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경전/중아함경

중아함경 제50권

다르마 러브 2012. 6. 26. 20:32

 

중아함경 제50권

 

 

192. 가루오다이경(加樓烏陀夷經)

 

 

 

이렇게 내가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앙가(鴦伽)국에 노닐으시면서 큰 비구들과 함께 아파나로 가시어 케니야[犍若鳥]라는 절에 계시었다.

그 때에 세존께서는 밤을 지내고 이른 아침에 가사를 입고, 바루를 가지고, 아파나로 들어가 걸식하시었다. 걸식을 마치고, 오후가 되어 가사와 바루를 챙기고, 손과 발을 씻은 뒤에 니시이다나를 어깨에 걸치고, 어떤 숲으로 가서 거닐고 계시었다.

그 때에 존자 우다아이[鳥陀夷]도 또한 밤을 지내고 이른 아침에 가사를 입고, 바루를 가지고, 아파나로 들어가 걸식을 마치고 오후가 되어 가사와 바루를 챙기고, 손과 발을 씻은 뒤에 니시이다나를 어깨에 걸치고, 부처님 뒤를 따라 모시면서 ‘만일 세존께서 지금 거닐고 계시면 나도 또한 거기 가서 거닐으리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세존께서는 숲 속으로 들어가 어떤 나무 밑에 이르러 니시이다나를 펴고 가부좌를 하고 앉으시었다. 존자 우다아이도 또한 그 숲 속으로 들어가, 부처님에게서 멀리 않은 어떤 나무 밑에 이르러 니시이다나를 펴고 가부좌를 하고 앉았다.

존자 우다아이는 고요한 곳에서 혼자 앉아 마음으로 이렇게 생각하였다. 곧 ‘세존께서는 우리들을 많이 이익하게 하신다. 선서께서는 우리들을 많이 안온하게 하신다. 세존께서는 우리들에게서 많은 괴로운 법을 덜어 주시고, 즐거운 법을 더해 주신다. 세존께서는 우리들에게 한량이 없는 착하지 않은 법을 덜어 주시고, 한량이 없는 모든 착하고 묘한 법을 더해 주신다.’고 하였다.

존자 우다아이는 해질녘에 고요한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계신 곳으로 나아가 부처님 발에 머리를 조아리고 물러나 한 쪽에 앉았다.

세존께서는 말씀하시었다.

“우다아이여, 아무 곤란 없이 안온하고 쾌락하며 기력은 한결같은가.”

“예예, 세존이시여, 저는 아무 곤란 없이 안온하고 즐거워 기운이 한결같나이다.”

세존께서는 다시 물으시었다.

“우다아이여, 너는 어떻게 아무 곤란 없이 안온하고 즐거워 기력이 한결같은가.”

“세존이시여, 저는 고요한 곳에서 혼자 앉아 마음으로 이렇게 생각하였나이다. 곧 ‘세존께서는 우리들을 많이 이익하게 하시고, 선서께서는 우리들을 많이 안온하게 하신다. 세존께서는 우리들에게 많은 괴로운 법을 덜어 주시고, 즐거운 법을 더해 주신다. 세존께서는 우리들에게서 한량이 없는 착하지 않은 법을 덜어 주시고, 한량이 없는 모든 착하고 묘한 법을 더해 주신다’고.

세존께서는 옛날 모든 비구들에게 ‘너희들은 오후의 음식을 끊으라.’고 말씀하셨나이다. 세존이시여, 저희들은 그 말씀을 듣잡고 그 말씀을 감당하지 못하였고, 그 말씀을 좋아하지도 않았나이다. ‘만일 어떤 믿음이 있는 바라문이나 거사가 저희들 동산에 와서 큰 보시로서 복을 지으면 우리는 제각기 손으로 받아 그것을 먹었다. 그런데 이제 세존께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게 하시고 선서께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게 하신다.’고 생각하였나이다. 또 저희들은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한다’고 말했나이다. 그러나 저희들은 세존의 위신(威神)과 묘한 덕을 공경하고 존중하기 때문에 참아 먹지 않았나이다. 그래서 저희들은 오후의 음식을 끊었나이다.

다시 세존께서는 옛날에 모든 비구들에게 ‘너희들은 범 음식을 끊으라.’고 말씀하였나이다. 세존이시여, 저희들은 그 말씀을 듣잡고도 그 말씀을 감당하지 못하였고, 그 말씀을 좋아하지도 않았나이다. ‘두 끼 중에서 가장 제일이요, 가장 묘하며, 가장 훌륭하고, 가장 아름다운 것인데, 이제 세존께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게 하시고, 선서께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게 하신다.’고 생각하였나이다. 또 저희들은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한다.’고 말하였나이다. 세존이시여, 옛날에 어떤 거사는 여러 가지 깨끗하고 묘한 음식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가 그 아내들에게 ‘너희들은 이것을 받아 한 곳에 잘 두라. 나는 여러 사람들과 함께 모여 밤에 먹고 아침이나 점심으로는 먹지 않으리라.’고 말하였나이다. 세존이시여, ‘만일 여러 집에서 베푸는 것으로서 지극히 묘하고 가장 훌륭한 것은 오직 밤 음식뿐인데 저희들은 아침이나 점심을 먹는다. 그런데 세존께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게 하시고, 선서께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게 하신다’고. 또 저희들은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한다.’고 말했나이다. 그러나 저희들은 세존의 위신과 묘한 덕을 공경하고 존중하기 때문에 참아 그것을 먹지 않았나이다. 그러므로 저희들은 밤 음식을 끊었나이다.

세존이시여, 저희들은 다시 이렇게 생각하였나이다. ‘어떤 비구는 그 때가 아닌 때에 마을에 들어가 걸식하다가 혹은 도적이 이미 일을 시작했고, 아직 일을 시작하기 전에 만나며, 혹은 호랑이를 만나고 사슴을 만나며, 혹은 호랑이와 사슴을 한꺼번에 만나고, 혹은 표범을 만나고 큰곰을 만나며, 혹은 표범과 큰곰을 한꺼번에 만나거나, 혹은 그러한 곳을 가다가 혹은 모진 코끼리, 모진 말, 모진 소, 모진 개를 만나고, 혹은 뱀 떼를 만나며, 혹은 흙덩이에 맞고, 혹은 막대기로 맞으며, 혹은 개울에 떨어지고, 혹은 뒷간에 빠지며, 혹은 누운 소를 타고 혹은 깊은 구덩이에 떨어지며, 혹은 가시덤불에 들고 혹은 빈집을 보고 그런 집에 들어가면 여자가 그를 보고 혹 불러 서로 부정한 짓을 행한다’고.

세존이시여, 옛날 어떤 비구는 어두운 밤에 보슬비가 오고, 번개가 번쩍번쩍 치는, 그 때가 아닌 때에 남의 집에 들어가 걸식하였나이다. 그 때에 그 집 부인은 밖에 나와 그릇을 씻다가 번개불빛 속으로 멀리서 비구를 보고 저것은 귀신이라 하여 놀라고 두려워 몸의 털이 다 일어서 저도 모르게 소리를 치는 바람에 뱃속의 아기가 떨어졌나이다. 그리고 ‘당신은 귀신입니다. 당신은 귀신입니다.’고 말했나이다. 때에 그 비구는 부인을 보고 ‘부인이여, 나는 귀신이 아닙니다. 나는 사문으로서 지금 걸식하러 왔습니다’고 말했나이다. 때에 부인은 그 비구를 지극히 매섭고 모질게 꾸짖으면서 ‘이 사문은 일찍 죽어라. 이 사문은 그 부모도 일찍 죽으라. 이 사문은 종자가 끊어져라. 이 사문은 배가 터져라 이 까까중은 스스로 몸에 재앙을 입어 자식 없어 종자가 끊어질 것이다. 너는 차라리 날랜 칼로 네 배를 가를지언정 때아닌 밤중에 걸식은 않아야 한다. 아, 이 사문은 내 아기를 떨구었구나.’고 하였나이다. 세존이시여, 저는 그것을 생각하자 곧 기쁨을 느끼었나이다. 세존이시여, 저는 그 때문에 기쁨이 온몸에 가득 차고, 바른 생각과 바른 지혜로서 기쁘고 고요하며, 즐거운 정(定)을 얻었나이다. 세존이시여, 저는 이 정이 온 몸에 가득 참으로 말미암아 바른 생각과 바른 지혜로 되었나이다. 이리하여 세존이시여, 저는 아무 곤란이 없이 안온하고 쾌락하여 기운이 한결같나이다.”

세존께서는 찬탄하여 말씀하시었다.

“착하고 착하다. 우다아이여, 너는 이제 저 어리석은 사람과는 다르다. 나는 그 어리석은 사람들을 위해 ‘너희들을 그것을 끊으라.’고 말한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이것은 조그만 일이다. 끊을 것도 못된다. 그런데 세존은 우리들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하고, 선서는 우리들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 한다.’고 말하면서 다시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한다’하고 그들은 그것을 끊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은 다만 내게 대해서 불만한 생각을 가졌을 뿐 아니라, 계를 잘 보호해 가지는 다른 비구들에 대해서도 또한 불만한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이다.

우다아이여, 저 어리석은 사람은 그 욕심에 아주 굳고 단단하게 결박되어, 갈수록 더하고 갈수록 급해서, 그것을 끊지 못하고, 거기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우다아이여, 그것은 마치 파리가 콧물이나 가래침에 결박되어 그 속에서 혹은 괴로워하고 혹은 죽는 것과 같다. 우다아이여, 만일 어떤 사람이 ‘그 파리는 굳고 단단하게 결박되지 않았고, 갈수록 더하고 급하지 않아서 그것을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면 그것을 바른 말이라 하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그 파리는 콧물이나 가래침에 결박되어 그 속에서 혹은 괴로워하고 혹은 죽나이다. 그러므로 세존이시여, 그 파리를 아주 굳고 단단하게 결박되어, 갈수록 더하고 갈수록 급해서, 그것을 끊지 못하고, 거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우다아이여, 너는 저 어리석은 사람들을 위해 ‘너희들을 그것을 끊으라고.’말하지마는 그들은 ‘이것은 조그만 일이다. 끊을 것도 없다. 그런데 세존은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하고, 선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고 하신다.’한다. 그리고 또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한다.’고 말하면서 그것을 끊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은 다만 내게 대해서만 불만한 생각을 가졌을 뿐 아니라, 계를 잘 보호해 가지는 다른 비구들에 대해서도 또한 불만한 생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저 어리석은 사람은 그 욕심에 아주 굳고 단단하게 묶이어, 갈수록 더하고 갈수록 급해서, 그것을 끊지 못하고, 거기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내가 만일 큰 종족의 아들들을 위해 ‘너희들은 그것을 끊으라.’고 말하면 그들은 ‘이것은 조그만 일이다. 끊을 것도 없다. 그런데 세존은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하고, 선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고 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리고 또 그들은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한다’고도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그것을 끊는다. 또 그들은 내게 대해서도 불만한 생각을 가지지 않고, 계를 잘 보호해 가지는 다른 비구들에 대해서도 또한 불만한 생각을 가지지 않는다. 우다아이여, 저 큰 종족의 아들들은 그렇게 굳고 단단하게 결박되지도 않고, 갈수록 더하고 급하지도 않아서 곧 그것을 끊고 거기서 벗어날 수 있느니라.

우다아이여, 그것은 마치 코끼리 왕은 나이 六十이 되어도 마하능가(摩訶能伽)를 업신여기고, 그 어금니와 발과 몸뚱이는 완전하여 힘이 왕성하다. 그는 아무리 단단하게 묶이었어도 한 번 힘을 내어 몸을 뒤치면, 그 단단한 결박을 곧 끊고 제 집으로 돌아가는 것과 같다. 우다아이여, 만일 어떤 사람이 ‘저 큰 코끼리 왕은 나이 六十이 되어도 마하능가를 업신여기고, 그 어금니와 발과 몸뚱이는 완전하여 힘이 왕성하다. 그러나 그는 아주 굳고 단단하게 묶이여, 갈수록 더하고 갈수록 급해서, 그것을 끊지도 못하고, 거기서 벗어나지도 못한다.’고 말한다면 그것을 바른 말이라 하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그 큰 코끼리 왕은 나이 六十이 되어도 마하능가를 업신여기고, 그 어금니와 발과 몸뚱이는 완전하여 힘이 왕성하나이다. 그는 아무리 굳고 단단하게 묶이었어도 만일 한번 힘을 내어 몸을 뒤치면, 그 단단한 결박을 곧 끊고 제 집으로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그러므로 그 큰 코끼리 왕은 나이 六十이 되어도 마하능가를 업신여기고, 그 어금니와 발과 몸뚱이는 완전하여 힘이 왕성하나이다. 그리고 그는 그렇게 굳고 단단하게 묶이지도 않고, 갈수록 더하고 급하지도 않아서, 그것을 끊고 곧 거기서 벗어날 수 있나이다.”

“그렇다, 우다아이여, 나는 저 큰 종족의 아들들을 위해 ‘너희들은 그것을 끊으라.’고 말하면 그들은 ‘이것은 조그만 일이다. 끊을 것도 없다. 그런데 세존은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하고, 선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고 말씀하신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은 또한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한다’고 말하지도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그것을 곧 끊는다. 또 그들은 내게 대해서도 불만한 생각을 가지지 않고, 계를 잘 보호해 가지는 다른 비구들에 대해서도 또한 불만한 생각을 가지지 않는다. 우다아이여, 저 큰 종족의 아들들은 그렇게 굳고 단단하게 묶이지 않고, 갈수록 더하고 급하지도 않아서, 그것을 곧 끊고 거기서 벗어나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만일 내가 저 어리석은 사람들을 위해 ‘너희들을 그것을 끊으라.’고 말하면 그들은 ‘이것은 조그만 일이다. 끊을 것도 없다. 그런데 세존은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하고, 선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 하신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은 또한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한다.’고 말하면서 그것을 끊지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다만 내게 대해서만 불만한 생각을 가졌을 뿐 아니라, 계를 잘 보호해 가지는 다른 비구들에 대해서도 또한 불만한 생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저 어리석은 사람들은 아주 굳고 단단하게 묶이어, 갈수록 더하고 갈수록 급해서, 그것을 끊지도 못하고, 거기서 벗어나지 못한다.

우다아이여, 그것은 마치 어떤 가난하고 궁한 사람이 재물도 없고 세력도 없다. 그에게 있는 하나인 아내는 애꾸눈으로서 추해서 사랑할 수 없으며, 오직 한 채 있는 집은 무너지고 새며 까마귀나 새들이 깃들고 더러워서 살수가 없으며, 거기에 있는 침상(寢床) 한 개도 부서지고 부러져 누울 수가 없으며, 마침 하나 있는 병도 깨어져 쓸데가 없었다. 그는 비구가 걸식을 마치고, 오후가 되어 손과 발을 깨끗이 씻고, 어떤 나무 밑에서 니시이다나를 펴고 앉아, 시원하고 고요하게 기운이 왕성한 마음을 닦는 것을 보았다. 그는 그것을 본 뒤에 ‘사문은 쾌락하다. 사문은 열반과 같다. 그런데 나는 악해서 덕이 없다. 무슨 까닭인가. 내게 있는 하나인 아내는 애꾸눈으로서 추해서 사랑할 수 없지마는, 그래도 버릴 수가 없다. 오직 한 채 있는 집은 무너져 새며, 까마귀나 새들이 깃들어 더러워서 살수가 없지마는 그래도 버릴 수가 없다. 거기에 있는 침상 한 개도 부서지고 부러져 누울 수가 없지마는 그래도 버릴 수가 없다. 마침 하나 있는 병도 깨어져 쓸데가 없지마는 그래도 버릴 수가 없다. 나는 차라리 저 비구를 좋아하여 수염과 머리를 깎고, 가사를 입고 지극한 믿음으로 집을 버리어 집이 없이 도를 배우자.’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우다아이여, 만일 어떤 사람이 ‘저 가난하고 궁한 사람은 재물도 없고 또한 세력도 없다. 그러나 그는 그 가난에 아주 굳고, 단단하고, 묶이지 않고, 갈수록 더하고 급하지 않아서 그것을 곧 끊고 거기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면 그것을 바른 말이라 하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그 가난하고 궁한 사람은 재물도 없고 또한 세력도 없나이다. 그에게 있는 하나인 애꾸눈으로서 추해서 사랑할 수 없지마는, 그래도 버릴 수가 없나이다. 오직 한 채 있는 집은 무너져 새며, 까마귀나 새들이 깃들어 더러워서 살수가 없지마는 그래도 버릴 수가 없나이다. 거기에 있는 침상 한 개도 부서지고 부러져 누울 수가 없지마는 그래도 버릴 수가 없나이다. 마침 하나 있는 병도 깨어져 쓸데가 없지마는 그래도 버릴 수가 없나이다. 그래서 그는 비구를 좋아하여 수염과 머리를 깎고, 가사를 입고, 지극한 믿음으로 집을 버리어 집이 없이 도를 배우려하나이다. 세존이시여, 그러므로 가난하고 궁한 사람은 재물도 없고 세력도 없지마는, 그 가난에 아주 굳고 단단하게 묶이어, 갈수록 더하고 급해서, 그것을 끊지도 못하고, 벗어나지도 못하나이다.”

“그렇다 우다아이여, 만일 내가 저 어리석은 사람들을 위해 ‘너희들은 그것을 끊으라.’고 말하면 그들은 ‘이것은 조그만 일이다. 끊을 것도 없다. 그런데 세존은 우리로 하여금 끊으라하고, 선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 하신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은 또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들은 그것을 끊지 못한다. 또 그들은 다만 내게 대해서 불만한 생각을 가졌을 뿐 아니라. 계를 잘 보호해 가지는 비구들에 대해도 불만한 생각을 가지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그러므로 저 어리석은 사람들은 아주 굳고 단단하게 묶이어, 갈수록 더하고 갈수록 급해서, 그것을 끊지도 못하고 거기서 벗어나지도 못하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만일 내가 저 큰 종족의 아들들을 위해 ‘너희들은 그것을 끊으라.’고 말하면 그들은 ‘이것은 조그만 일이다. 끊을 것도 없다. 그런데 세존은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하고, 선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 하신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리고 또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는 곧 그것을 끊는다. 또 그들은 내게 대해서도 불만한 생각을 가지지 않고, 계를 잘 보호해 가지는 다른 비구들에 대해서도 또한 불만한 생각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그러므로 저 큰 종족의 아들들은 아주 굳고 단단하게 묶이지도 않고 갈수록 더하고 갈수록 급하지도 않아서, 그것을 끊을 수도 있고, 거기서 벗어날 수도 있느니라.

우다아이여, 그것은 마치 어떤 거사나 거사의 아들은 아주 큰 부자로서 재물이 많이 있고, 목축과 산업은 헤아릴 수 없으며, 봉호(封戶)와 식읍(食邑)과 미곡이 풍부하며, 또 여러 가지 생활 도구와 종들과 코끼리, 말들도 그 수가 한량이 없다. 그는 비구가 걸식한 뒤에 오후가 되어 손과 발을 깨끗이 씻고, 어떤 나무 밑에 니시이다나를 펴고 앉아, 시원하고 고요하게 기운이 왕성한 마음을 닦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는 그것을 본 뒤에는 ‘사문은 쾌락하다. 사문은 열반과 같다. 나도 차라리 이 지극히 풍부한 금, 보물, 재산, 곡물, 코끼리, 말, 종들을 버리고 즐거이 저런 비구가 되어, 수염과 머리를 깎고, 가사를 입고 지극한 믿음으로 집을 버리고 집이 없이 도를 닦자.’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우다아이여, 만일 어떤 사람이 ‘저 거사나 거사의 아들은 부자에 아주 굳고 단단하게 묶이어, 갈수록 더하고 갈수록 급해서 그것을 끊지도 못하고, 거기서 벗어나지도 못한다’고 말한다면 그것을 바른 말이라 하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그 거사나 거사의 아들은 지극히 풍부한 금, 보물, 재산, 곡물, 코끼리, 말 종들을 버리고 즐거이 비구가 되어, 수염과 머리를 깎고, 가사를 입고, 지극한 믿음으로 집을 버리어 집이 없이 도를 배울 수 있나이다. 세존이시여, 그러므로 그 거사나 거사의 아들은 아주 굳고 단단하게 묶이지 않아, 갈수록 더하지도 않고 갈수록 급하지도 않아서, 그것을 곧 끊고 거기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 우다아이여, 만일 내가 저 큰 종족의 아들들을 위해 ‘너희들은 그것을 끊으라.’하면 그들은 ‘이것은 조그만 일이다. 끊을 것도 없다. 그런데 세존은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 하시고, 선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 하신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리고 또한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한다’고 말하지도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곧 그것을 끊는다. 또 그들은 내게 대해서도 불만한 생각을 가지지 않고, 계를 잘 보호해 가지는 다른 비구들에 대해서도 불만한 생각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그러므로 저 큰 종족의 아들들은 아주 굳고 단단하게 묶이지 않아, 갈수록 더하고 갈수록 급하지도 않아서, 곧 그것을 끊고 거기서 벗어날 수 있느니라.

우다아이여, 비구는 모든 법을 버리려고 한다. 그는 모든 법을 버리려고 하다가, 욕심과 서로 응하는 생각을 내어, 사랑하고 즐겨하는 데에 얽매인다. 그래서 그는 이 끊지도 않고 머무르지도 않으며 뱉지도 않는 것을 즐거워한다. 우다아이여, 나는 그것을 결박이라 말하고, 해탈이라 말하지 않는다. 무슨 까닭인가. 모든 번뇌는 좋지 않기 때문이다. 우다아이여, 모든 번뇌는 좋지 않기 때문에 나는 그것을 결박이라 말하고, 해탈이라 말하지 않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비구는 모든 법을 버리려 한다. 그는 모든 것을 버리려고 하다가, 욕심과 서로 응하는 생각을 내어, 사랑하고 즐겨하는 데에 얽매인다. 그래서 그는 이 끊고 머무르고 뱉는 것을 즐거워하지 않는다. 우다아이여, 나는 또한 그것을 결박이라 말하고, 해탈이라 말하지 않느니라.

우다아이여, 비구는 모든 법을 버리려 한다. 그는 모든 법을 버리려고 하다가 혹 때로는 그 뜻조차 함께 잊어버리고는 욕심과 서로 응하는 생각을 내어, 사랑하고 즐겨하는 데에 얽매어, 느린 관찰은 빨리 멸한다. 우다아이여, 마치 쇠뭉치나 쇠보습이 온종일 불에 달 때에 어떤 사람이 두, 세 방울 물을 떨어뜨리면 물방울이 계속하지 않아 물이 곧 없어지는 것과 같다. 우다아이여, 이와 같이 어떤 비구는 모든 법을 버리려 한다. 그는 모든 법을 버리려고 하다가, 그 뜻조차 함께 잊어버리고는, 욕심과 서로 응하는 생각이 있어, 사랑하고 즐겨하는 데에 얽매어, 느린 관찰은 빨리 멸한다. 우다아이여, 나는 또한 이것도 결박이라 말하고, 해탈이라 말하지 않는다. 무슨 까닭인가. 모든 번뇌는 좋지 않기 때문이다. 우다아이여, 모든 번뇌는 좋지 않기 때문에 나는 그것을 결박이라 말하고 해탈이라 말하지 않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모두가 괴로움의 뿌리 속에 있으면서 생사가 없는 데서 노닐고, 애욕이 다한 위없는 경계에서 마음이 잘 해탈하면 우다아이여, 나는 그것을 해탈이라 말하고, 결박이라 말하지 않는다. 무슨 까닭인가. 모든 번뇌가 이미 다하였기 때문이다. 우다아이여, 모든 번뇌가 다하였기 때문에 나는 그것을 해탈이라 말하고, 결박이라 말하지 않느니라.

우다아이여, 어떤 즐거움이 있으니 성인의 즐거움이 아니요 범부의 즐거움이다. 그것은 병의 근본이요 등창의 근본이며 화살과 가시[刺]의 근본이다. 그것은 밥이 있고 생, 사가 있으니 닦을 것도 아니요, 익힐 것도 아니며, 널리 펼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나는 그것을 닦을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우다아이여, 어떤 즐거움은 성인의 즐거움이다. 그것은 욕심이 없는 즐거움, 악을 떠난 즐거움, 번뇌를 쉰 즐거움, 바르게 깨닫는 즐거움이다. 그것은 밥도 없고 생, 사도 없으니 닦아야 할 것이요, 익혀야 할 것이며, 널리 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그것을 닦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니라.

우다아이여, 어떤 즐거움이 있으니 성인의 즐거움이 아니요 범부의 즐거움으로서, 그것은 병의 근본이요, 등창의 근본이며 화살과 가사의 근본이요, 밥이 있고 생, 사가 있어 닦을 것도 아니요, 익힐 것도 아니며, 널리 펼 것도 아니어서, 나는 그것을 닦을 것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다. 만일 五욕(欲)을 인하여 즐거움이 생기고 착함이 생기면 그것은 성인의 즐거움이 아니요 범부의 즐거움이다. 그것은 병의 근본이요, 등창의 근본이며, 화살과 가시의 근본이요, 밥이 있고 생, 사가 있으니 닦을 것이 아니요, 익힐 것이 아니며, 널리 펼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나는 그것을 닦을 것이 아니라고 말한 것이다. 우다아이여, 어떤 즐거움이 있으니 그것은 성인의 즐거움으로서 욕심이 없는 즐거움, 악을 떠난 즐거움, 번뇌를 쉰 즐거움, 바르게 깨달은 즐거움이며, 밥도 없고 생, 사도 없으니 닦아야 할 것이요, 익혀야 할 것이며, 널리 펴야 할 것이어서, 내가 그것을 닦아야 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만일 비구가 욕심을 떠나고 악해서 착하지 않은 법을 떠나 내지 제사선(第四禪)을 얻어 성취하여 노닐면 이 즐거움은 성인의 즐거움이다. 그것은 욕심이 없는 즐거움, 악을 떠난 즐거움, 번뇌를 쉰 즐거움, 바르게 깨달은 즐거움으로서 밥도 없고 생사도 없으니 닦아야 하고, 익혀야 하며, 널리 펴야 할 것이어서, 내가 그것은 닦아야 할 것이라고 말한 것이니라.

우다아이여, 어떤 비구는 욕심을 떠나고 착하지 않은 법을 떠났으나 머트러운 생각과 세밀한 생각은 있어, 욕계의 악을 떠나는 데서 생기는 기쁨과 즐거움이 있는 초선(初禪)을 얻어 성취하여 노니는데 성인은 이것을 이동(移動)한다고 말한다. 이 가운데 어떤 것을 성인은 이동한다고 말하는가. 그 가운데에는 머트러운 생각과 세밀한 생각이 있다. 이것을 성인은 이동한다고 말한다. 또 이 가운데 어떤 것을 성인을 이동한다고 말하는가. 우다아이여, 그 비구는 머트러운 생각과 세밀한 생각이 이미 쉬고, 안으로 고요해 한 마음이 되어, 머트러운 생각도 세밀한 생각도 없고 정(定)에 생기는 기쁨과 즐거움이 있는 제이선(第二禪)을 얻어 성취하여 노니는 데, 성인은 이것을 이동한다고 말한다. 이 가운데 어떤 것을 성인은 이동한다고 말하는가. 만일 여기서 기쁨을 얻으면 성인은 이것을 이동한다고 말하느니라.

또 그 가운데 어떤 것을 성인은 이동한다고 말하는가. 우다아이여, 그 비구는 기쁨의 욕심을 떠나고, 모든 법을 버리고 구함이 없이 노닐어, 바른 생각과 바른 지혜이면서도 몸으로 즐거움을 깨닫는다. 이른바 성인의 말씀하신 모든 법의 버림, 바른 생각, 의식(意識)의 즐거움과 공(空)이 있는 제 三선을 얻어 성취하여 노니는데, 성인은 이것을 이동한다고 말한다. 그 가운데 어떤 것을 서인은 이동한다고 말하는가. 만일 그것을 이동한다고 하여 마음으로 즐거워하면 성인은 그것을 이동한다고 말한다. 또 그 가운데 어떤 것을 성인은 이동하지 않는다고 말하는가. 우다아이여, 그 비구는 즐거움도 멸하고 괴로움도 멸하고, 기쁨과 근심은 본래 이미 멸하여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아서, 즐거움의 버림과 공덕의 생각과 청정이 있는 제 四선을 얻어 성취하여 노니는데, 성인은 이것을 이동하지 않는 것이라 말하느니라.

우다아이여, 어떤 비구는 욕심을 떠나고, 착하지 않은 법을 떠났으나, 머트러운 생각과 세밀한 생각은 있어서, 욕계의 악을 떠나는 데서 생기는 기쁨과 즐거움이 있는 초선을 얻어 성취하여 노닌다. 그러나 우다아이여, 나는 이것을 아직 없애지 못했다 하고, 끊지 못했다 하며, 한도(限度)를 넘지 못했다 한다. 그 가운데 어떤 것이 한도를 넘는 것인가. 우다아이여, 그 비구는 머트러운 생각과 세밀한 생각은 이미 쉬고, 안으로 고요해 한 마음이 되어 머트러운 생각도 없고, 세밀한 생각도 없어, 정(定)에서 생기는 기쁨과 즐거움이 있는 제 二선을 얻어 성취하여 노니는데, 이것을 그 가운데서 한도를 넘은 것이라 한다. 그러나 우다아이여, 나는 이것도 또한 아직 없애지 못했다 하며, 한도를 넘지 못했다 한다.

또 그 가운데 어떤 것이 한도를 넘는 것인가. 우다아이여, 그 비구는 기쁨의 욕심을 떠나고 모든 법을 버리고 구함이 없이 노닐어 바른 생각과 바른 지혜이면서도 몸으로 즐거움을 깨닫는다. 이른바 성인이 말씀하신 모든 법의 버림, 바른 생각, 의식의 즐거움과 공(空)이 있는 제 三선을 성취하여 노니는데, 이것을 그 가운데서 한도를 넘은 것이라 한다. 그러나 우다아이여, 나는 이것도 또한 아직 없애지 못했다 하고, 끊지 못했다 하며, 한도를 넘지 못했다 한다. 또 그 가운데 어떤 것이 한도를 넘는 것인가. 그 비구는 즐거움도 멸하고, 괴로움도 멸하고, 기쁨과 근심은 본래 이미 멸하여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아서 즐거움의 버림과 공덕의 생각과 청정이 있는 제 四선을 얻어 성취하여 노니는데, 이것을 그 가운데서 한도를 넘는 것이라 한다. 그러나 우다아이여, 나는 이것도 또한 아직 없애지 못했다 하고, 끊지 못했다 하며, 한도를 넘지 못했다 하느니라.

또 그 가운데 어떤 것이 한도를 넘는 것인가. 우다아이여, 그 비구는 일체의 빛깔이라는 생각을 지나 상대가 있다는 생각을 없애고, 약간의 생각[想]도 생각[念]하지 않아 한량이 없는 공(空)인, 이 한량이 없는 공처(空處)를 성취하여 노니는데, 이것을 그 가운데서 한도를 넘은 것이라 한다. 그러나 우다아이여, 나는 이것도 또한 아직 없애지 못했다 하고, 끊지 못했다 하며, 한도를 넘지 못했다 하느니라. 또 그 가운데 어떤 것이 한도를 넘는 것인가. 우다아이여, 그 비구는 일체 한량이 없는 공처를 지나서 한량이 없는 식(識)인, 이 한량이 없는 식처(識處)를 성취하여 노니는데, 이것을 그 가운데서 한도를 넘는 것이라 한다. 그러나 우다아이여, 나는 이것도 또한 아직 없애지 못했다 하고, 끊지 못했다 하며, 한도를 넘지 못했다 하느니라.

또 그 가운데 어떤 것이 한도를 넘는 것인가. 우다아이여, 그 비구는 일체 한량이 없는 식처를 지나서 공도 식도 없는 무소유(無所有)인, 이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성취하여 노니는데, 이것을 그 가운데서 한도를 넘는 것이라 한다. 그러나 우다아이여, 나는 이것도 또한 아직 없애지 못했다 하고, 끊지 못했다 하며, 한도를 넘지 못했다 한다. 또 그 가운데 어떤 것이 한도를 넘는 것인가. 그 비구는 일체 무소유처를 지나서 마음이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아닌 비유상비무상(非有想非無想)인, 비유상비무상처(非有想非無想處)를 성취하여 노니는데, 이것을 그 가운데서 한도를 넘는 것이라 한다. 그러나 우다아이여, 나는 비유상비무상처에까지 이르더라도 이것도 또한 아직 없애지 못했다 하고, 끊지 못했다 하며, 한도를 넘지 못했다 하느니라.

우다아이여, 비록 어떠한 번뇌라도 그것이 많거나 혹은 적거나 거기에 오래 머무르면, 나는 그것을 아직 없애지 못했다 하고, 끊지 못했다 하며, 한도를 넘지 못했다고 말한다. 그러면 나는 그것을 끊지 못한다고 말하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찬탄해 말씀하시었다.

“착하고 착하다, 우다아이여. 너는 저 어리석은 사람과 같지 않다. 내가 저 어리석은 사람들을 위해 ‘너희들은 그것을 끊으라.’고 말하면 그들은 ‘이것은 조그만 일이다. 끊을 것도 없다. 그런데 세존은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 하시고, 선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 하신다.’고 말한다. 그리고 또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한다’고도 말한다. 그래서 그들은 그것을 끊지 않는다. 또 그들은 다만 내게 대해서만 불만한 생각을 가졌을 뿐 아니라. 계를 잘 보호해 가지는 다른 비구들에 대해서도 불만한 생각을 가지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그러므로 저 어리석은 사람들은 아주 굳고 단단하게 묶이어, 갈수록 더하고 갈수록 급해서, 그것을 끊지도 못하고, 거기서 벗어나지도 못하느니라.

그러나 우다아이여. 만일 내가 저 큰 종족의 아들들을 위해 ‘너희들은 그것을 끊으라.’고 말하면, 그들은 ‘이것은 조그만 일이다. 끊을 것도 없다. 그런데 세존은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 하시고, 선서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끊으라 하신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리고 또 ‘이 큰 사문은 음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한다’고 말하지도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곧 그것을 끊는다. 또 그들은 내게 대해서도 불만한 생각을 가지지 않고, 계를 잘 보호해 가지는 다른 비구들에 대해서도 불만한 생각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우다아이여, 그러므로 저 큰 종족의 아들들은 아주 굳고 단단하게 묶이지 않아, 갈수록 더하고 갈수록 급하지 않아서, 그것을 곧 끊고, 거기서 벗어날 수 있느니라.”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었다. 존자 우다아이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받들어 행하였다.

 

 

 

193. 모리파군나경(牟犁破群那經)

 

 

 

이렇게 내가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에 노닐으시면서 승림 급고독원에 계시었다.

그 때에 <몰리야파군나> 비구는 비구니들과 함께 자주 모였다. 만일 어떤 사람이 몰리야파군나를 향해 비구니들을 두고 말하면, 그는 그 말을 듣고는 곧 성내고 미워하고 질투하여 이에 싸우게까지 하였다. 그리고 만일 어떤 사람이 비구니들을 향해 몰리야파군나 비구를 두고 말하면, 그 비구니들도 그 말을 듣고는 곧 성내고 미워하고 질투하여 이에 싸우게까지 하였다. 여러 비구들은 이 말을 듣고 곧 부처님께 나아가 부처님 발에 예배하고 물러나 한 쪽에 앉아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몰리야파군나 비구는 비구니들과 함께 모입니다. 그래서 만일 어떤 사람이 몰리야파군나 비구를 향해 비구니들을 두고 말하면, 그는 그 말을 듣고는 곧 성내고 미워하고 질투하여 이에 싸우게까지 하나이다. 그리고 또 만일 어떤 사람이 비구니들을 향해 몰리야파군나 비구를 두고 말하면, 그 비구니들은 그 말을 듣고는 곧 성내고 미워하고 질투하여 이에 싸우게까지 하나이다.”

세존께서는 이 말을 들으시고 한 비구에게 말씀하시었다.

“너는 몰리야파군나 비구에게 가서 세존께서 부르신다고 전하라.”

“예예, 그러하겠나이다. 세존이시여.”

그 비구는 이렇게 대답하고 곧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발에 머리를 조아리고 세 번 돌고 물러갔다. 그는 몰리야파군나 비구에게 가서

“세존께서 너를 부르신다.”

고 말하였다. 몰리야파군나는 그 말을 듣고 부처님께 나아가 예배하고 물러나 한 쪽에 앉았다.

세존께서는 말씀하시었다.

“파군나여, 너는 참으로 비구니들과 함께 자주 모이는가. 그리고 만일 어떤 사람이 너를 향해 비구니들을 두고 말하면, 너는 그 말을 듣고는 곧 성내고 미워하고 질투하여 이에 싸우게까지 하는가. 또 만일 어떤 사람이 비구니들을 향해 너를 두고 말하면, 그 비구니들도 그 말을 듣고는 곧 성내고 미워하고 질투하여 이에 싸우게까지 하는가. 파군나여, 너는 참으로 그러하느냐.”

“실로 그러하나이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다시 물으시었다.

“파군나여, 너는 지극한 믿음으로 집을 버리고 집이 없이 도를 배우는가.”

“그러하나이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말씀하시었다.

“파군나여, 그러므로 너는 지극한 믿음으로 집을 버리고 집이 없이 도를 배우거든 마땅히 배워야 한다. 곧 만일 욕심과 생각이 집 때문이거든 그것을 끊고, 만일 욕심과 생각이 욕심이 없는 것 때문이거든 그것을 익히고, 그것을 닦고, 그것을 널리 펴야 한다. 파군나여, 너는 마땅히 이렇게 배워야 하느니라.”

그 때에 세존께서는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시었다.

“너희들은 지극한 믿음으로 집을 버리어 집이 없이 도를 배우는가.”

“그러하나이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다시 말씀하시었다.

“모든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너희들은 지극한 믿음으로 집을 버리고 집이 없이 도를 배우거든 마땅히 배워야 한다. 곧 만일 욕심과 생각이 집 때문이거든 그것을 끊고, 만일 욕심과 생각이 욕심이 없는 것 때문이거든 그것을 익히고, 그것을 닦고, 그것을 널리 펴야 한다.

비구들이여, 너희들은 마땅히 이렇게 배워야 하느니라. 나는 옛날 여러 비구들에게 말하기를 ‘너희 비구들이여, 혹 어떤 비구는 지식이 많거나, 혹 어떤 비구는 지식이 적거나, 그들은 모두 한 번 앉아 먹기를 배우고, 한 번 앉아 먹기를 배운 뒤에는 애씀도 없고 구함도 없어서, 병이 없이 몸은 가볍고 기력은 편하고 단단하여 안온하고 쾌락하였다.’고 말한 일이 있다. 그 여러 비구들은 혹은 지식이 많거나 혹은 지식이 적거나 그들은 모두 한 번 앉아 먹기를 배우고, 한 번 앉아 먹기를 배운 뒤에는 애씀도 없고 구함도 없어서, 병이 없이 몸은 가볍고 기력은 편하고 단단하여, 안온하고 쾌락하였다. 그래서 그 여러 비구들은 모두 내 마음에 들었고, 나도 또한 그들을 많이 가르치지 않았으나 그 여러 비구들은 그로 말미암아 바른 생각이 생겨 법과 마음의 법으로 향하였다.

그것은 마치 말몰이가 마차를 탈 때에 오른 손에는 고삐를 잡고, 왼 손에는 채찍을 잡고, 八도(道)를 따라 마음대로 가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그 여러 비구들도 모두 내 마음에 들었고, 나도 또한 많이 가르치지 않았으나 그들은 이로 말미암아 바른 생각이 생겨 법과 마음의 법으로 향하였다. 또 그것은 마치 좋은 땅에 사알라[娑羅] 숲이 있는 것과 같다. 그 숲을 다스리는 사람이 총명하고 슬기로우며, 또 게으르지 않아서 그는 대를 따라 그 사알라 나무 뿌리를 기르되, 자주자주 호미로 북돋고, 비료를 주며 또 물을 대인다. 높은 데는 파 내리고 낮은 데는 쳐메꾸며, 만일 그 주위에 나쁜 풀이 나면 그것을 매어 없애 버리고, 만일 어울려 나서 굽고 틀리어 곧지 않으면 뿌리를 뽑아 따로 심으며, 만일 가지가 가로 굽으면 곧 그것을 당겨 바룬다. 그리고 만일 그 가까이 쪽 곧은 것이 새로 나면 곧 때를 따라 손질하되, 자주자주 호미로 북돋고, 비료를 주며 물을 대인다. 이렇게 하여 그 좋은 땅의 사알라나무 숲은 갈수록 더욱 무성해진다. 이와 같이 그 여러 비구들은 내 마음에 들었고, 나도 또한 많이 가르치지 않았다. 그리고 나는 그들이 옷, 바루, 음식, 평상, 탕약과 모든 생활 도구가 잘 얻어지기 때문에 말이 곱고 공순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무슨 까닭인가. 만일 그들이 그것들을 얻지 못하면 도리어 말이 곱지 않고 공순하지 않아서, 말이 곱지 않고 공순하지 않은 법을 성취하겠기 때문이니라.

만일 어떤 비구가 악을 멀리 떠나서 멀리 떠남을 의지하고, 멀리 떠난 데서 머물러, 말이 곱고 공순하여 고운 말과 공순한 법을 성취하면, 나는 그를 말이 곱고 공순하다고 말한다. 무슨 까닭인가. 혹 어떤 자는 잘 보호하고 착하게 노니는 것은 남이 나쁜 말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만일 남이 나쁜 말을 하지 않으면, 그는 곧 분내지도 않고 미워하지도 않으며, 근심에 휘감기지도 않고 성내지도 않으며, 악을 드러내지도 않는다. 여러 비구들은 그것을 보고 곧 ‘이 사람은 욕됨을 참고, 온화하여 견디며, 잘 제어하고, 잘 안정하고, 잘 쉰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만일 남이 나쁜 말을 하면 그는 곧 분내고 미워하며, 근심에 휘감기고 성내며 악을 드러낸다. 그 때에는 그 비구들은 그것을 보고 ‘이 사람은 성질이 모질고 급하고 더러워 미치광이와 같아서, 안정하지도 못하고, 제어하지도 못하며, 쉬지도 못한다.’고 생각한다.

무슨 까닭인가. 비구들이여, 옛날에 어떤 거사의 부인이 있었는데 이름을 베데히카아[鞞陀提]라고 하였다. 그는 큰 부자로서 재물이 많이 있고, 목축과 산업은 헤아릴 수 없었으며, 봉호(封戶)와 식읍(食邑)과 미곡이 풍부하였으며, 또 여러 가지 생활 도구도 풍부하였다. 그래서 그 때 그 부인은 큰 이름이 사방에 널리 퍼졌다. 그 부인은 욕됨을 참고 잘 견디며, 온화해서 잘 제어하고 잘 안정하고 잘 쉬었다. 그 때에 그 부인에게는 카알리[黑]라는 종이 있었다. 그녀는 본래부터 부인의 손종으로서, 묘하고 고운 말을 쓰고, 많은 착한 일을 행했다. 그 종 카알리는 ‘우리 집 거사의 부인 베데히카아는 이렇게 큰 이름이 사방에 퍼졌다. 또 그는 욕됨을 참고 잘 견디며, 온화하여 잘 제어하고, 잘 안정하며 잘 쉰다고 한다. 나는 이제 이 부인이 참으로 성을 내는가, 성을 내지 않는가. 시험해 보리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종 카알리는 아침에 일부러 누워서 일찍 일어나지 않았다. 부인은

‘카알리야, 왜 빨리 일어나지 않느냐.’고 불렀다. 카알리는 그 말을 듣고 곧 ‘우리 집 거사의 부인 베데히카아는 참으로 성을 낸다. 성을 내지 않는 것이 아니다. 다만 내가 요리를 잘 만들고 살림을 잘 살아 가지기 때문에, 이 우리 집 거사의 부인으로 하여금 이렇게 극히 큰 이름이 사방에 널리 퍼지고, 욕됨을 참고 잘 견디며, 온화하여 잘 제어하고, 잘 안정하고, 잘 쉬게 하는 것이다.

나는 이제 다시 우리 집 거사의 부인이 참으로 성을 내는가 성을 내지 않는가를 크게 시험해 보리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종 카알리는 아주 늦도록 까지 일어나지 않았다. 부인은

‘카알리야, 왜 이 때까지 일어나지 않느냐.’

고 불렀다. 카알리는 이 말을 듣고 ‘우리 집 거사의 부인은 참으로 성을 내고, 성을 내지 않는 것이 아니다. 다만 내가 요리를 잘 만들고 살림을 잘 살아 가지기 때문에 우리 집 거사의 부인으로 하여금, 이렇게 극히 큰 이름이 사방에 퍼지고, 또 욕됨을 참고 잘 견디며, 온화하여 잘 제어하고, 잘 안정하며, 잘 쉬게 할뿐이다. 나는 이제 다시 우리 집 거사의 부인이 참으로 성을 내는가, 성을 내지 않는가를 더 크게 시험해 보리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종 카알리는 해질녘에야 일어났다. 부인은

‘카알리야, 왜 해질녘에야 일어나서 제가 할 일도 하지 않고, 또한 남을 시킬 일도 시키지 않느냐. 이 년은 내 말도 듣지 않는구나. 이 년은 나를 업신여기는구나.’하고 부르짖다가 화가 치밀고 분통이 터져나와 이마에는 세줄 핏대를 세우고 얼굴을 실쭉거리면서 스스로 가서 문을 닫아 빗장을 채우고, 몽둥이로 머리를 때리니 머리가 터져 피가 흘렀다. 이에 종 카알리는 머리가 터져 피가 흐르자, 곧 나가 이웃에 말하고, 호소하는 소리로 시끄러이 여러 곳에 외치기를 ‘여러분, 이 욕됨을 참기를 공부하는 사람이 이렇게 잘 견디고 온화하여, 잘 제어하고, 잘 안정하며, 잘 쉬는 것을 보았습니까. 나를 꾸짖기를 이 종년 카알리야, 왜 해질녘에야 일어나서, 제가 할 일도 하지 않고, 남을 시킬 일도 시키지 않느냐. 이 년은 내 말도 듣지 않는구나. 이 년은 나를 업신여기는구나.고 하더니, 곧 화가 치밀고 분통이 터져 이마에는 세 줄 핏대를 세우고, 얼굴을 실쭉거리면서 스스로 가서 문을 닫아 빗장을 채우고, 몽둥이로 내 머리를 때려 머리가 터져 피가 흘렀습니다.’고 떠들어대었다.

그 때에 거사의 부인 베데히카아는 이렇게 하여 곧 지극히 나쁜 이름이 사방에 흘러 퍼졌다. 곧 ‘거사의 부인 베데히카아는 성질이 모질고 급하고 더러워, 미치광이 같아서 안정하지 못하고, 제어하지 못하며, 쉬지 못한다’고. 비구들이여, 이러한 것이 혹 어떤 자는 잘 보호하고 착하게 노니는 것은 남이 나쁜 말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만일 남이 나쁜 말을 하지 않으면 그는 곧 분내지도 않고, 미워하지도 않으며, 근심에 휘감기지도 않고, 성내지도 않으며, 악을 드러내지도 않는다. 여러 비구들은 그것을 보고 곧 ‘이 사람은 욕됨을 참고 온화하여 견디며, 잘 제어하고, 잘 안정하고, 잘 쉰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만일 남이 나쁜 말을 하면 그는 곧 분내고 미워하며, 근심에 휘감기고 성내며, 악을 드러낸다. 그 때에는 비구들은 그것을 보고 곧 ‘이 사람은 성질이 모질고 급하고 더러워, 미치광이 같아서, 안정하지도 못하며, 쉬지도 못한다.’고 생각하느니라.

다시 다섯 가지 말의 도(道)가 있으니, 혹 남이 말할 때 혹은 때에 알맞고, 혹은 때에 알맞지 않으며, 혹은 참되고 혹은 참되지 않으며, 혹은 부드럽고 딱딱하며, 혹은 상냥하고, 혹은 거칠며, 혹은 뜻이 있고, 혹은 뜻이 없는 것이다. 너희 비구들이여, 이 다섯 가지 말의 도에 있어서 만일 남이 말할 때에 혹 마음이 변하거나, 혹 입으로 나쁜 말을 하면, 나는 너희들은 그로 인해 반드시 쇠(衰)하리라고 말한다. 너희들은 마땅히 다섯 가지 말의 도를 배워야 한다. 만일 남이 말할 때에는 마음이 변하지 않고, 입에 나쁜 말이 없어서 원수를 향해서도 그를 위해 사랑하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그래서 마음은 사랑[慈]과 함께 하여 一방(方)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닐고, 이렇게 二, 三, 四방, 四유(維), 상, 하의 일체에 두루하고, 마음은 사랑과 함께 하기 때문에 맺음도 없고 원망도 없으며, 성냄도 없고 다툼도 없어, 지극히 넓고 매우 크고 한량이 없이 잘 닦아, 일체 세간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닌다. 이와 같이 슬픔[悲]과 기쁨[喜]에 있어서도 또한 그러하며, 마음은 버림[捨]과 함께 하기 때문에 맺음도 없고, 원망도 없으며, 성냄도 없고, 다툼도 없어, 지극히 넓고 매우 크고 한량이 없이 잘 닦아, 일체 세간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닐 것이니, 너희들은 마땅히 이렇게 배워야 하느니라.

마치 어떤 사람이 큰 호미와 가래를 가지고 와서 ‘나는 능히 이 땅덩이를 땅덩이 아닌 것으로 만들 수 있다.’하고, 곧 여러 곳을 파고 또 파고 가래침과 오줌으로 그것을 더럽히는 것과 같아서, 만일 나쁜 말을 하는 자가 이 땅덩이를 땅덩이 아닌 것으로 만들겠다고 말한다면 너희들 뜻에는 어떠하냐. 그 사람은 이런 방편으로써 능히 이 땅덩이를 땅덩이 아닌 것으로 만들 수 있겠는가.”

모든 비구들은 여쭈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이 땅덩이는 매우 깊고 지극히 넓어 헤아릴 수 없나이다. 그러므로 그 사람은 그런 방편으로 이 땅덩이를 땅덩이 아닌 것으로 만들 수 없나이다. 세존이시여, 그것은 다만 그 사람을 피로하게만 한 뿐일 것입니다.”

“그렇다, 이 다섯 가지 말의 도에 있어서 혹 남이 말할 때에, 혹은 때에 알맞고 혹은 때에 알맞지 않으며, 혹은 참되고 혹은 참되지 않으며, 혹은 부드럽고 딱딱하며, 혹은 상냥하고, 혹은 거칠며, 혹은 뜻이 있고, 혹은 뜻이 없다. 너희 비구들이여, 이 다섯 가지 말의 도에 있어서, 만일 남이 말할 때에, 혹은 마음이 변하거나 혹은 입으로 나쁜 말을 하면, 나는 너희들은 그로 인해 반드시 쇠하리라고 말한다. 너희들은 마땅히 이 다섯 가지 말의 도를 배워야 한다. 만일 남이 말할 때에는 마음이 변하지 않고 입에 나쁜 말이 없어서, 그 말하는 사람을 위해 사랑하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그래서 마음의 활동은 땅과 같아서 맺음도 없고 원망도 없으며, 성냄도 없고 다툼도 없어, 지극히 넓고 매우 크고 한량이 없이 잘 닦아 일체 세간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닐 것이니, 너희들은 마땅히 이렇게 배워야 하느니라.

마치 어떤 사람이 큰 횃불을 가지고 말하기를 ‘나는 이 횃불로써 항하수(恒何水)를 데워 끓일 것이다.’라고 한다면 너희들 뜻에는 어떠하냐. 그 사람은 그런 방편으로서 능히 항하수를 데워 끓일 수 있겠는가.”

모든 비구들은 여쭈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저 항하수는 매우 깊고 지극히 넓어 헤아릴 수 없나이다. 그러므로 그 사람은 그런 방편으로는 능히 항하수를 데워 끓일 수가 없나이다. 세존이시여, 그것은 다만 그를 피로하게만 할 뿐일 것입니다.”

“그렇다, 이 다섯 가지 말의 도에 있어서, 혹 남이 말할 때에 혹은 때에 알맞고 혹은 때에 알맞지 않으며, 혹은 참되고 혹은 참되지 않으며, 혹은 부드럽고 딱딱하며, 혹은 상냥하고, 혹은 거칠며, 혹은 뜻이 있고 뜻이 없다. 너희 비구들이여, 이 다섯 가지 말의 도에 있어서, 만일 남이 말할 때에, 혹 마음이 변하거나 혹은 입으로 나쁜 말을 하면, 나는 너희들은 그로 인해 반드시 쇠하리라고 말한다. 너희들은 마땅히 이 다섯 가지 말의 도를 배워야 한다. 만일 남이 말할 때에는 마음이 변하지 않고 입에 나쁜 말이 없어서 그 말하는 사람을 위해 사랑하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그래서 마음의 활동은 항하수와 같아서 맺음도 없고 원망도 없으며, 성냄도 없고 다툼도 없어, 지극히 넓고 매우 크고 한량이 없이 잘 닦아 일체 세간에 성취하여 노닐 것이니, 너희들은 마땅히 이렇게 배워야 하느니라.

마치 그림장이나 제자가 여러 가지 채색을 가지고 와서 ‘나는 이 허공에 형상을 그리고 채색으로 물칠해 장엄하리가.’고 말한다면 너희들 뜻에는 어떠하냐. 그 그림장이나 그림장이의 제자는 그런 방편으로 능히 허공에 형상을 그리고 채색으로 물칠해 장엄할 수 있겠는가.”

모든 비구들은 여쭈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저 허공은 물질이 아니어서 볼 수도 없고 상대할 수도 없나이다. 그러므로 그 그림장이나 그림장이의 제자는 그런 방편으로는 능히 허공에 형상을 그리고 채색으로 물칠해 장엄할 수 없나이다. 세존이시여, 그것은 다만 그 그림장이나 그림장이의 제자를 피로하게만 할 뿐일 것입니다.”

“그렇다, 이 다섯 가지 말의 도에 있어서 혹 남이 말할 때에 혹은 때에 알맞고 혹은 때에 알맞지 않으며, 혹은 참되고 혹은 참되지 않으며, 혹은 부드럽고 딱딱하며, 혹은 상냥하고, 혹은 거칠며, 혹은 뜻이 있고, 혹은 뜻이 없다. 너희 비구들이여, 만일 남이 말할 때에 혹은 마음이 변하거나 혹은 입으로 나쁜 말을 하면, 나는 너희들은 그로 인해 반드시 쇠하리라고 말한다. 너희들은 마땅히 이 다섯 가지 말의 도를 배워야 한다. 만일 남이 말할 때에는 마음이 변하지 않고 입에 나쁜 말이 없어서, 그 말한 사람을 위해 사랑하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그래서 마음의 활동은 허공과 같아서 맺음도 없고 원망도 없으며, 성냄도 없고 다툼도 없어, 지극히 넓고 매우 크고 한량이 없이 잘 닦아 일체 세간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닐 것이니, 너희들은 마땅히 이렇게 배워야 하느니라.

또 마치 고양이 가죽 주머니를 부드럽게 다루어 지극히 연하게 하고 찔꺽거리는 소리를 없애어 찔꺽거리는 소리가 없는 것과 같아서, 혹 어떤 사람이 주먹으로 치거나 돌을 던지고, 막대기로 때리거나 혹은 칼로 베고, 혹은 땅에 메치면 너희들 뜻에는 어떠하냐. 그 부드럽게 다루어 지극히 연하고 찔꺽거리는 소리를 없애어 찔꺽거리는 소리가 없는 고양이 가죽 주머니가 다시 찔꺽거리는 소리를 내겠는가.”

모든 비구들은 여쭈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그 고양이 가죽 주머니는 부드럽게 다루어 지극히 연하고 찔꺽거리는 소리를 없애어 찔꺽거리는 소리가 없나이다. 그러므로 다시는 찔꺽거리는 소리를 내지 않나이다.”

“그와 같이 비구들이여, 혹 어떤 사람은 주먹으로 치거나 돌을 던지고, 막대기로 때리거나 칼로 벨 것이다. 비구들이여, 만일 어떤 사람이 주먹으로 치거나 돌을 던지고, 막대기로 때리거나 또는 칼로 벨 때에, 혹은 마음이 변하거나 입으로 나쁜 말을 하면, 나는 너희들은 그로 인해 반드시 쇠하리라고 말한다. 너희들은 마땅히 이 다섯 가지 말의 도를 배워야 한다. 만일 남이 주먹으로 치거나 돌을 던지고, 막대기로 때리거나 또는 칼로 벨 때에는, 마음이 변하지 않고 입에는 나쁜 말이 없어서, 그 때린 사람을 위해 사랑하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그래서 마음의 활동은 고양이 가죽 주머니와 같아서 맺음도 없고 원망도 없으며, 성냄도 없고 다툼도 없어, 지극히 넓고 매우 크고 한량이 없이 잘 닦아 일체 세간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닐 것이니, 너희들은 마땅히 이렇게 배워야 하느니라.

혹은 어떤 도적이 와서 낼랜 톱이나 칼로써 너희들의 몸을 마디마디 끊어 다룰 것이다. 비구들이여, 만일 어떤 도적이 와서 날랜 톱이나 칼로써 너희들의 몸을 마디마디 끊어 다룰 때에, 혹은 마음이 변하거나 입으로 나쁜 말을 하면, 나는 너희들은 그로 인해 반드시 쇠하리라고 말한다. 너희들은 마땅히 배워야 한다. 만일 어떤 도적이 와서 낼랜 톱이나 칼로서 너희들의 몸을 마디마디 끊어 다룰 때에는, 마음은 변하지 않고 입에는 나쁜 말이 없어서, 그 끊는 사람을 위해 사랑하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그래서 마음은 사랑과 함께 하여 一방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닐고, 이렇게 二, 三, 四방, 四유, 상, 하의 일체에 두루하고, 마음은 사랑과 함께 하기 때문에 맺음도 없고 원망도 없으며, 성냄도 없고 다툼도 없어, 지극히 넓고 매우 크고 한량이 없이 잘 닦아, 일체 세간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닌다. 이와 같이 슬픔과 기쁨에 있어서도 또한 그러하며, 마음은 버림과 함께 하기 때문에 맺음도 없고 원망도 없으며, 성냄도 없고 다툼도 없어, 지극히 넓고 매우 크고 한량이 없이 잘 닦아 일체 세간에 두루 차서 성취하여 노닐 것이니, 너희들은 마땅히 이렇게 배워야 하느니라.”

이에 세존께서는 모든 비구들을 찬탄하여 말씀하시었다.

“착하고 착하다, 비구들이여, 너희들은 마땅히 날랜 톱과 칼의 비유로써 사문의 가르침에 비유하는 것을 자주 자주 생각하여야 한다. 날랜 톱과 칼의 비유로서 사문의 가르침에 비유하는 것을 자주자주 생각한 뒤에는, 너희들은 혹 남이 좋지 못한 나쁜 말로써 너희들을 행해 오는 것을 보면, 너희들은 그것을 참고 견디지 못하겠는가.”

모든 비구들은 여쭈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다시 모든 비구들을 찬탄해 말씀하시었다.

“착하고 착하다, 비구들이여, 너희들은 마땅히 날랜 톱과 칼의 비유로써 사문의 가르침에 비유하는 것을 자주 자주 생각하여야 한다. 날랜 톱과 칼로써 사문의 가르침에 비유하는 것을 자주자주 생각한 뒤에는, 만일 너희들이 동방에서 노닐면 반드시 안락을 얻어 여러 가지 괴로운 재앙이 없을 것이요, 남방, 서방, 북방에 노닐어도 반드시 안락을 얻어 여러 가지 괴로운 재앙이 없을 것이다. 착하고 착하다, 비구들이여, 너희들은 마땅히 날랜 톱과 칼로써 사문의 가르침에 비유하는 것을 자주 자주 생각하여야 한다. 너희들은 날랜 톱과 칼로써 사문의 가르침에 비유하는 것을 자주자주 생각한 뒤에는, 나는 오히려 너희들이 모든 착한 법에 머무른다고도 말하지 못하겠거늘, 하물며 쇠퇴(衰退)한다고 말하겠는가. 다만 밤, 낮으로 착한 법을 자라게 하고 쇠퇴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착하고 착하다. 너희들은 마땅히 날랜 톱과 칼로써 사문의 가르침에 비유하는 것을 자주 자주 생각하여야 한다. 비구들이여, 날랜 톱과 칼로서 사문의 가르침에 비유하는 것을 자주자주 생각한 뒤에는, 二과(果) 중에서 반드시 그 하나를 얻을 것이니, 곧 혹은 현세에서 구경(究竟)의 지혜를 얻고, 혹은 다시 남음이 있어 아나함(阿那含)을 얻을 것이니라.”

부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시었다.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하여 받들어 행하였다.

 

 

중아함경 제50권.hwp

중아함경 제50권.hwp
0.06MB

'초기경전 > 중아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아함경 제52권  (0) 2012.06.26
중아함경 제51권  (0) 2012.06.26
중아함경 제49권  (0) 2012.06.26
중아함경 제48권  (0) 2012.06.26
중아함경 제47권  (0) 2012.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