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생을 깨끗하게 하고, 근심․슬픔․번민․괴로움을 떠나 진여법(眞如法)을 얻게 하는 일승(一乘)의 법이 있나니, 이른바 4념처(念處)이다.
어떤 것이 네 가지인가? 몸을 몸 그대로 관찰하는 염처와 느낌[受]․마음[心]도 마찬가지며, 법(法)을 법 그대로 관찰하는 염처이다. 만일 4념처(念處)를 멀리 여읜다면 성현의 법을 멀리 여의게 되고, 성현의 법을 멀리 여의게 되면 거룩한 도를 멀리 여의게 되며, 거룩한 도를 멀리 여의게 되면 감로의 법을 멀리 여의게 되고, 감로의 법을 멀리 여의게 되면 태어남[生]․늙음[老]․병듦[病]․죽음[死]․근심․슬픔․번민․괴로움을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만일 4념처를 믿고 즐거워한다면 성현의 법을 믿고 즐거워하게 되고, 성현의 법을 믿고 즐거워하면 거룩한 도를 믿고 즐거워하게 되며, 거룩한 도를 믿고 즐거워하면 감로의 법을 믿고 즐거워하게 되며, 감로의 법을 믿고 즐거워하면 태어남․늙음․병듦․죽음․근심․슬픔․번민․괴로움을 벗어나게 될 것이다.
有一乘道。淨衆生。離憂.悲.惱苦。得眞如法。所謂四念處。何等爲四。身身觀念處。受.心.法法觀念處。若於四念處遠離者。於賢聖法遠離。於賢聖法遠離者。於聖道遠離。聖道遠離者。於甘露法遠離。甘露法遠離者。則不能脫生.老.病.死.憂.悲.惱苦。若於四念處信樂者。於聖法信樂。聖法信樂者。於聖道信樂。聖道信樂者。於甘露法信樂。甘露法信樂者。得脫生.老.病.死.憂.悲.惱苦。(獨一經 대정장 2/139 상; 한글대장경 잡아함경 인터넷판 pp. 764~765.)
'아함경 주제별 정리 > 수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념처 수행 (6) 四念處를 닦는 것 (0) | 2013.08.29 |
---|---|
사념처 수행 (5) 일승의 도 사념처 생각 (0) | 2013.08.29 |
사념처 수행 (3) 4념처를 닦아 익히고 또 닦아 익히는 것 (0) | 2013.08.29 |
사념처 수행 (2) 4념처를 즐거워하는 것 (0) | 2013.08.29 |
사념처 수행 (1) 사념처 수행을 하기 전에 할 것들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