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지금 아끼고 탐냄의 번뇌[垢]를 여의고 집을 나와, 해탈하여 마음으로 보시하고 항상 보시하며, 무심하게 보시하고 즐겁게 보시하며, 구족하게 보시하고 평등하게 보시한다.'
만일 거룩한 제자가 스스로 보시하는 법을 생각할 때는, 탐욕의 감정․성내는 감정․해치는 감정을 일으키지 않나니, 이러한 거룩한 제자는 물들어 집착하는 마음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어떤 것을 물들어 집착하는 마음이라 하는가? 이른바 다섯 가지 욕망을 말합니다. 이 다섯 가지 욕망에 대한 탐욕․성냄․어리석음을 여의어 바른 기억과 바른 앎에 편안히 머물고, 올곧은 길에 오르며, 보시에 대한 생각을 닦으면, 바로 열반으로 향할 것입니다. 이것을 여래․응공․등정각께서 알고 보신 것으로 괴로운 곳에서 나와 훌륭한 곳에 오르게 하고, 일승의 도를 설하시어 중생을 깨끗하게 하며, 괴로움과 번뇌를 여의고, 근심과 슬픔을 없애 참다운 법을 얻게 하기 위해 다섯 번째로 설하신 것이라 합니다.
復次。聖弟子自念施法。心自欣慶。我今離慳貪垢.離在居家。解脫心施.常施.捨施.樂施.具足施.平等施。若聖弟子念於自所施法時。不起欲覺.瞋恚.害覺。如是。聖弟子出染着心。於何染着。謂五欲功德。於此五欲功德離貪.恚.癡。安住正念正知。乘於直道。修施念。正向涅槃。是名如來.應.等正覺所知所見。說第五出苦處昇於勝處。一乘道淨於衆生。離苦惱。滅憂悲。得如實法。(離經 대정장 2/144 상; 한글대장경 잡아함경 인터넷판 p. 790.)
'아함경 주제별 정리 > 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가의 개념 (10) 무릇 집을 나온 사람은 두 가지 법[二法]을 행해야 한다. (0) | 2013.08.29 |
---|---|
승가의 개념 (9) 설법과 침묵 (0) | 2013.08.29 |
승가의 개념 (7) 비구방편에 알맞은 것(출가하여 배우는 수행순서하고 비슷함) (0) | 2013.08.29 |
승가의 개념 (6) 무엇 때문에 출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 얻는 이익이 무엇인가? (0) | 2013.08.29 |
승가의 개념 (5) 승려생활에서의 배워가는 차제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