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오온(五蘊) (4) 욕심의 맛[味]ㆍ환(患)ㆍ출요(出要)ㆍ色의 맛ㆍ환ㆍ출요ㆍ覺의 맛ㆍ환ㆍ출요

다르마 러브 2013. 8. 28. 11:54

어떤 것을 욕심의 맛[欲味]이라 하는가? 곧 5욕(欲)의 공덕(功德)으로 말미암아 즐거움이 생기고 기쁨이 생기나니, 이 욕심의 맛은 지극하여 다시금 이것보다 더한 것이 없고, 또 우환도 매우 많은 것이니라.

어떤 것을 욕심의 환[欲患]이라 하는가? 족성자(族姓子)들은 그 기술에 따라 각자 생활해 가는데, 혹은 밭농사를 짓고, 혹은 살아갈 방도를 세우며, 혹은 글을 배우고 혹은 산술을 밝히며, 혹은 공수(工數)를 알고 혹은 도장을 정교하게 새기며, 혹은 글을 짓고 혹은 붓을 만들며, 혹은 경서(經書)를 깨닫고 혹은 용맹스런 장군이 되며, 혹은 왕을 받들어 섬긴다. 그들은 추울 때에는 추워하고 더울 때에는 더워하며, 굶주리고 목마르고 피로하며, 모기와 등에에게 뜯기면서 이러한 직업으로 돈이나 재물 구하기를 도모한다. 저 족성자들은 이러한 방편으로 이렇게 행하고 이렇게 구하다가, 만일 돈이나 재물을 얻지 못하면 곧 걱정하고 괴로워하며, 시름하고 슬퍼하고 번민하며, 마음에는 곧 어리석음이 생겨 이렇게 말한다.

'헛되이 노력하고 헛되이 괴로워하면서 구했지만 아무런 결실이 없구나.'

저 족성자들은 이러한 방편으로 이렇게 행하고 이렇게 구하다가, 만일 돈이나 재물을 얻으면 그는 곧 사랑하고 아껴 지켜 보호하고, 몰래 감추어 둔다. 무슨 까닭인가?

'내 이 재물을 왕에게 빼앗기거나 도둑을 맞거나, 불에 타버리거나 썩어 없어지거나, 잃어버리지 않게 하자. 재물을 꺼내 써 봐야 아무런 이득도 없고, 혹 여러 사업을 해 보아도 성취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이렇게 지켜 보호하고 몰래 감추어 두었다가, 만일 왕에게 빼앗기거나 도적이 겁탈하고, 불에 타버리거나 썩어 없어지며, 잃어버리게 되면 그들은 걱정하고 괴로워하며, 시름하고 슬퍼하고 번민하며, 마음에는 곧 어리석음이 생겨 이렇게 말한다.

'만일 오랫동안 사랑할 만하다고 여기는 것을 가지면, 그는 곧 잃게 될 것이다.'

이것을 현법의 괴로움의 음[苦陰]이라 하나니, 욕심을 인(因)으로 하고 욕심을 연(緣)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本]으로 하는 것이니라.

또 중생들은 욕심을 인(因)으로 하고 욕심을 연(緣)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本]으로 하기 때문에, 어머니는 아들과 다투고, 아들은 어머니와 다투며, 부자 형제 자매 친족들이 계속 줄지어 서로 다투느니라. 저들은 이미 이렇게 서로 다툰 뒤에는, 어머니는 아들의 허물을 말하고, 아들은 어머니의 허물을 말하며, 부자 형제 자매 친족들끼리도 서로 허물을 말하나니, 하물며 다시 다른 이들이겠는가? 이것을 현법(現法)의 괴로움의 음[苦陰]이라 하나니,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는 것이니라.

중생들은 욕심을 인(因)으로 하고 욕심을 연(緣)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本]으로 하기 때문에, 왕과 왕이 서로 다투고, 범지와 범지가 서로 다투며, 거사와 거사가 서로 다투고, 백성과 백성이 서로 다투며, 나라와 나라가 서로 다툰다. 그들은 다투어 서로 미워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무기로써 갈수록 서로에게 해를 더하나니, 혹은 주먹질을 하거나 돌을 던지고, 혹은 몽둥이로 치고 칼로 찍는다. 그들은 서로 싸울 때, 혹은 죽고 혹은 두려워하며 극심한 고통을 받는다. 이것을 현법의 괴로움의 음이라 하나니,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는 것이니라.

또 중생들은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으며, 창과 활과 화살을 가지거나, 혹은 칼과 방패를 잡고 싸움터에 들어가며, 혹은 코끼리로써 싸우고, 혹은 말 수레 보병(步兵)으로, 혹은 남녀로써 싸운다. 그들은 싸울 때에 혹은 죽고 혹은 두려워하여, 극심한 고통을 받는다. 이것을 현법의 괴로움의 음이라 하나니,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는 것이니라.

또 중생들은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으며, 창과 활과 화살을 가지거나, 혹은 칼과 방패를 잡고 다른 나라를 공격해 빼앗고, 성을 공격하고 마을을 파괴하면서 서로 격전하며, 북을 치고 뿔나발을 불며 큰 소리로 고함치고, 혹은 몽둥이로 치고, 혹은 창으로 혹은 날카로운 바퀴로, 혹은 활을 쏘고 혹은 돌을 어지럽게 날리며, 혹은 쇠뇌(大弩)로, 혹은 벌겋게 달군 구리쇠 탄자를 퍼붓는다. 그들은 싸울 때, 혹은 죽고 혹은 두려워하며 극심한 고통을 받는다. 이것을 현법의 괴로움의 음이라 하나니,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는 것이니라.

또 중생들은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으며, 창과 활과 화살을 가지고, 혹은 칼과 방패를 잡고 촌락으로 들어가고, 도읍으로 들어가며, 나라로 들어가고 성으로 들어가며, 담을 뚫고 창고를 열어 재물을 겁탈하고 왕의 길을 끊으며, 혹은 남의 거리에 가서 촌락을 부수고 도읍을 해치며, 나라를 멸하고 성(城)을 부순다. 그 중에 혹은 왕의 신하에게 잡혀 온갖 고문을 당하는데, 손을 베고 발을 끊고 혹은 손과 발을 자르며, 귀를 끊고 코를 베고 혹은 귀와 코를 자르며, 혹은 난도질을 하며, 수염을 뽑고 머리털을 뽑고 혹은 수염과 머리털을 모두 뽑으며, 혹은 우리에 가두고 옷으로 싸서 불에 태우며, 혹은 모래로 덮으며, 혹은 풀에 싸서 불에 태우며, 혹은 쇠 나귀의 뱃속에 넣고, 혹은 쇠 돼지의 입안에 넣고, 혹은 쇠 호랑이 입안에 넣고 태우며, 혹은 구리쇠 솥 안에 넣고 혹은 쇠 솥 안에 넣어 지지며, 혹은 동강동강 끊으며, 혹은 작살로 찌르고 혹은 쇠갈고리에 매달며, 혹은 쇠평상에 눕히고 끊는 기름을 부으며, 혹은 쇠절구에 앉히고 쇠공이로 찧으며, 혹은 뱀이 물게 하고, 혹은 채찍으로 치며, 혹은 작대기로 때리고, 혹은 몽둥이로 두들기며, 혹은 산 채로 높은 가지에 꿰고 혹은 그 목을 벤다. 그러는 동안에 그는 혹은 죽고 혹은 두려워하며, 극심한 고통을 받는다. 이것을 현법의 괴로움의 음이라 하나니,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는 것이니라.

또 중생들은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몸의 악행을 행하고 입과 뜻의 악행을 행한다. 그는 훗날에 병이 들어 자리에 들고, 혹은 땅에 앉거나 누우면, 괴로움이 몸을 핍박하여 지극히 심한 고통을 받으면서 조금도 즐거워하지 못한다. 그가 만일 몸으로 악행을 하고 입과 뜻으로 악행을 저질렀다면, 그는 죽음에 임박해서 앞에 장막이 드리워지나니, 마치 해가 지려 할 때에 큰 산등성이 그림자가 땅을 덮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그가 만일 몸으로 악행을 하고 입과 뜻으로 악행을 저질렀다면 앞에 장막이 드리워진다. 그러면 그는 이렇게 생각한다.

'내 본래의 악행이 앞에서 나를 덮는구나. 나는 본래 복된 업을 짓지 않고 악업을 많이 지었다. 만일 흉악하고 사나운 짓을 하여 오직 죄를 행하고 복을 짓지 않고 선을 행하지 않았으며, 두려워한 바가 없고 의지한 곳이 없으며 돌아갈 곳이 없는 사람이 태어나는 곳이 있다면, 나는 반드시 그 곳에 날 것이다.'

그래서 뉘우치지만 뉘우치는 사람이 선하지 않으므로 죽으면서 복 없이 목숨을 마치게 된다. 이것을 현법의 괴로움의 음[苦陰]이라 하나니,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는 것이니라.

또 중생들은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몸의 악행을 행하고 입과 뜻의 악행을 행한다. 그는 몸과 입과 뜻의 악행으로 말미암아 이것을 인연으로 하여,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반드시 나쁜 곳으로 가서 지옥에 태어난다. 이것을 후세의 괴로움의 음이라 하나니, 욕심을 인으로 하고, 욕심을 연으로 하며, 욕심을 근본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을 욕심의 환(患)이라 하느니라.

어떤 것을 욕심의 출요(出要)라 하는가? 만일 욕심을 끊어 없애고, 욕심을 버려 여의며, 욕심을 멸하여 욕심이 다하고 욕심을 건너 뛰어 벗어나면, 이것을 욕심의 출요(出要)라 하느니라. 만일 어떤 사문 범지가 욕심의 맛[欲味]과 욕심의 환[欲患]과 욕심의 출요[欲出要]를 참답게 알지 못한다면, 그는 마침내 스스로도 그 욕심을 끊을 수 없겠거늘, 하물며 다시 다른 이의 욕심을 끊을 수 있겠는가? 만일 어떤 사문 범지가 욕심의 맛과 욕심의 환과 욕심의 출요를 참답게 안다면, 그는 스스로도 없앨 수 있고, 또한 능히 다른 이의 욕심도 끊을 수 있느니라.

어떤 것을 색의 맛[色味]이라 하는가? 만일 찰리녀(刹利女)나 범지 거사 기술자[工士]의 여자가 나이 14 5세가 되면, 그녀는 그 때 아름다운 모습이 가장 묘하다. 만일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을 인으로 하고,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을 연으로 하여, 즐거움을 내고 기쁨을 내면 이것은 지극한 색의 맛으로써 다시 이보다 더한 것이 없고, 우환거리도 매우 많으니라.

어떤 것을 색의 환[色患]이라 하는가? 만일 그 여인이 훗날 몹시 쇠하고 늙어, 머리가 희고 이는 빠지며, 등은 꼬부라지고 다리가 뒤틀려 지팡이를 의지하여 다니며, 젊음은 날로 쇠하여 수명이 곧 다하려 하며, 몸은 떨리고 모든 기관이 허물어지는 것을 본다면, 너희들 생각에는 어떠하냐? 혹 본래는 아름다운 모습을 간직했었지만 그것이 없어지니 걱정이 생기겠는가?"

"그렇습니다."

"또 만일 그 여인이 병이 있어 자리에 들고, 혹은 땅에 앉거나 누우며, 괴로움이 몸을 핍박하여 지극히 심한 고통을 받는 것을 본다면 너희들 생각에는 어떠하냐? 본래는 아름다운 모습을 간직했었지만 그것이 없어지니 걱정이 생기겠는가?"

"그렇습니다."

"또 만일 그 여인이 죽어, 혹 1, 2일 내지 6, 7일이 지나, 까마귀나 솔개에게 쪼이고, 승냥이나 이리에게 먹히며, 불에 태워지고 땅에 묻히며, 모두 썩어 문드러지는 것을 본다면 너희들 생각에는 어떠하냐? 혹 본래는 아름다운 모습을 간직했었지만 그것이 없어지니 걱정이 생기겠는가?"

"그렇습니다."

"또 만일 묘지에 버려진 그 여인의 해골이 푸른빛으로 썩어 문드러지고, 반쫌 남은 뼈사슬이 땅에 뒹구는 것을 본다면 너희들 생각에는 어떠하냐? 혹 본래는 아름다운 모습을 간직했었지만 그것이 없어지니 걱정이 생기겠는가?"

"그렇습니다."

"또 만일 그 여인이 묘지에 버려져 가죽과 살과 피는 분리되고 오직 힘줄만이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본다면 너희들 생각에는 어떠하냐? 본래는 아름다운 모습을 간직했었지만 그것이 없어지니 걱정이 생기겠는가?"

"그렇습니다."

"또 만일 그 여인이 묘지에 버려져 뼈마디가 풀리고 여러 곳에 흩어져 발뼈 장딴지뼈 넓적다리뼈 허리뼈 등뼈 어깨뼈 목뼈 머리뼈들이 각각 다른 곳에 뒹굴고 있는 것을 본다면 너희들 생각에는 어떠하냐? 본래는 아름다운 모습이었지만 그것이 없어지니 걱정이 생기겠는가?"

"그렇습니다."

"또 만일 그 여인이 묘지에 버려져 뼈가 마치 소라처럼 희어지고 마치 집비둘기 빛깔처럼 푸르며, 피를 칠한 것처럼 붉고, 썩어 문드러지고 부서져 가루가 된 것을 본다면 너희들 생각에는 어떠하냐? 본래는 아름다운 모습이었지만 그것이 없어지니 걱정이 생기겠는가?"

"그렇습니다."

"이것을 색의 환이라 하느니라. 또 어떤 것을 색의 출요[色出要]라 하는가? 만일 색을 끊어 없애고 색을 버리고 여의어 색이 멸해 색이 다하고 색을 건너 뛰어 벗어나게 되면 이것을 색의 출요라 하느니라. 만일 어떤 사문 범지가 색의 맛[色味]과 색의 환[色患]과 색의 출요를 사실 그대로 알지 못한다면 그는 끝내 스스로도 그 색을 끊지 못하겠거늘, 하물며 다시 다른 이의 색을 끊어줄 수 있겠는가? 만일 어떤 사문 범지가 색의 맛과 색의 환과 색의 출요를 사실 그대로 안다면 그는 스스로도 없앨 수 있고, 또한 능히 다른 이의 색도 끊어줄 수 있느니라.

어떤 것을 각의 맛[覺味]이라 하는가? 비구는 욕심을 여의고, 악하고 착하지 않은 법을 여의며 나아가 제4선을 얻어 성취하여 노닌다. 그는 그 때에는 스스로 해치기를 생각하지도 않고, 또한 남 해치기를 생각하지도 않는다. 만일 해치기를 생각하지 않으면 이것을 각의 즐거운 맛[覺樂味]이라 한다. 무슨 까닭인가? 해치기를 생각하지 않으면 즐거움을 성취하기 때문이니, 이것을 각의 맛이라 하느니라.

어떤 것을 각의 환[覺患]이라 하는가? 각이란 무상한 법[無常法]이요, 괴로움의 법[苦法]이며 멸의 법[滅法]이니, 이것을 각의 환이라 하느니라.

어떤 것을 각의 출요[覺出要]라 하는가? 만일 각을 끊어 없애고, 각을 버려 여의며, 각을 멸하여 각이 다하고 각을 건너 뛰어 벗어나면, 이것을 각의 출요라 하느니라. 만일 어떤 사문 범지가 각의 맛[覺味]과 각의 환[覺患]과 각의 출요를 사실 그대로 알지 못한다면, 그는 끝내 스스로도 그 각을 끓을 수 없겠거늘 하물며 다시 다른 이의 각을 끊어줄 수 있겠는가? 만일 어떤 사문 범지가 각의 맛과 각의 환과 각의 출요를 사실 그대로 안다면 그는 스스로도 없앨 수 있고, 또한 능히 다른 이의 각도 끊어줄 수 있느니라."

苦陰經 대정장 1/584 하~586 중; 한글대장경 중아함경 인터넷판, pp. 718~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