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슈라아바스티이의 제타숲 <외로운 이 돕는 동산>에 계시면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 가지 느낌이 있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즐거운 느낌과 괴로운 느낌과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은 느낌이다. 비구들이여, 알라. 그 즐거운 느낌이란 애욕의 번뇌요, 괴로운 느낌이란 성냄의 번뇌며,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은 느낌이란 어리석음의 번뇌이니라.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방편을 구해 이 번뇌를 없애도록 공부하여야 한다. 왜 그러냐 하면 마땅히 스스로 힘써 법을 수행하므로 써 비길 데 없는 법을 얻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알라. 내가 죽은 뒤에 어떤 비구는 스스로 힘쓰기를 생각하고 그 법을 수행하여 비길 데 없는 법을 얻을 것이니 그는 곧 제일 성문이니라.
비구들이여, 어떻게 스스로 힘써 법을 수행하고 법을 수행하고는 비길 데 없는 법을 얻게 되는가. 비구는 안으로 몸을 관찰하고 밖으로 몸을 관찰하며 안팎으로 몸을 관찰하여 스스로 유희한다. 안으로 느낌을 관찰하고 밖으로 느낌을 관찰하여 안팎으로 느낌을 관찰한다. 또 안으로 뜻을 관찰하고 밖으로 뜻을 관찰하여 안팎으로 뜻을 관찰한다. 또 안으로 법을 관찰하고 밖으로 법을 관찰하며 안팎으로 법을 관찰하여 스스로 유의하느니라.
이와 같이 비구들이여, 마땅히 스스로 힘써 그 법을 닦아 행하여 비길 데 없는 법을 얻어야 한다. 비구들이 이 법을 행하면 성문 가운데 제일 제자가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공부하여야 하느니라.”
그 때에 비구들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하여 받들어 행하였다.
대정장 2/607 중 ;『한글 증일아함경』1, pp. 232~233.
'아함경 주제별 정리 > 수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행실천 사례 (2) 거문고 타는 비유의 이십억이비구 수행이야기 (0) | 2013.08.29 |
---|---|
수행실천 사례 (1) 수행은 육체의 생과 사를 초월해야 함을 보연준 구지가 존자 (0) | 2013.08.29 |
기타수행 3) 염경(念經) (0) | 2013.08.29 |
기타수행 2) 자관심경(自觀心經) (0) | 2013.08.29 |
기타수행 1) 일입지도경(一入之道經)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