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여래와 사쌍팔배의 성인 5.복전의 종류

다르마 러브 2013. 8. 27. 19:51

그 때 급고독 거사는 부처님 계신 곳으로 나아가 부처님 발에 머리를 조아리고, 물러나 한쪽에 앉아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세상에는 복전인(福田人)이 몇이나 있습니까?"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거사여, 세상에는 대략 두 종류의 복전인(福田人)이 있나니, 어떤 것이 두 종류인가? 첫째는 학인(學人)이요, 둘째는 무학인(無學人)이다. 다시 학인에 열여덟 종류가 있고 무학인에 아홉 종류가 있으니, 거사여, 어떤 것이 18학인인가? 신행(信行) 법행(法行) 신해탈(信解脫) 견도(見到) 신증(身證) 가가(家家) 일종(一種) 향수다원(向須陀洹) 득수다원(得須陀洹) 향사다함(向斯陀含) 득사다함(得斯陀含) 향아나함(向阿那含) 득아나함(得阿那含) 중반열반(中般涅槃) 생반열반(生般涅槃) 행반열반(行般涅槃) 무행반열반(無行般涅槃) 상류색구경(上流色究景)이니, 이것을 18학인이라 한다.

거사여, 어떤 것이 9무학인인가? 사법(思法) 승진법(昇進法) 부동법(不動法) 퇴법(退法) 불퇴법(不退法) 호법(護法)[보호하면 물러나지 않고 보호하지 않으면 물러난다] 실주법(實住法) 혜해탈(慧解脫) 구해탈(俱解脫)이니, 이것을 9무학인이라고 하느니라."

이에 세존께서는 이 게송을 말씀하셨다.

이 세상의 학인과 무학인은

존숭할 만하고 받들어 공경할 만하도다.

그들은 능히 그 몸을 바로하고

그 입과 뜻도 또한 그러하나니

거사여, 그들은 좋은 밭이다.

그들에게 보시하면 큰 복 얻으리.

(福田經 대정장 1/616 상; 한글대장경 중아함경 인터넷판, pp. 862~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