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라아자그리하의 카란다 대나무 동산에서 五백의 큰 비구들과 함께 계셨다.
그 때에 세존께서는 한량없는 대중에게 앞뒤로 둘러싸여 설법하고 계셨는데 어떤 장로 비구는 대중 가운데서 세존을 향해 발을 뻗고 졸고 있었다. 때에 수마나 사미는 나이 겨우 여덟인데 세존에게서 멀지 않은 데서 가부하고 앉아 생각을 매어 앞에 두고 있었다. 세존께서는 발을 뻗고 앉아 조는 장로 비구와 단정히 생각하고 앉아 있는 사미를 보시고 곧 다음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수염과 머리를 깎았다 하여
반드시 그가 장로 아니다
그는 아무리 나이 많아도
어리석은 그 행을 면치 못한다.
만일 네 가지 진리를 보고
어떤 생명도 해치지 않고
더럽고 나쁜 온갖 행 버리면
그야말로 장로라 부르느니라.
내가 말하는 이른바 장로란
반드시 남 먼저 집 떠난 이 아니다
그 착한 업의 근본을 닦고
바른 행을 분별하는 그를 말한다.
아무리 나이 어리더라도
모든 감관의 실수 없으면
그이야말로 장로라 이름하리
그는 바른 법행을 분별하거니.
그 때에 세존께서는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혹 이 장로가 발을 뻗고 조는 것을 보는가.”
“그러하나이다, 세존이시여. 저희들은 다 보나이다.”
“이 장로 비구는 五백 생 동안 죽 용으로 살았다. 만일 지금도 목숨을 마치면 반드시 용으로 태어날 것이다. 왜 그러냐 하면 그는 부처와 법과 중에 대해서 공경하는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만일 중생으로서 부처와 법과 중에 대해서 공경하는 마음이 없으면 그는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난 뒤에는 반드시 용으로 태어나느니라.
너희들은 혹 저 수마나 사미가 나이 겨우 여덟인데도 멀지 않은 곳에서 단정히 앉아 생각하고 있는 것을 보는가.”
“그러하나이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말씀하셨다.
“이 사미는 앞으로 이레 뒤에는 네 가지 신통과 네 가지 진리를 얻고, 네 가지 선정에서 자재를 얻고, 네 가지 끊기를 잘 닦을 것이다. 왜 그러냐 하면 이 수마나 사미는 부처와 법과 중을 향해 공경하는 마음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언제나 힘써 부처와 법과 중을 공경하도록 하라.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공부하여야 하느니라.”
그 때에 비구들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하여 받들어 행하였다.
대정장 2/659 하 ;『한글 증일아함경』1, pp. 417~418.
'아함경 주제별 정리 > 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제와 화합의 승가공동체 (2) 능히 악을 버리고 선을 닦아 익혀서 공경과 존중을 받는 30가지 (0) | 2013.08.29 |
---|---|
통제와 화합의 승가공동체 (1) 제자들이 세존을 공경하고 존중하며 받들어 섬기는 이유 (0) | 2013.08.29 |
승가의 특징 (6) 스승과 제자가 다 같은 법, 같은 글귀, 같은 이치, 같은 맛을 가짐. (0) | 2013.08.29 |
승가의 특징 (5) 몸은 비록 25세지만 80이상의 법을 성취한 사람들 (0) | 2013.08.29 |
승가의 특징 (4) 좋은 벗들의 모임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