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을 유행하실 적에 승림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에 모리파군누(牟利破群) 비구가 계율을 버리고 도 닦기를 그만두었다. 흑치(黑齒) 비구는 모리파군누 비구가 계율을 버리고 도 닦기를 그만두었다는 말을 듣고, 곧 존자 사리자에게 나아가 머리를 조아려 발에 예배하고, 물러나 한쪽에 앉아 아뢰었다.
"사리자여, 모리파군누 비구가 계율을 버리고 도 닦기를 그만두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존자 사리자가 말했다.
"모리파군누 비구는 이 법에 대하여 애착을 가지고 좋아하는가?"
흑치 비구가 도리어 반문했다.
"존자 사리자께서는 이 법에 대하여 애착을 가지고 좋아하십니까?"
존자 사리자가 대답했다.
"흑치여, 나는 이 법에 대해서 아무 의혹도 없다."
흑치 비구가 다시 물었다.
"존자 사리자여, 미래의 일에 대해서는 또한 어떠합니까?"
"흑치여, 나는 미래의 일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말을 듣고 망설임이 없다."
흑치 비구는 이와 같은 말을 듣고 곧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께 나아갔다. 그는 머리를 조아려 예배하고 물러나 한쪽에 앉아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존자 사리자는 지금 제 자신을 지칭하여 '지혜를 얻었고 생이 이미 다했으며, 범행이 이미 섰고, 할 일을 이미 마쳐 다시는 후생에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 그대로를 안다'고 말하였습니다."
세존께서 그 말을 들은 뒤 어떤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사리자에게 가서 '세존께서 너를 부르신다'고 말하여라."
그 비구는 분부를 받은 뒤 곧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께 예배하고 떠났다. 그는 사리자를 찾아가서 말하였다.
"세존께서 존자 사리자님을 부르십니다."
사리자는 그 말을 듣고 곧 부처님께 나아가 머리를 조아려 예배하고 물러나 한쪽에 앉았다.
세존께서 물으셨다.
"사리자야, 너는 지금 제 자신을 지칭하여 '나는 지혜를 얻었고 생이 이미 다했으며, 범행이 이미 섰고, 할 일을 이미 마쳐 다시는 후생에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 그대로를 안다'고 말하였는가?"
사리자가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그런 글을 쓰지 않았고 그런 글귀를 쓰지 않았습니다. 저는 다만 이치만을 설명했을 뿐입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사리자야, 족성자는 그 방편을 따라 일컬어 말한다. 지혜를 얻었으면 곧 지혜를 얻었다고 말이니라."
"세존이시여, 저는 아까 이미 '그런 글을 쓰지 않았고 그런 글귀를 쓰지 않았습니다. 저는 다만 이치만을 설명했을 뿐입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편주:어떻게 보면 여기까지는 사리불은 억울해하는 기분이 든다. 사실 자신은 하지도 않은 말 가지고 그러니 억울하지 않겠는가?)
세존께서 물으셨다.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너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는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보았기에 자신을 지칭하여 (나는 지혜를 얻었고 생이 이미 다했으며, 범행이 이미 섰고, 할 일을 이미 마쳐 다시는 후생에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 그대로를 안다)고 말하는가?'라고 묻는다면 사리자야, 너는 이 말을 듣고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편주:여기에서 부처님이 방향을 살짝 돌려서 묻는다. 가정법으로 바꾸어서 질문을 한 것이다.)
존자 사리자가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저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너는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보았기에 자신을 지칭하여 (나는 지혜를 얻었고 생이 이미 다했으며, 범행이 이미 섰고, 할 일을 이미 마쳐 다시는 후생에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 그대로를 안다)고 말하는가'라고 묻는다면,(이 때 갑자기 생각지도 못한 질문을 받은 사리불은 조금 당황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나중에 '아마 대답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생각했었다고 솔직히 말하고 있다.) 세존이시여, 저는 이 말을 듣고 '여러분, 생겨나는 것은 모두 그 원인[因]이 있다. 이 생의 원인이 다했을 적에 이 생의 원인이 다한 줄을 알았기에 나는 자신을 지칭하여 (나는 지혜를 얻었고, 생이 이미 다했으며, 범행이 이미 섰고, 할 일을 이미 마쳐, 다시는 후생에 생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 그대로를 안다)고 말한 것이다'라고 대답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저에게 와서 묻는다면 저는 이렇게 대답하겠습니다."
세존께서 찬탄하며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그렇게 묻거든 너는 마땅히 그와 같이 대답하라. 왜냐 하면 그렇게 말하면 그들은 마땅히 그 뜻을 알 것이기 때문이다." (편주:이 부처님의 말 한 마디가 사리불에게 큰 힘을 실어주었다. 말을 하면서도 정확성에서 의문을 가지고 있었는데 부처님의 이 칭찬이 사리불에게 확신을 갖게 해 주고 자신감을 심어주었다.)
세존께서 물으셨다.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들이 너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생은 무엇을 인(因)으로 하고 무엇을 연(緣)으로 하며, 무엇을 따라 나고 무엇을 근본으로 하는가?'라고 묻는다면, 너는 그 말을 듣고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저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생은 무엇을 인으로 하고 무엇을 연으로 하며, 무엇을 따라 나고 무엇을 근본으로 하는가?' 하고 묻는다면 세존이시여, 저는 그 말을 듣고 '여러분, 생은 유(有)를 인으로 하고 유를 연으로 하며, 유를 따라 나고 유를 근본으로 한다'고 대답할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저에게 와서 이렇게 물으면 저는 이와 같이 대답하겠습니다."
세존께서 찬탄하며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그렇게 묻거든 너는 그와 같이 대답하라. 왜냐 하면 그렇게 말하면 그들은 마땅히 그 뜻을 알 것이기 때문이다."
세존께서 물으셨다.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너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유(有)는 무엇을 인으로 하고 무엇을 연으로 하며, 유는 무엇을 따라 나고 무엇을 근본으로 하는가?'라고 묻는다면, 너는 그 말을 듣고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저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유는 무엇을 인으로 하고 무엇을 연으로 하며, 유는 무엇을 따라 나고 유는 무엇을 근본으로 하는가?' 하고 묻는다면, 세존이시여, 저는 이 말을 듣고 '여러분, 유는 수(受)를 인으로 하고 수를 연으로 하며, 수를 따라 나고 수를 근본으로 한다'고 대답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이렇게 묻는다면 마땅히 저는 이와 같이 대답할 것입니다."
세존께서 찬탄하며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그렇게 묻거든 너는 그와 같이 대답하라. 그렇게 말하면 그들은 마땅히 그 뜻을 알 것이기 때문이다."
세존께서 물으셨다.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너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수(受)는 무엇을 인으로 하고 무엇을 연으로 하며, 무엇을 따라 나고 무엇을 근본으로 하는가?' 하고 묻는다면, 너는 그 말을 듣고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세존이시여, 저는 만일 범행자가 저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수는 무엇을 인으로 하고 무엇을 연으로 하며 , 무엇을 따라 나고 무엇을 근본으로 하는가?' 하고 묻는다면 세존이시여, 저는 이 말을 듣고 '여러분, 수는 애(愛)를 인으로 하고 애를 연으로 하며, 애를 따라 나고 애를 근본으로 한다'고 대답할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이렇게 묻는다면 저는 마땅히 이와 같이 대답하겠습니다."
세존께서 찬탄하며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그렇게 묻거든 너는 그와 같이 대답하라. 그렇게 말하면 그들은 그 뜻을 알 것이기 때문이다."
세존께서 물으셨다.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너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어떤 것을 애(愛)라고 하는가?' 하고 묻는다면, 너는 그 말을 듣고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세존이시여, 만일 범행자가 저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어떤 것을 애라고 하는가?' 하고 묻는다면 세존이시여, 저는 그 말을 듣고 '여러분, 이른바 3각(覺)이 있으니 즐거운 느낌[樂覺] 괴로운 느낌[苦覺]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은 느낌[不苦不樂覺]이다. 그 가운데서 즐기고자 하여 집착하는 것, 이것을 일러 애(愛)라고 한다'고 대답해 줄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이렇게 물으면 저는 마땅히 이와 같이 대답하겠습니다."
세존께서 찬탄하며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그렇게 묻거든 너는 마땅히 그와 같이 대답하라. 그렇게 말하면 그들은 그 뜻을 알 것이다."
세존께서 물으셨다.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너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당신은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보았기에, 저 3각(覺) 가운데서 즐기고자 하는 집착이 없는가?' 하고 묻는다면, 너는 그 말을 듣고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존자 사리자가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저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당신은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보았기에 저 3각 가운데서 즐기고자 하는 집착이 없는가?' 하고 묻는다면, 저는 이 말을 듣고 '여러분, 이른바 이 3각은 무상(無常)한 법이요, 괴로움의 법이며, 멸하는 법이다. 무상한 법은 곧 괴로움이니, 괴로움인 줄 알고 나서는 저 3각에 대해서 즐기고자 하는 집착이 없어졌다'고 대답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이렇게 물으면 저는 이와 같이 대답하겠습니다."
세존께서 찬탄하며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그렇게 묻거든 너는 마땅히 그와 같이 대답하라. 그렇게 말하면 그들은 그 뜻을 알아 들을 것이다."
그 때에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사리자야, 이 말은 또 이치가 있으니 간략하게 대답할 수가 있다. 사리자야, 이 말에 다시 어떤 뜻이 있기에 간략하게 대답할 수 있는가? 느끼는 것과 작용하는 모든 것은 다 괴로움이 따르는 것이니, 사리자야, 다시 이치가 있어 이 말을 간략하게 대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존께서 물으셨다.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너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어떻게 등진 채 향하지 않기에 스스로 (나는 지혜를 얻었고 생이 이미 다했으며, 범행이 이미 섰고, 할 일을 마쳐, 다시는 후세에 생명을 받지 않는다는 진실 그대로를 안다)고 말하는가?' 하고 묻는다면, 너는 그 말을 듣고 어떻게 대답하겠느냐?"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저에게 와서 '존자 사리자여, 어떻게 등진 채 향하지 않기에 스스로 (나는 지혜를 얻었고 생이 이미 다했으며, 범행이 이미 섰고, 할 일을 마쳐, 다시는 후세에 생을 받지 않는다는 진실 그대로를 안다)고 말하는가?' 하고 묻는다면 세존이시여, 저는 그 말을 듣고 '여러분, 나는 안에 대해서 등지고 향하지 않는다. 그래서 모든 애욕이 다하고, 놀람도 없고 두려움도 없으며, 의심도 없고 미혹도 없다. 이와 같이 수호하고, 그와 같이 수호한 다음에는 선하지 않은 번뇌[漏]를 내지 않는다'고 대답해 주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이렇게 물으면, 저는 이와 같이 대답하겠습니다."
세존께서 찬탄하며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사리자야, 만일 모든 범행자가 와서 그렇게 묻거든 너는 그와 같이 대답하라. 그렇게 말하면 그들은 마땅히 그 뜻을 알 것이기 때문이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사리자야, 다시 이치가 있어 이 말에 대하여 간략하게 대답할 수 있다.
'만약 모든 맺힘[結]에 대해서 사문이 말한 것이라면 그 맺힘은 나에게 있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수호하고, 그와 같이 수호한 다음에는 선하지 않은 번뇌를 내지 않는다. 사리자야, 이것이 이른바 '다시 이치가 있어 그 말에 대하여 간략하게 대답할 수 있다'는 것이니라."
세존께서 이와 같이 말씀해 마치시고 자리에서 일어나 방에 들어가 고요히 앉으셨다. 세존께서 방에 들어가신 뒤 조금 있다가 존자 사리자가 여러 비구들에게 말하였다.
"여러분, 내가 처음에 미처 생각하기 전에 세존께서 갑자기 이 이치를 물으셨다. 나는 '아마 대답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여러분, 내가 처음에 한 이치를 말했을 때 곧 세존께서는 옳다고 창찬하셨다. 그래서 나는 다시 이와 같이 생각했다.
'만일 세존께서 하루 낮 하룻밤을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내게 그 이치를 물으신다면, 나는 능히 세존을 위하여 하루 낮 하룻밤을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이 이치에 대하여 대답하리라. 만일 세존께서 2 3 4일 나아가 이레 낮 이레 밤 동안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그 이치에 대해 물으신다면, 나는 또 세존을 위하여 2 3 4일 나아가 이레 낮 이레 밤 동안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그 이치에 대하여 대답하리라.' "
흑치 비구는 존자 사리자가 이와 같이 말하는 것을 들은 뒤에 곧 자리에서 일어나, 재빨리 부처님께 나아가 여쭈었다.
"세존께서 방에 들어가시고 얼마 되지 않아 존자 사리자가 지극히 교만한 모습으로 한결같이 사자처럼 외치기를 '여러분, 내가 처음 미처 생각하기 전에 세존께서 갑자기 이 이치를 물으셨는데 나는 (아마 능히 대답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여러분, 내가 처음에 한 이치를 말했을 때 곧 세존께서는 옳다고 칭찬하셨다. 그래서 나는 다시 이와 같이 생각했다.
(만일 세존께서 하루 낮 하룻밤 동안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내게 이 이치에 대하여 물으신다면, 나는 세존을 위해 하루 낮 하룻밤 동안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그 이치에 대하여 대답하리라. 만일 세존께서 2 3 4일 나아가 이레 낮 이레 밤 동안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내게 이 이치를 물으신다면, 나는 또 세존을 위해 2 3 4일 나아가 이레 낮 이레 밤 동안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그 이치에 대하여 대답하리라)'고 말하였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흑치야, 그렇고 그렇다. 만일 내가 하루 낮 하룻밤 동안,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사리자 비구에게 그 이치를 묻더라도 사리자 비구는 반드시 나를 위해 하루 낮 하룻 동안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그 이치에 대하여 대답할 것이다. 흑치야, 만일 내가 2 3 4일 나아가 이레 낮 이레 밤 동안,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사리자 비구에게 그 뜻을 묻는다면 그 비구도 또한 충분히 나를 위해 2 3 4일 나아가 이레 낮 이레 밤 동안 다른 글과 다른 글귀로써 그 이치에 대하여 대답할 것이다. 흑치야, 사리자 비구는 법계(法界)에 대하여 깊은 이치를 통달하였기 때문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자, 존자 사리자와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智經 대정장 1/490 상~중; 한글대장경 중아함경 인터넷판, pp. 140~147.
'아함경 주제별 정리 > 전법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처님의 교육방법 6.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라훌라 교화 (0) | 2013.08.27 |
---|---|
부처님의 교육방법 5. 거닐면서 설법 (0) | 2013.08.27 |
부처님의 교육방법 3.서로 칭찬하고 찬탄하면서 이끌어가는 설법 (0) | 2013.08.27 |
부처님의 교육방법 2.실없이 거짓말을 하는 라훌라에게 물그릇을 이용해 가르침. (0) | 2013.08.27 |
부처님의 교육방법 1.대중들의 마음 속 변화를 계속 관찰하고, 적절한 질문을 하면서 법을 설하심 (0) | 201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