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반야바라밀경 13.如法受持分(이 경을 수지하는 방법) 13.如法受持分(이 경을 수지하는 방법)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경을 무엇이라 불러야 하며 저희들이 어떻게 받들어 지녀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 이 경의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이니, 이 제목으로 너희들은 받들어 지녀야 .. 대승경전/금강반야바라밀경 2012.06.23
금강반야바라밀경 12.尊重正敎分(올바른 가르침의 존중) 12.尊重正敎分(올바른 가르침의 존중) "또한 수보리여! 이 경의 사구게만이라도 설해지는 곳곳마다 어디든지 모든 세상의 천신, 인간, 아수라가 마땅히 공양할 부처님의 탑묘임을 알아야 한다. 하물며 이 경 전체를 받고 지니고 읽고 외우는 사람이랴! 수보리여! 이 사람은 가장 높고 가장 .. 대승경전/금강반야바라밀경 2012.06.23
금강반야바라밀경 11.無爲福勝分(무위법의 뛰어난 복덕) 11.無爲福勝分(무위법의 뛰어난 복덕) "수보리여! 항하의 모래 수만큼 항하가 있다면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이 모든 항하의 모래 수는 진정 많다고 하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항하들만 해도 헤아릴 수 없이 많은데 하물며 그것의 모래이겠습니까?".. 대승경전/금강반야바라밀경 2012.06.23
금강반야바라밀경 10.莊嚴淨土分(불국토의 장엄) 10.莊嚴淨土分(불국토의 장엄)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가 옛적에 연등 부처님 처소에서 법을 얻은 것이 있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연등 부처님 처소에서 실제로 법을 얻은 것이 없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보.. 대승경전/금강반야바라밀경 2012.06.23
금강반야바라밀경 9.相無相分(관념과 그 관념의부정) 9.相無相分(관념과 그 관념의부정)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수다원이 '나는 수다원과를 얻었다.'고 생각하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수다원은 `성자의 흐름에 든 자`라고 불리지만 들어 간 곳이 없으니 형색, 소리, 냄새, 맛, 감촉, 마음.. 대승경전/금강반야바라밀경 2012.06.23
금강반야바라밀경 8.依法出生分(부처와 깨달음의 어머니) 8.依法出生分(부처와 깨달음의 어머니)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칠보를 가득 채워 보시한다면 이 사람의 복덕이 진정 많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이 복덕은 바로 복덕의 본질이 아닌 까닭에 여래께.. 대승경전/금강반야바라밀경 2012.06.23
금강반야바라밀경 7.無得無設分(깨침과 설법이 없음) 7.無得無設分(깨침과 설법이 없음)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가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었는가? 여래가 설한 법이 있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을 이해하기로는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이라 할 만한 정해진 법이 없고, 또한 여래께서 .. 대승경전/금강반야바라밀경 2012.06.23
금강반야바라밀경 6.正信希有分(깊은 믿음) 6.正信希有分(깊은 믿음)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이와 같은 말씀을 듣고 진실한 믿음을 내는 중생들이 있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런 말 하지 말라. 여래가 열반에 든 오백년 뒤에도 계를 지니고 복덕을 닦는 이는 이러한 말에 신.. 대승경전/금강반야바라밀경 2012.06.23
금강반야바라밀경 5.如理實見分(여래의 참모습) 5.如理實見分(여래의 참모습)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여래라고 볼 수 있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여래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신체적 특징은 바로 신체적 특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 대승경전/금강반야바라밀경 2012.06.23
금강반야바라밀경 4.妙行無住分(집착 없는 보시) 4.妙行無住分(묘행무주분) “또한 수보리여! 보살은 어떤 대상에도 집착없이 보시해야 한다. 말하자면 형색에 집착없이 보시해야하며 소리, 냄새, 맛, 감촉, 마음의 대상에도 집착없이 보시해야 한다. 수보리여! 보살은 이와 같이 보시하되 어떤 대상에 대한 관념에도 집착하지 않아야 한.. 대승경전/금강반야바라밀경 2012.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