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일 한량없이 착한 법을 얻을 수 있다면 그 일체는 방일하지 않음[不放逸]을 근본[本]으로 하고, 방일하지 않음을 원인[習]으로 하며, 방일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생기고, 방일하지 않음을 우두머리로 삼나니, 방일하지 않음은 모든 착한 법에서 가장 으뜸이 되느니라.
마치 농사를 짓는 것과 같나니, 그 일체는 땅을 인연하고 땅을 의지하며 땅에 서서 농사를 짓게 된다. 만일 이와 같이 한량없이 착한 법을 얻을 수 있다면, 그 일체는 방일하지 않음을 근본으로 하고, 방일하지 않음을 원인으로 하며, 방일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생기고, 방일하지 않음을 우두머리로 삼나니, 방일하지 않음은 모든 착한 법에서 가장 으뜸이 되느니라. pp. 313~314.
若有無量善法可得。彼一切以不放逸爲本。不放逸爲習。因不放逸生。不放逸爲首。不放逸者。於諸善法爲最第一。猶作田業。彼一切因地.依地.立地。得作田業。如是若有無量善法可得。彼一切以不放逸爲本。不放逸爲習。因不放逸生。不放逸爲首。不放逸者。於諸善法爲最第一。(喩經 대정장 1/647 중; 한글대장경 중아함경 인터넷판, p. 1015.)
'아함경 주제별 정리 > 수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행에 대한 금언 (6) 무아를 옳게 깨달으면 어떠한 형상에도 두려워할 게 없다. (0) | 2013.08.29 |
---|---|
수행에 대한 금언 (5) 미녀들 사이를 기름을 들고 걸을 때 칼든 사람이 뒤따르며 한 방울이라도 흘리면 목을 자르리라 한다면.... (0) | 2013.08.29 |
수행에 대한 금언 (3) 감각기관을 잘 닫고 음식의 양을 조절하며 초저녁과 새벽에도 늘 깨어 열심히 정근하라 (0) | 2013.08.29 |
수행에 대한 금언 (2) 방편을 써서 꾸준히 힘쓰라. 힘줄과 뼈가 드러나고 피와 살이 마르더라도… (0) | 2013.08.29 |
수행에 대한 금언 (1) 꾸준한 노력을 하라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