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일 비구와 비구니가 戒德으로써 장엄하게 장식하는 도구를 삼으면, 禁戒를 가지는 것으로써 범행의 으뜸으로 삼으면, 6근(根)을 보호하는 것으로써 閤門을 지키는 사람으로 삼으면, 바른 생각을 성취하여 문을 지키는 장군으로 삼으면, 자기 마음을 성취하여 욕지로 삼으면, 착한 벗을 성취하여 목욕시키는 사람으로 삼으면, 계덕을 성취하여 바르는 향으로 삼으면, 부끄러워함을 성취하여 의복으로 삼으면, 4선을 성취하여 평상으로 삼고, 바른 생각을 성취하여 이발사로 삼으면, 기쁨을 성취함으로써 음식을 삼으면, 법미를 성취함으로써 음료수를 삼으면, 空ㆍ無願ㆍ無相의 세 가지 선정[定]으로써 꽃다발을 삼고, 지혜를 성취하여 집을 지키는 사람으로 삼으면, 4념처를 성취하여 조세로 삼으면, 4정단을 성취하여 네 종류의 군사로 삼으면, 4여의족을 성취하여 수레로 삼으면, 지관을 성취함으로써 수레를 삼으면, 바른 생각으로써 차 부리는 사람을 삼으면, 바른 8지성도를 성취함으로써 열반으로 나아가면, 곧 능히 악을 버리고 선을 닦아 익힐 것이다. 만일 비구와 비구니가 자기 마음을 관찰하기를 성취하여 몸의 깨끗함으로 삼으면, 곧 세존의 법과 비구들과 계와 게으르지 않음과 보시 및 선정을 공경하고 존중하며, 받들어 섬길 것이다.
三十喩經 대정장 1/518 하~520 중; 한글대장경 중아함경1, pp. 327~331.
'아함경 주제별 정리 > 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제와 화합의 승가공동체 (4) 공경받고 존중받으며 예로써 섬기는 10가지 행실 (0) | 2013.08.29 |
---|---|
통제와 화합의 승가공동체 (3) 대중의 이익을 생각하는 아난 (0) | 2013.08.29 |
통제와 화합의 승가공동체 (1) 제자들이 세존을 공경하고 존중하며 받들어 섬기는 이유 (0) | 2013.08.29 |
승가의 특징 (7) 장로란 반드시 남 먼저 집 떠난 이가 아니고, 바른 행을 분별하는 이를 말한다. (0) | 2013.08.29 |
승가의 특징 (6) 스승과 제자가 다 같은 법, 같은 글귀, 같은 이치, 같은 맛을 가짐.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