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통제와 화합의 승가공동체 (13) 공덕이 늘지 않고, 목숨이 끝난 뒤 지옥에 들어가게 되는 비구의 열가지와 반대 열가지

다르마 러브 2013. 8. 29. 15:29

비구들도 그와 같아서 만일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선의 근본인 공덕이 늘지 않고,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난 뒤에는 지옥에 들어가느니라.

열 가지 법이란 무엇인가. 만일 비구로서 계율을 가지지 않고 또 공경하고 정성스러운 마음이 없으면 이것은 비구의 첫째 법의 성취로서 마지막에 이를 곳을 얻지 못한다. 또 비구로서 부처님을 받들어 섬기지 않고 진실한 말을 믿지 않으면 이것은 비구의 둘째 법의 성취로서 오래 보존하지 못하느니라.

또 비구로서 법을 받들어 섬기지 않고 여러 가지 계율을 빠뜨리면 이것은 비구의 셋째 법의 성취로서 오래 보존하지 못한다. 또 비구로서 성중들을 받들어 섬기되 항상 제 뜻을 낮추어 그들의 받아들임을 믿지 않으면 이것은 비구의 넷째 법의 성취로서 오래 보존하지 못하느니라.

또 비구로서 이양하려는 마음에 탐착하여 그것을 버리지 않으면 이것은 비구의 다섯째 법의 성취로서 오래 보존하지 못한다. 또 비구로서 많이 배우지 않고 부지런히 읽고 익히고 외우지 않으면 이것은 비구의 여섯째 법의 성취로서 오래 보존하지 못하느니라.

또 비구로서 착한 벗과 사귀지 않고 항상 나쁜 벗과 사귀면 이것은 비구의 일곱째 법의 성취로서 오래 보존하지 못한다. 또 비구로서 늘 사무를 좋아하고 좌선하기를 생각하지 않으면 이것은 여덟째 법의 성취로서 오래 보존하지 못하느니라.

또 비구로서 다시 산수(算數)에 집착하여 길을 돌이켜 세속으로 나아가려 하면서 바른 법을 익히지 않으면 이것은 비구의 아홉째 법으로서 오래 보존하지 못한다. 또 비구로서 즐겨 범행을 닦지 않고 더러운 것에 탐착하면 이것은 비구의 열째 법으로서 오래 보존하지 못하느니라.

이것이 이른바 '비구로서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반드시 세 갈래 나쁜 길에 떨어지고 좋은 곳에 나지 못한다.'는 것이니라.

반대 열가지

비구들도 그와 같아서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팔을 굽혔다 펴는 사이에 천상에 날 것이니, 열 가지란 무엇인가. 이에 비구로서 계율을 받들어 가지고 계율의 덕을 완전히 갖추어 바른 법을 범하지 않으면 이것은 비구의 첫째 법의 성취로서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난 뒤에는 천상의 좋은 곳에 날 것이다. 또 비구로서 여래에게 공경하는 마음이 있으면 이것은 비구의 둘째 법의 성취로서 좋은 곳에 나느니라.

또 비구로서 법의 가르침에 순종하여 하나도 범함이 없으면 이것은 비구의 셋째 법의 성취로서 좋은 곳에 난다. 또 비구로서 공경스레 성중들을 받들되 게으른 마음이 없으면 이것은 넷째 법의 성취로서 좋은 곳에 나느니라.

또 비구로서 욕심이 적고 만족할 줄을 알아 이양에 집착하지 않으면 이것은 비구의 다섯째 법의 성취로서 천상에 날 수 있다. 또 비구로서 제 마음대로 하지 않고 항상 계법을 따르면 이것은 여섯째 법의 성취로서 좋은 곳에 나느니라.

또 비구로서 사무에 집착하지 않고 항상 좌선하기를 좋아하면 이것은 일곱째 법의 성취로서 천상에 날 수 있다. 또 비구로서 한적한 곳을 즐겨 해 사람 속에 살지 않으면 이것은 여덟째 법의 성취로서 좋은 곳에 나느니라.

또 비구로서 나쁜 벗과는 사귀지 않고 항상 착한 벗과 사귀면 이것은 아홉째 법의 성취로서 좋은 곳에 날 수 있다. 또 비구로서 항상 범행을 닦아 나쁜 법을 떠나고 많이 듣고 이치를 배워 그 차례를 잃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구로서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팔을 굽혔다 펴는 사이에 천상의 좋은 곳에 나느니라.

비구들이여, 이것이 이른바 '열 가지 비법의 행은 지옥에 들어간다.'는 것이니 부디 버리기를 생각하고, 열 가지 바른 법의 행을 받들어 닦도록 하라.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공부하여야 하느니라."

 

대정장 2/778 상-중 ;『한글 증일아함경』2, p.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