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 어떤 우바새로서 이 법과 율에서 모든 번뇌를 없애고……(내지)…… 후생에는 몸을 받지 않을 그런 사람이 있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바차 종족에게 말씀하셨다.
다만 하나 혹은 둘, 셋 내지 5백 우바새뿐만이 아니다. 많은 우바새가 모든 범행을 닦고, 이 법과 율 안에서 욕계의 다섯 가지 결박[五下分結]을 끊고 아나함(阿那含)을 얻어 다시는 이 세상에 도로 태어나지 않을 것이다.
바차 종족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또 우바새는 놓아두고, 혹 어떤 우바이가 이 법과 율 안에서 범행을 닦고 이 법과 율에 대해서 의심하지 않는 이가 있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바차 종족에게 말씀하셨다.
다만 하나 혹은 둘, 셋 내지 5백 우바새뿐만이 아니다. 많은 우바이가 모든 범행을 닦고, 이 법과 율 안에서 욕심세계의 다섯 가지 결박을 끊고, 저기서 바꿔 나서 아나함을 얻어 다시는 이 세상에 도로 태어나지 않을 것이다.
바차 종족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이로서 범행을 닦는 이들은 놓아두고, 혹 어떤 우바새가 다섯 가지 욕락(欲樂)을 누리면서도 이 법과 율에 대해서 의심하지 않는 이가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바차 종족에게 말씀하셨다.
다만 하나 혹은 둘, 셋 내지 5백 뿐만이 아니다. 많은 우바새들이 속가에 거처하면서 처자를 거느리고 향과 꽃으로 장식하며 종들을 두고 부려가면서도, 이 법과 율 안에서 세 가지 결박[三結]을 끊고 탐욕․성냄․어리석음이 엷어져서 사다함(斯陀含)을 얻어 천상과 인간 세계를 한 번씩 오간 뒤에는 마침내 괴로움을 완전히 벗어나는 이가 있다.
바차 종족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또 우바새는 그만두고, 혹 어떤 우바이가 다섯 가지 욕락을 누리면서도, 이 법과 율에 대해서 의심하지 않는 이가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바차 종족에게 말씀하셨다.
다만 하나나 둘 셋, 내지 5백뿐만이 아니다. 많은 우바이가 속가에 거처하면서 아들과 딸을 기르고 다섯 가지 향락을 누리고 향과 꽃으로 장식하면서도, 이 법과 율 안에서 세 가지 결박을 끊고 수다원(須陀洹)을 얻어, 나쁜 세계에 떨어지지 않고 결정코 삼보리(三菩提)로 바로 향해 한 번 천상과 인간 세상에 태어난 뒤에는 마침내 괴로움을 완전히 벗어나느니라.
有一優婆塞修諸梵行。於此法.律度狐疑不。佛告婆蹉。不但一.二.三。乃至五百優婆塞。乃有衆多優婆塞修諸梵行。於此法.律斷五下分結。得成阿那含。不復還生此。婆蹉白佛。復置優婆塞。頗有一優婆夷於此法.律修持梵行。於此法.律度狐疑不。佛告婆蹉。不但一.二.三優婆夷。乃至五百。乃有衆多優婆夷於此法.律斷五下分結。於彼化生。得阿那含。不復還生此。婆蹉白佛。置比丘.比丘尼.優婆塞.優婆夷修梵行者。頗有優婆塞受五欲。而於此法.律度狐疑不佛告婆蹉。不但一.二.三。乃至五百。乃有衆多優婆塞居家妻子。香華嚴飾。畜養奴婢。於此法.律斷三結。貪.恚.癡薄。得斯陀含。一往一來。究竟苦邊。婆蹉白佛。復置優婆塞。頗有一優婆夷受習五欲。於此法.律得度狐疑不。佛告婆蹉。不但一.二.三。乃至五百。乃有衆多優婆夷在於居家。畜養男女。服習五欲。華香嚴飾。於此法.律三結盡。得須陀洹。不墮惡趣法。決定正向三菩提。七有天人往生。究竟苦邊。(出家經 대정장 2/246 하~247 상; 한글대장경 잡아함경 인터넷판, pp. 1375~1376.)
'아함경 주제별 정리 > 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가생활 (32) 재가자의 전반적인 생활에 대한 법문 (중아함경 135 선생경) (0) | 2013.09.04 |
---|---|
재가생활 (31) 두려울때는 불법승 삼보를 생각하라. (0) | 2013.09.04 |
재가생활 (29) 만일 네가 생을 받고 싶거든, 부디 발원하여 호귀한 집에 나고 비천한 집에 나지 말라. (0) | 2013.09.04 |
재가생활 (28) 네 종류의 부인 (0) | 2013.09.04 |
재가생활 (27) 전륜성왕의 교화방법 (0) | 2013.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