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앙기국(鴦騎國)을 유행하실 적에 큰 비구들과 함께 마읍으로 가시어 비구들과 함께 마림사에 머무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사람들은 그대들을 보고 사문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너희들에게 사문인가고 물으면 너희들은 스스로 사문이라고 말하는가?"
모든 비구들이 아뢰었다.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너희들은 그런 뜻에서 사문으로서 마땅히 사문의 도의 자취[道迹]를 배워 사문답지 않게 되지 말라. 사문의 도의 자취를 배우고 나면 너희는 진정한 참 사문으로서 거짓 사문이 아니다. 따라서 너희들이 만일 의복 음식 평상 탕약과 여러 가지 생활 도구를 받으면, 그것을 공급해 준 사람은 큰 복과 큰 결과와 큰 공덕과 크고 넓은 과보를 얻을 것이다. 그러므로, 너희들은 그렇게 배워야 하느니라.
어떤 것이 사문의 도의 자취가 아니며, 또한 사문이 아닌가? 만일 탐욕이 있는데 탐욕을 쉬지 못하고, 성냄이 있는데 성냄을 쉬지 못하며, 미워함이 있는데 미워함을 쉬지 못하고, 말 끊음[不語]이 있는데 말 끊음을 쉬지 못하며, 맺힘[結]이 있는데 맺힘을 쉬지 못하고, 아낌이 있는데 아낌을 쉬지 못하며, 질투가 있는데 질투를 쉬지 못하고, 아첨이 있는데 아첨을 쉬지 못하며, 속임이 있는데 속임을 쉬지 못하고,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도 모르는데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모름을 쉬지 못하며,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도 모르는데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모름을 쉬지 못하며, 나쁜 욕심이 있는데 나쁜 욕심을 쉬지 못하며, 삿된 소견이 있는데 삿된 소견을 쉬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문의 때[垢]요 사문의 아첨이며, 사문의 거짓이요 사문의 굽음이며, 나쁜 곳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며, 이미 배운 것을 다하지 못한 것이고, 사문의 도의 자취가 아니며, 또한 사문이 아니니라.
비유하면 마치 머리도 있고 날도 있는 매우 예리한 새로 만든 도끼가 승가리(僧伽梨)에 싸여 있는 것과 같다. 나는 저 어리석은 자들이 사문의 도를 배우는 것도 또한 그와 같다고 말한다. 이른바 탐욕이 있는데 탐욕을 쉬지 못하고, 성냄이 있는데 성냄을 쉬지 못하며, 미워함이 있는데 미워함을 쉬지 못하고, 말 끊음이 있는데 말 끊음을 쉬지 못하며, 결(結)이 있는데 결을 쉬지 못하고, 아낌이 있는데 아낌을 쉬지 못하며, 질투가 있는데 질투를 쉬지 못하고, 아첨이 있는데 아첨을 쉬지 못하며,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이 없어 자신에 대한 부끄러워할 줄 모르며, 남에게 부끄러워함이 없어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모르고, 나쁜 욕심이 있는데 나쁜 욕심을 쉬지 못하며, 삿된 소견이 있는데 삿된 소견을 쉬지 못하니, 승가리를 입고 있지만 나는 그를 사문이라 말하지 않는다.
만일 승가리를 입은 자라면 탐욕이 있으면 탐욕을 쉬고, 성냄이 있으면 성냄을 쉬며, 미워함이 있으면 미워함을 쉬고, 말 끊음이 있으면 말 끊음을 쉬고, 결이 있으면 결을 쉬며, 아낌이 있으면 아낌을 쉬고, 질투가 있으면 질투를 쉬며, 아첨이 있으면 아첨을 쉬고,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모름이 있으면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알고,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모름이 있으면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알며, 나쁜 욕심이 있으면 나쁜 욕심을 쉬고, 삿된 소견이 있으면 삿된 소견을 쉬어야 한다. 또 그 친척과 벗들은 그에게 가서 이렇게 말해야 한다.
'어진이여, 그대는 마땅히 승가리 입기를 배워야 한다. 어진이여, 그대는 승가리 입기를 배워 탐욕이 있으면 탐욕을 쉬고, 성냄이 있으면 성냄을 쉬며, 미워함이 있으면 미워함을 쉬고, 말 끊음이 있으면 말 끊음을 쉬며, 결이 있으면 결을 쉬고, 아낌이 있으면 아낌을 쉬며, 질투가 있으면 질투를 쉬고, 아첨이 있으면 아첨을 쉬며,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모르면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알고,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모르면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알며, 나쁜 욕심이 있으면 나쁜 욕심을 쉬고, 삿된 소견이 있으면 삿된 소견을 쉬어야 한다.'
그러므로, 나는 승가리를 입은 자를 보더라도 그가 탐욕 성냄 미워함 말 끊음 결(結) 아낌 질투 아첨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모름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모름 나쁜 욕심 삿된 소견이 있으면, 그가 승가리를 입었더라도 나는 그를 사문이 아니라고 말한다.
이와 같이 옷이 없거나 머리를 땋거나 앉지 않거나 한끼를 먹거나 항상 목욕하거나 물을 지니는 것에 있어서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물을 지녔다고 해서 나는 그를 사문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만일 물을 지니는 자로서 탐욕이 있으면 탐욕을 쉬고, 성냄이 있으면 성냄을 쉬며, 미워함이 있으면 미워함을 쉬고, 말 끊음이 있으면 말 끊음을 쉬며, 결이 있으면 결을 쉬고, 아낌이 있으면 아낌을 쉬며, 질투가 있으면 질투를 쉬고, 아첨이 있으면 아첨을 쉬며, 속임이 있으면 속임을 쉬며,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모르면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알고,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모르면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알며, 나쁜 욕심이 있으면 나쁜 욕심을 쉬고, 삿된 소견이 있으면 삿된 소견을 쉬어야 한다. 또 그 친척과 벗들은 그에게 가서 이렇게 말해야 한다.
'어진 이여, 그대는 마땅히 물을 지녀야 한다. 그대는 물을 지니고 나서 탐욕이 있으면 탐욕을 쉬고, 성냄이 있으면 성냄을 쉬며, 미워함이 있으면 미워함을 쉬고, 말 끊음이 있으면 말 끊음을 쉬며, 결이 있으면 결을 쉬고, 아낌이 있으면 아낌을 쉬며, 질투가 있으면 질투를 쉬고, 아첨이 있으면 아첨을 쉬며,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모르면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알고,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모르면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알며, 나쁜 욕심이 있으면 나쁜 욕심을 쉬고, 삿된 소견이 있으면 삿된 소견을 쉬어라.'
그러므로, 나는 그가 물을 지닌 것을 보더라도 탐욕 성냄 미워함 말 끊음 결 아낌 질투 아첨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모름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모름 나쁜 욕심 삿된 소견이 있으면, 그가 아무리 물을 지니고 있다 하더라도 나는 그를 사문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이것이 사문의 도의 자취가 아니라 하고, 또한 사문도 아니라고 하는 것이니라.
어떤 것이 사문의 도의 자취이고, 또한 사문이 아니라고 하지 못하는 경우인가? 만일 탐욕이 있으면 탐욕을 쉬고, 성냄이 있으면 성냄을 쉬며, 미워함이 있으면 미워함을 쉬고, 말 끊음이 있으면 말 끊음을 쉬며, 번뇌가 있으면 번뇌를 쉬고, 아낌이 있으면 아낌을 쉬며, 질투가 있으면 질투를 쉬고, 아첨이 있으면 아첨을 쉬며,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모름이 있으면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할 줄 알고,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모름이 있으면 남에게 부끄러워할 줄 알며, 나쁜 욕심이 있으면 나쁜 욕심을 쉬고, 삿된 소견이 있으면 삿된 소견을 쉬는 것이다. 이것은 사문의 질투 사문의 아첨 사문의 거짓 사문의 굽음 등 나쁜 곳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을 이미 없앤 것이고, 사문의 도의 자취를 배운 것이며, 또한 사문이 아니라고 하지 못하는 경우이니라. 이것을 사문의 도의 자취라 하고, 또한 사문이 아니라고 하지 못하는 경우이니라.
그는 이와 같이 계를 성취하고, 몸도 청정하고, 입과 뜻도 청정하며 마음에는 탐욕도 없고 성냄도 없으며, 잠도 없고 들뜸과 교만도 없으며 의혹이 끊어지고, 바른 생각과 바른 지혜를 지녔고 어리석음이 없으며, 그 마음은 자애로움[慈]과 함께하여 1방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닌다. 이와 같이 2 3 4방과 4유 상 하 일체에 두루 한다. 그 마음은 자애로움과 함께하여 맺힘[結]도 없고 원망도 없으며, 성냄도 없고 다툼도 없다. 지극히 넓고 매우 크며, 한량없는 선행을 닦아 일체 세간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닌다. 이와 같이 불쌍히 여김[悲] 기뻐함[喜]에 있어서도 또한 그러하며, 그 마음은 평정함[捨]과 함께하여 결도 없고 원망도 없으며, 성냄도 없고 다툼도 없으며, 지극히 넓고 매우 크며 한량없는 선행을 닦아 일체 세간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니느니라.
그는 곧 이렇게 생각한다.
'추한 것도 있고 묘한 것도 있으며, 생각[想]도 있다. 이상 나열한 것에서 벗어나는 길을 사실 그대로 꼭 알아야 한다.'
그는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본 뒤에는 곧 욕심의 번뇌[欲漏]에서 마음이 해탈하고 생명의 번뇌[有漏]와 무명의 번뇌[無明漏]에서 마음이 해탈한다. 해탈한 뒤에는 곧 해탈한 줄을 알아 생이 이미 다하고, 범행은 이미 서고, 할 일을 이미 마쳐, 다시는 후세의 생명을 받지 않는다고 사실 그대로 안다.
마치 마을에서 멀지 않은 곳에 좋은 못이 있는데, 맑은 물이 가득 차 있고, 푸른 풀은 언덕을 덮었으며, 꽃과 나무는 사방에 둘러 있는 것과 같다. 그러면 혹 동쪽에서 굶주리고 목이 말라 지극히 피로한 어떤 사람이 와서, 언덕 위에서 옷을 벗고 못에 들어가 시원하게 목욕하여 때를 씻고 더위를 식히고 또한 목마름을 던다. 이렇게 남쪽 서쪽 북쪽에서도 굶주리고 목이 말라 지극히 피로한 어떤 사람들이 와서 언덕 위에서 옷을 벗고 못에 들어가 시원하게 목욕하여, 때를 씻고 더위를 식히고 또한 목마름도 던다. 이와 같이 찰리(刹利) 큰 종족의 아들이 수염과 머리를 깎고 가사를 입고, 지극한 믿음으로 집을 버려 가정이 없이 도를 배워, 마음의 행이 그치면 마음이 고요하게 된다. 이 마음이 고요한 사람을 나는 사문 범지 거룩한 사람 깨끗이 목욕한 사람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범지 거사 공사(工師)의 큰 종족의 아들들도 수염과 머리를 깎고 가사를 입고, 지극한 믿음으로 집을 버려 가정 없이 도를 배워 마음의 행이 그치면 마음이 고요하게 된다. 이 마음이 고요한 사람을 나는 사문 범지 거룩한 사람 깨끗이 목욕한 사람이라 하느니라.
어떤 자를 사문이라 하는가? 모든 착하지 않은 악법과 모든 누(漏)의 더러움과 미래 생명의 근본과 번거롭고 뜨거운 괴로움의 과보와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원인이 되는 것을 그치는 자, 이런 자를 사문이라 한다.
어떤 자를 범지(梵志)라 하는가? 모든 착하지 않은 악법과 모든 누의 더러움과 미래 생명의 근본과 번거롭고 뜨거운 괴로움의 과보와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원인이 되는 것을 멀리 여읜 자, 이런 자를 범지라 한다.
어떤 자를 거룩한 사람이라 하는가? 모든 착하지 않은 악법과 모든 누의 더러움과 미래 생명의 근본과 번거롭고 뜨거운 괴로움의 과보와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원인이 되는 것을 멀리 여읜 자, 이런 자를 거룩한 사람이라 한다.
어떤 자를 깨끗이 목욕한 사람이라 하는가? 모든 착하지 않은 악법과 모든 누의 더러움과 미래 생명의 근본과 번거롭고 뜨거운 괴로움의 과보와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원인이 되는 것을 깨끗이 씻은 자, 이런 자를 깨끗이 목욕한 사람이라 한다. 이들을 사문 범지 거룩한 사람 깨끗이 목욕한 사람이라 하느니라."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馬邑經하 대정장 1/725 하~726 하; 한글대장경 중아함경 인터넷판, pp. 1370~1374.
'아함경 주제별 정리 > 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가의 개념 (6) 무엇 때문에 출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 얻는 이익이 무엇인가? (0) | 2013.08.29 |
---|---|
승가의 개념 (5) 승려생활에서의 배워가는 차제 (0) | 2013.08.29 |
승가의 개념 (4) 사문의 정의와 위의 (0) | 2013.08.29 |
승가의 개념 (3) 비구의 위의 갖춤 (0) | 2013.08.29 |
승가의 개념 (1) 비구란?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