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는 이른 아침에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고 사위국에 들어가 걸식하셨다.
그 때 나이 많고 몸이 쇠약한 어떤 바라문이 지팡이를 짚고 발우를 가지고 집집마다 다니면서 걸식하고 있었다.
이 때 세존께서 그 바라문에게 말씀하셨다.
"당신은 나이도 많고 몸도 쇠약한데 왜 지팡이를 짚고 발우를 들고 집집마다 다니며 걸식하고 있습니까?"
바라문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구담이시여, 저는 집에 있던 재물을 아들에게 모두 물려주고 며느리를 들인 뒤에 집을 나왔습니다. 그래서 지팡이를 짚고 발우를 들고 집집마다 다니며 밥을 비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바라문에게 말씀하셨다.
"당신은 내게서 게송 하나를 받아 외워 대중이 있는 곳으로 돌아가 당신의 아들을 두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받아 외울 수 있습니다. 구담이시여."
그 때 세존께서는 곧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아들을 낳고선 마음이 기뻤고
아들을 위하여 재물을 모았으며
또 아들 위해 며느리를 들인 뒤에
나는 그것 다 버리고 집을 나왔네.
외지고 궁벽한 시골 아이는
그런 아버지를 등지고 피하니
사람의 얼굴에 나찰의 마음
그는 늙은 아비를 버렸네.
늙은 말처럼 쓸데가 없다하며
보리껍질 먹이까지 빼앗았으니
아들은 젊지만 아비는 늙어
집집마다 다니면서 밥을 빈다네.
구부러진 지팡이가 제일이요
아들은 사랑할 것 못되니
나를 위해 사나운 소 막아주고
험한 곳을 면하여 편안케 해주며
사나운 개를 물리쳐 주고
어두운 곳에서는 나를 붙드네.
깊은 구덩이나 빈 우물이나
풀이나 나무나 가시밭을 피하고
지팡이의 위력을 의지한 덕택에
꼿꼿이 서서 넘어지지 않는다네.
이 때 바라문은 세존에게서 이 게송을 받아 기억한 뒤에 바라문 대중 가운데로 돌아가 그 아들을 두고 말하였다. 먼저 대중들에게 "제 말을 들으십시오"라고 말한 뒤에 위에서 말한 게송을 읊었다. 그 아들은 부끄럽고 황공하여 곧 그 아버지를 안고 집으로 들어가 몸을 문질러 목욕시키고 푸른 옷을 입힌 뒤에 집 주인으로 모셨다. 그 때 그 바라문은 이렇게 생각하였다.
'나는 이제 훌륭한 족성이 되었다. 이것은 저 사문 구담의 은혜다. 우리 경전의 말씀에 따르면 (스승에겐 스승에 걸맞게 공양하고, 화상(和尙)에겐 화상에 걸맞게 공양하라)고 하였다. 내가 이제 얻은 것은 다 사문 구담의 힘이니, 그가 곧 나의 스승이시다. 나는 이제 제일 훌륭하고 묘한 옷을 구담께 바치리라.'
이 때 바라문은 제일 훌륭하고 묘한 옷을 가지고 세존께서 계시는 곳으로 가 인사드리고 위로한 뒤에 한쪽에 물러앉아 부처님께 아뢰었다.
"구담이시여, 저는 이제 집에서 지내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구담의 힘입니다. 우리 경전의 말씀에 따르면 '스승에겐 스승에 걸맞게 공양하고, 화상에겐 화상에 걸맞게 공양하라'고 하였습니다. 오늘 구담께서는 곧 저의 스승이 되셨습니다. 저를 가엾이 여겨 이 옷을 받아 주소서."
세존께서는 그를 가엾이 여겨 곧 받으셨다.
그 때 세존께서는 바라문을 위해 여러 가지로 설법하여 가르치시고 기쁘게 하셨다. 이 때 바라문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예배하고 물러갔다.
'아함경 주제별 정리 > 불교의 윤리도덕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 (6) 부처님의 33천에서의 安居 (0) | 2013.08.29 |
---|---|
효 (5) 효도와 보시 (0) | 2013.08.29 |
효 (3) 여래도 직접 부모에 공양한다. (0) | 2013.08.29 |
효 (2) 아무리 착한 일을 하여도 그 은혜를 갚을 수 없는 사람 (0) | 2013.08.29 |
효 (1) 항상 부모에게 효순하고 공양하기를 생각하라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