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저사(低舍)라는 비구가 많은 비구들과 함께 식당에 모여 모든 비구들에게 말하였다.
"여러분, 나는 법을 분별하지 못하고 범행(梵行) 닦기를 좋아하지 않으며 잠자기를 매우 좋아하고 법에 대해서 의혹을 가집니다."
그 때 그 대중들 가운데 있던 어떤 비구가 부처님 계신 곳으로 나아가 부처님의 발에 예배하고 한쪽에 물러서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사 비구는 많은 비구들과 함께 식당에 모여 '나는 법을 분별할 수 없고, 범행 닦기를 좋아하지 않으며, 잠자기를 매우 좋아하고, 법에 대해서 의혹을 가진다'고 말하였습니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저사 비구는 어리석은 사람이다. 감각기관의 문[根門]을 지키지 못하고, 음식은 그 양(量)을 알지 못하며, 초저녁에도 새벽에도 마음이 깨어 있지 않고, 게으르고 나태하여 부지런히 정진하지 않으며, 좋은 법을 잘 관찰해 사유하지도 않는다. 그런 그가 법을 분별하고, 범행 닦기를 마음으로 즐거워하며, 모든 잠을 여의고, 바른 법에 대해서 모든 의혹을 없앤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만일 그 비구가 감각기관의 문을 지켜 보호하고, 음식에 대해 양을 알며, 초저녁에도 새벽에도 깨어 정진하고, 좋은 법을 관찰하는 이가 법을 분별하기를 좋아하고, 범행 닦기를 즐거워하며, 잠을 여의고, 마음으로 법을 의심하지 않는다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니라."
그 때 세존께서 그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저사 비구에게 가서 '스승께서 너를 부르신다' 하고 전하여라."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예. 분부대로 하겠습니다."
그는 앞으로 나아가 부처님의 발에 예를 올린 다음에, 저사가 있는 곳으로 가서 이렇게 말하였다.
"장로(長老) 저사여, 세존께서 당신을 부르십니다."
저사는 명령을 듣고 세존이 계신 곳에 나아가 머리를 조아려 그 발에 예배하고, 한쪽에 물러섰다.
그 때 세존께서 저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저사여, 너는 많은 비구들과 함께 식당에 모여 '여러 장로들이여, 나는 법을 분별하지 못하고 범행 닦기를 좋아하지 않으며, 잠자기를 매우 좋아하고 법에 대해서 의혹을 지니고 있습니다'라고 정말로 그렇게 외쳤느냐?"
저사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사실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저사에게 물으셨다.
"내가 이제 너에게 물으리니 네 마음대로 대답하라. 너의 생각은 어떠하냐? 만일 색(色)에 대해서 탐욕[貪]을 여의지 못하고, 욕망[欲]을 여의지 못하며, 사랑[愛]을 여의지 못하고, 기억[念]을 여의지 못하며, 갈망을 여의지 못했다면, 그 색이 혹 변하거나 달라질 때 너의 생각은 어떠하냐? 너는 근심․슬픔․번민․괴로움을 일으키겠느냐?"
저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색에 대해서 탐욕을 여의지 못하고, 욕망을 여의지 못하며, 사랑을 여의지 못하고, 기억을 여의지 못하며, 갈망을 여의지 못했다면, 그 색이 변하거나 달라질 때 진실로 근심․슬픔․번민․괴로움을 일으킬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진실로 그러하여 틀리지 않습니다."
부처님께서 저사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저사여, 마땅히 그와 같이 탐욕을 여의지 못했다고 설법해야 할 것이다. 저사여, 수․상․행도 마찬가지며, 식에 대해서 탐욕을 여의지 못하고, 욕망을 여의지 못하며, 사랑을 여의지 못하고, 기억을 여의지 못하며, 갈망을 여의지 못했다면, 그 식이 혹 변하거나 달라질 때 너의 생각은 어떠하냐? 너는 근심․슬픔․번민․괴로움을 일으키겠느냐?"
저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식에 대해서 탐욕을 여의지 못하고, 욕망을 여의지 못하며, 사랑을 여의지 못하고, 기억을 여의지 못하며, 갈망을 여의지 못했다면, 그 식이 혹 변하거나 달라질 때 진실로 근심․슬픔․번민․괴로움을 일으킬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진실로 그러하여 틀리지 않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저사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저사여, 마땅히 그와 같이 식에 대해서 탐욕을 여의지 못하였다고 설법해야 할 것이다."
부처님께서 저사에게 말씀하셨다.
"너의 생각은 어떠하냐? 만일 색에 대해서 탐욕을 여의고, 욕망을 여의며, 사랑을 여의고, 기억을 여의며, 갈망을 여의었다면, 그 색이 혹 변하거나 달라질 때 근심․슬픔․번민․괴로움을 일으키겠느냐?"
저사가 대답하였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그와 같아 다르지 않습니다."
"네 생각은 어떠하냐? 수․상․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식에 대해서 탐욕을 여의고, 욕망을 여의며, 사랑을 여의고, 기억을 여의며, 갈망을 여의었다면, 그 식이 혹 변하거나 달라질 때 근심․슬픔․번민․괴로움을 일으키겠느냐?"
저사가 대답하였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그와 같아 달라지지 않습니다."
부처님께서 저사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저사여, 내 이제 비유로 설명하리라. 매우 지혜로운 사람은 비유로써 이해를 얻게 되느니라. 두 사내가 함께 한 길을 가는데, 한 사람은 길을 잘 알고 한 사람은 길을 알지 못한다. 그 길을 모르는 사람이 길을 아는 사람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나는 어느 성(城) 어느 촌(村) 어느 마을로 가려고 하는데 나에게 그 길을 가르쳐 주시오.'
이 때 길을 아는 사람이 곧 그에게 길을 가르쳐 주며 말하였다.
'사부(士夫)여, 이 길을 따라가다가 앞에 갈림길이 나타나거든 왼쪽 길을 버리고 오른쪽 길로 따라가시오. 다시 깊은 계곡에 도랑이 나오거든 또 왼쪽 길을 버리고 오른쪽 길을 따라가시오. 다시 우거진 숲이 나오거든 또 왼쪽 길을 버리고 오른쪽 길을 따라가시오. 당신이 그렇게 점점 앞으로 가다보면 그 성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저사에게 말씀하셨다.
"그 비유는 이와 같다. 길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어리석은 범부에 비유한 것이요, 길을 아는 사람은 여래․응공․등정각에 비유한 것이며, 앞의 갈림길이란 중생들의 의심을 말한 것이다. 왼쪽 길이란 세 가지 착하지 않은 법이니, 탐욕[貪]․성냄[?]․해치려는 지각[害覺]이요, 그 오른쪽 길이란 세 가지 착한 지각을 말한 것이니, 벗어나고 탐욕을 여읜 지각[出要離欲覺]․성내지 않는 지각[不瞋覺]․해치지 않는 지각[不害覺]이다. 왼쪽 길로 나아간다는 것은 삿된 소견[邪見]․삿된 뜻[邪志]․삿된 말[邪語]․삿된 업[邪業]․삿된 생활[邪命]․삿된 방편[邪方便]․삿된 기억[邪念]․삿된 선정[邪定]을 말한 것이요, 오른쪽 길로 나아간다는 것은 바른 소견[正見]․바른 뜻[正志]․바른 말[正語]․바른 업[正業]․바른 생활[正命]․바른 방편[正方便]․바른 기억[正念]․바른 선정[正定]을 말한 것이다. 깊은 계곡의 도랑이란 성냄․장애․근심․슬픔을 말한 것이요, 우거진 숲이란 5욕공덕(欲功德)을 말한 것이며, 성(城)이란 반열반(般涅槃)을 말한 것이니라."
부처님께서 저사에게 말씀하셨다.
"부처는 큰 스승으로서 모든 성문들을 위해 해야할 일을 이미 마쳤다. 지금처럼 가엾이 여기고 사랑하는 생각을 내어 이치로써 안락하게 하는 일을 이미 모두 다 마쳤다. 너희들도 지금부터 해야할 일을 하라. 마땅히 나무 밑이나 혹은 텅 비고 드러난 곳이나 산의 바위굴 속에서 풀을 깔아 자리로 삼고, 잘 사유하고 바른 기억으로 방일하지 않으며, 수행하여 오랜 시간이 흐른 뒤 마음에 후회가 없게 하라. 나는 이제 너에게 훈계하였다."
그 때 저사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低舍經 대정장 2/71 상~하; 한글대장경 잡아함경 인터넷판 pp. 386~389.)
'아함경 주제별 정리 > 전법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사례 4.균두에게 여러 삿된 소견을 버리고 정견을 가지라고 가르침 (0) | 2013.08.27 |
---|---|
교육사례 3.욕심이 많아 몸과 뜻이 불꽃같아서 고요히 쉴 수 없는 비구에 대한 가르침 (0) | 2013.08.27 |
교육사례 1.정욕 때문에 차라리 속퇴하겠다고 하는 비구에 대한 가르침 (0) | 2013.08.27 |
출가자 교육 7.외도출가자가 부처님법에 들어와서 공부하는 과정 (0) | 2013.08.27 |
출가자 교육 6.學地의 비구가 안온한 열반을 구하려면 어떻게 구해 머물러야 하는가? (0) | 201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