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가의 개념 (5) 승려생활에서의 배워가는 차제 마땅히 공경히 머물러야 하고 항상 마음을 잡아매고 늘 조심하고 삼가야 한다. 다른 사람을 따라 자재(自在)하게 모든 범행(梵行)을 닦으면서, 윗자리와 중간 자리와 아랫자리를 가려서 앉아라. 왜냐하면, 만일 어떤 비구가 공경히 머무르지 않고 마음을 잡아매지 않으며 조심하고 삼가하..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8.29
승가의 개념 (4) 사문의 정의와 위의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앙예촌(鴦藝村)에서 五백의 큰 비구들과 함께 계셨다. 그 때에 세존께서는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사람들은 너희들을 일컬어 사문이라 한다. 그래서 만일 너희들에게 '너는 사문이냐.'고 물으면 '나는 사문이다.'고 대답한다. 나는 이제 너..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8.29
승가의 개념 (3) 비구의 위의 갖춤 어떤 것을 비구가 모든 위의를 갖추었다 하는가 : 행해야 할 것은 행할 줄 알고 그쳐야 할 것은 그칠 줄 알며 좌우를 돌아보기와 몸을 펴고 굽히기와 굽어보고 쳐다보기와 옷을 입고 바루를 챙기기와 음식을 먹고 약을 쓰기에 법칙을 어기지 않고 좋은 방편을 써서 번뇌를 덜어버리며 다..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8.29
승가의 개념 (2) 어떤 자를 사문이라 하는가?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앙기국(鴦騎國)을 유행하실 적에 큰 비구들과 함께 마읍으로 가시어 비구들과 함께 마림사에 머무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사람들은 그대들을 보고 사문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너희들에게 사문인가고 물으면 너희..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8.29
승가의 개념 (1) 비구란? 이른바 비구란 걸식하기 때문만은 아니네. 세속의 법을 받아 가지면서 어떻게 비구라 이름하리요. 공덕과 허물을 모두 떠나 바른 행을 닦고 그 마음에 두려움 없으면 그를 곧 비구라 부르느니라. 所謂比丘者 非但以乞食 受持在家法 是何名比丘 於功德過惡 俱離修正行 其心無..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단 2013.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