즐거움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 때 저 바라문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옳다고 말하지 않고 그르다고만 말한 뒤에 곧 자리에서 일어나 머리를 내젓고 떠나갔다.
그 때 승림(勝林) 문 앞에서는 많은 시장 아이들이 도박놀이를 하고 있었다. 그 범지는 멀리서 그것을 보고 곧 '세상에 만일 총명하고 지혜로운 사람이 있다면 저 도박꾼보다 나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나는 이제 저기 가서 구담과 나눈 이야기를 저들에게 모두 말하리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는 많은 시장 아이들이 도박놀이하는 곳으로 가서 세존과 나눈 이야기를 그들에게 모두 말하였다.
많은 도박꾼 시장 아이들은 이 말을 듣고 말하였다.
"범지여, 왜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고 말씀하십니까? 범지여, 마땅히 아소서. 애정이 생기면 기쁨과 즐거움이 생기는 것입니다."
범지는 이 말을 듣고 곧 '도박꾼 아이들의 말은 꼭 내 생각과 같다'고 생각하며 머리를 끄덕이고 떠났다.
이에 이 이야기는 계속해 퍼져서 마침내 왕궁까지 들어갔다. 구살라왕 바사닉은 사문 구담께서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고 말씀하셨다는 말을 듣고 말리 황후에게 말하였다.
"나는 들으니 사문 구담께서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고 말씀하셨다고 하오."
말리 황후는 이 말을 듣고 아뢰었다.
"그렇습니다. 대왕이시여, 그렇습니다. 대왕이시여,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깁니다."
구살라왕 바사닉이 말리황후에게 말하였다.
"스승이 주장하는 말을 들으면 그 제자는 반드시 찬동하기 마련이오. 사문 구담이 당신의 스승이고, 당신은 그의 제자이기 때문에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고 말하는 것이오."
말리황후가 말하였다.
"대왕이여, 만일 믿지 못하시겠거든 몸소 가서 물으시든지 사신을 보내 물어 보십시오."
이에 바사닉왕은 곧 나리앙가(那利鴦伽) 범지에게 분부하였다.
"그대는 사문 구담이 계신 곳으로 s가서 나를 위해 사문 구담에게, 거룩하신 몸은 건강하시고 편안하여 병환은 없으시며, 기거는 가볍고, 기력도 여전하신지 문안을 드리거라. 그리고 이렇게 말씀드려라.
'구살라왕 바사닉은 문안드립니다. 거룩한 몸은 건강하시고 편안하여 병환은 없으시며, 기거는 가볍고, 기력도 여전하십니까? 사문 구담께서는 진실로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고 말씀하셨습니까?'
나리잉가여, 만일 사문 구담께서 어떤 말씀이든 하시는 말씀이 있거든 그대는 마땅히 잘 받아 외워가지고 오너라. 왜냐 하면 그러한 분은 절대로 거짓말을 하시지 않기 때문이니라."
나리앙가 범지는 왕의 분부를 받고 곧 부처님께 나아가 문안드리고 물러나 한쪽에 앉아 여쭈었다.
"구담이시여, 구살라왕 바사닉은 문안드립니다. 거룩하신 몸은 건강하시고 편안하여 병환은 없으시며, 기거는 가볍고, 기력도 여전하십니까? 또 사문 구담께서는 진실로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고 말씀하셨습니까?"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나리앙가여, 내가 이제 너에게 물으리니 너는 아는 대로 대답하라. 나리앙가여, 너의 생각에는 어떠하냐? 혹 어떤 사람은 그 어머니가 목숨을 마치면 그는 광기가 발동하고 마음이 매우 어지러워 옷을 벗고 알몸으로 아무 길이나 마구 돌아다니면서 '여러분, 우리 어머니를 보았습니까? 여러분, 우리 어머니를 보았습니까?' 하고 외치고 다닌다. 나리앙가여, 이 일만 가지고도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아버지 형님 누나 여동생의 경우에도 또한 그러하다. 만일 며느리가 목숨을 마치면 그 사람은 광기를 발동하고 마음이 매우 어지러워 옷을 벗고 알몸으로 아무 길이나 돌아다니면서 '여러분, 우리 며느리를 보았습니까? 여러분, 우리 며느리를 보았습니까?' 하고 외치고 다닌다. 나리앙가여 이 일만 가지고도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니라.
나리앙가여, 옛날에 어떤 부인이 잠깐 친정에 들리러 왔는데, 그 친족들이 그 부인을 다른 곳으로 다시 시집보내려고 하였다. 그 부인은 이 말을 듣고 곧 남편이 있는 집으로 돌아가 그 남편에게 말하였다.
'여보, 당신은 마땅히 아셔야 합니다. 지금 우리 친족들은 당신의 아내인 나를 억지로 빼앗아 다른 사람에게 다시 시집보내려고 합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그 남자는 부인의 팔을 붙들고 방 안으로 들어가 '우리 저승으로 같이 갑시다. 우리 저승으로 같이 갑시다' 하면서 곧 예리한 칼로 그 부인을 찔러 죽이고, 자기도 함께 죽었다. 나리앙가여, 이 일만 가지고 보아도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느니라."
나리앙가 범지는 부처님 말씀을 들어 잘 받아 외워 가지고 곧 자리에서 일어나 세 번 돌고 물러나왔다.
그는 구살라왕 바사닉에게 돌아와 아뢰었다.
"천왕이여, 사문 구담께서는 진실로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바사닉왕은 이 말을 듣고 황후에게 말하였다.
"사문 구담께서는 진실로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고 말씀하셨소."
"대왕이여, 제가 대왕에게 묻겠으니 아는 대로 대답하소서. 대왕이여, 대왕의 생각에는 어떠하십니까? 대왕은 비유라(留羅) 대장을 사랑하십니까?"
"진실로 사랑하오."
"만일 비유라 대장이 변하고 달라진다면 대왕은 어떻게 하겠습니까?"
"말리여, 만일 비유라 대장이 변하고 달라진다면 나는 반드시 슬퍼하고 울며, 근심하고 괴로워하며, 번민할 것이오."
"대왕이여, 이 일로써도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말리 황후는 다시 물었다.
"대왕이여, 대왕은 시리아다(尸利阿茶) 대신 일분다리(一奔陀利) 코끼리 바이리(婆夷利) 처녀 우일개(雨日蓋) 가시(加尸)국 구살라국을 사랑하십니까?"
"진실로 사랑하오."
"만일 가시국이나 구살라국이 변하고 달라진다면 왕은 어떻게 하겠습니까?"
"말리여, 내가 5욕 공덕을 구족하여 스스로 즐기고 좋아할 수 있는 것은 저 두 나라 때문이오. 만일 가사국과 구살라국이 변하고 달라진다면 나도 목숨이 없는 지경이 될 것이어늘 하물며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 정도겠소?"
"대왕이여, 이 일만 가지고도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말리는 다시 물었다.
"대왕이여, 대왕의 생각에는 어떠하십니까? 대왕께서는 저를 사랑하십니까?"
"나는 진실로 그대를 사랑하오."
"만일 제가 하루아침에 변하고 달라진다면 왕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말리여, 만일 그대가 하루아침에 변하고 달라진다면 나는 반드시 슬퍼하고 울며, 근심하고 괴로워하며, 번민할 것이오."
"대왕이여, 이 일만 가지고도 만일 애정이 생기면 거기에는 곧 슬픔과 울음 근심 괴로움 번민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자 바사닉왕이 말하였다.
"말리여, 오늘부터는 이 일로 말미암아 사문 구담이 내 스승이요, 나는 그의 제자가 되었소. 말리여, 나는 지금부터 부처님과 법과 비구승에게 귀의하오. 다만 세존께서 나를 우바새로 받아 주시기를 바랄 뿐이오. 나는 오늘부터 귀의하여 이 목숨 다하는 그 날까지 그렇게 할 것이오."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구살라왕 바사닉과 말리황후는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愛生經 대정장 1/800 하~802 상; 한글대장경 중아함경 인터넷판, pp. 1699~1704.
'아함경 주제별 정리 > 불교의 특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리성과 미신배제 (4) 강물에 목욕한다고 어찌 모든 업이 없어질까? (0) | 2013.08.29 |
---|---|
합리성과 미신배제 (3) 아무도 본 사람이 없는데 일방적으로 믿는 범천이야기는 진실이 아니다 (0) | 2013.08.29 |
합리성과 미신배제 (1) 저주하거나 찬탄하거나 축원했다고 해서 바뀌지 않고 훈습되어진 업도를 따른다. (0) | 2013.08.29 |
계급의 부정 (2) 종성간의 평등 (0) | 2013.08.29 |
계급의 부정 (1) 四種性의 평등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