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붕가사(崩伽?)의 붕가기림(崩伽耆林)에 머물고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상응법(戒相應法)을 설하시고 제정한 계법(戒法)을 찬탄하셨다.
그 때 존자 가섭씨(迦葉氏)가 붕가(崩伽)라는 마을에 머물고 있었는데, 세존께서 계상응법을 설하시고 그 계에 대하여 찬탄하셨다는 말을 듣고, 몹시나 마음으로 참을 수 없고 언짢아 말했다.
저 사문은 그 계를 몹시 찬탄하였다고 하는데, 그 계는 너무나 제한적이다.
그 때 세존께서는 붕가 마을에서 편안히 머물러 계시다가 사위국을 향해 떠나셨고, 차례로 유행하시다가 사위국에 있는 기수급고독원에 이르셨다.
그 때 존자 가섭씨는 세존께서 그곳을 떠나가신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아 곧 마음으로 후회하였다.
'나는 이제 이익을 잃어 크게 불리하게 되었다. 세존께서 계상응법을 설하시고 제정하신 계를 찬탄하셨을 때 세존께 대해 마음으로 참을 수 없고 언짢아 불쾌한 기분에 말하기를 (사문은 그 계를 몹시 제한적으로 만들어 놓고서 그 계에 대하여 지극히 찬탄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 때 존자 가섭씨는 밤이 지나고 이른 아침이 되자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고 붕가 마을로 들어가 걸식하였다. 걸식을 마치고 정사(精舍)로 돌아와 침구를 부탁하고, 스스로 가사와 발우를 가지고 사위성을 향해 떠났다. 차례로 유행하면서 사위국에 이르러 가사와 발우를 챙겨두고 발을 씻은 뒤에 세존께서 계신 곳으로 나아가 세존의 발에 머리 조아려 예배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제 잘못을 뉘우칩니다. 세존이시여, 잘못을 뉘우칩니다. 선서(善逝)시여, 저는 우매하고 어리석어 착하지도 못하고 분별력도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세존께서 비구들을 위해 계상응법을 말씀하시고 제정하신 계에 대하여 찬탄하셨다는 말을 듣고, 세존께 대해 참을 수 없고 언짢아 불쾌한 기분에 말하기를 '저 사문은 그 계를 몹시 제한적으로 만들어 놓고서 그 계에 대하여 찬탄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부처님께서 가섭씨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언제 나에 대해서 마음으로 참을 수 없고 언짢아 불쾌한 기분에 말하기를 '저 사문은 그 계를 몹시 제한적으로 만들어놓고서 그 계에 대하여 찬탄하고 있다'라고 말했느냐?
가섭씨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 때 세존께서는 붕가사 마을에 있는 붕가기림 속에서 비구들을 위해 계상응법을 말씀하시고 그 계에 대하여 찬탄하셨습니다. 저는 그 때 세존께 대해 마음으로 참을 수 없고 언짢아 불쾌한 기분에 '저 사문은 그 계를 몹시 제한적으로 만들어 놓고서 그 계를 찬탄하고 있다'라고 그런 말을 하였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오늘 스스로 죄를 깨닫고서 뉘우치며 스스로 죄를 보고서 뉘우치고 있습니다. 세존이시여, 오직 바라옵건대 저를 가엾게 여기시어, 제가 잘못을 뉘우치는 것을 받아 주소서.
부처님께서 가섭씨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어리석고 착하지 못하며 분별력이 없음을 스스로 깨달아 뉘우칠 줄을 아는구나. 내가 비구들을 위해 계상응법을 설명하고, 제정한 계에 대하여 찬탄하는 말을 듣고, 나에 대하여 참을 수 없고 언짢아 불쾌한 기분에 '저 사문은 계를 몹시 제한적으로 만들어놓고서 그 계를 매우 찬탄하고 있다'라고 그렇게 말했다. 그러나 가섭아, 너는 지금 스스로 깨닫고서 뉘우치고 스스로 보고서 뉘우쳤으니, 미래 세상에서는 율의계(律儀戒)가 생길 것이다. 나는 지금 너를 가엾이 여겨 이 계를 주리라. 가섭아, 그와 같이 뉘우치는 사람은 착한 법이 늘어나고 자라서 끝까지 물러나거나 줄어들지 않을 것이다. 왜냐 하면, 만일 스스로 죄를 깨닫고 스스로 죄를 보고서 잘못을 뉘우치는 사람은 미래 세상에서는 율의계가 생기고 착한 법이 더욱 늘어나고 자라서, 물러가거나 줄어들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설령 가섭이 상좌(上座) 비구라 할지라도 계를 배우려고 하지 않고, 계를 중히 여기지 않으며, 그 계를 제정하는 것을 찬탄하지 않는다면, 그런 비구는 내가 칭찬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 하면 만일 나로부터 칭찬을 받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곧 그를 가까이하고 친근히 하며 또한 공경하고 존중할 것이요, 만일 다른 사람이 그를 가까이하고 친근히 하며 존중하여 곧 그들과 견해를 같이하고 일을 같이할 것이며, 그들과 일을 같이 하기 때문에 그는 오랜 세월 동안 이롭지 못한 고통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저 장로(長老)들을 처음부터 칭찬하지 않나니, 처음부터 계율 공부를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장로와 같이 중년(中年)․소년(少年)에 대해서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만일 상좌(上座) 장로가 처음부터 계율 공부를 중히 여기고 계 제정하는 것을 찬탄한다면 그런 장로는 나로부터 칭찬을 받을 것이니, 처음부터 계율 공부를 즐겨하였기 때문이다. 나에게서 칭찬을 받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도 그를 가까이하고 친근히 하며 또한 그를 존중하여 견해를 같이할 것이요, 견해를 같이 하기 때문에 그는 미래 세상에서 오랜 세월 동안 유익한 진리를 얻을 것이다.
그러므로 저 장로 비구를 항상 칭찬해야 한다. 처음부터 계율 공부하기를 좋아하였기 때문이니, 중년․소년에 있어서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붕가사경 대정장 2/213 상~중; 한글대장경 잡아함경 인터넷판 pp. 1186~1188.
'아함경 주제별 정리 > 다툼과 참회ㆍ계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율의 시설 (2) 오후의 음식을 끊어라 (0) | 2013.08.29 |
---|---|
계율의 시설 (1) 하루 한 끼만 먹는 계 시설 (0) | 2013.08.29 |
계율정신 (20) 노새와 같은 비구, 소와 같은 비구 (0) | 2013.08.29 |
계율정신 (19) 사자 같은 사람과 양 같은 사람 (0) | 2013.08.29 |
계율정신 (18) 나라의 일을 가까이 하여 생기는 열 가지 비법(非法)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