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바아라아나시이의 사슴 동산에서 五백의 큰 비구들과 함께 계시면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덧없다는 생각을 닦고 덧없다는 생각을 널리 펴라. 덧없다는 생각을 닦고 덧없다는 생각을 널리 펴면 곧 욕심 세계의 애욕을 끊고 형상 세계와 무형 세계의 애욕을 끊고 교만과 무명을 모두 끊게 될 것이다.
이제 내 그 이유를 설명하리라. 먼 옛날 선목(善目)이라는 벽지불이 있었다. 그는 용모가 단정하고 얼굴은 복숭아 꽃빛 같았으며 눈길이 자상하고 입에서는 웃팔라 꽃향기가 나고 몸에서는 찬다나향 냄새가 났다.
어느 때 선목 벽지불은 때가 되어 가사를 입고 바루를 가지고 바아라아나시이 성에 들어가 걸식하다가 어느 장자 집에 이르러 문 밖에서 잠자코 서 있었다. 그 때에 그 장자의 딸은 어떤 도인이 문 밖에서 잠자코 서 있는데 단정하기 짝이 없고 얼굴은 뛰어나 세상에 드물며 입에서는 웃팔라 꽃향기가 나고 몸에서는 찬다나 향냄새가 나는 것을 보고 그 비구에게 말하였다.
'당신은 얼굴이 단정하고 복숭아 꽃빛 같아서 세상에 드물게 보겠습니다. 나도 처녀로서 얼굴이 단정하여 짝이 될 만합니다. 그리고 우리 집에는 보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사문이 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벽지불은 물었다.
'누이야, 누이는 지금 내 어디를 좋아하는가.'
나는 그 눈 모양을 좋아합니다. 또 입에서 나는 웃팔라꽃 향기와 몸에서 나는 찬다나 향냄새를 나는 좋아합니다.'
그 때에 벽지불은 곧 왼손을 펴고 오른 손으로 그 눈을 빼어 손바닥에 놓고 말하였다.
'네가 좋아하는 눈이란 바로 이것이다. 누이야, 지금 어디를 좋아하는가. 이것은 마치 부스럼과 같아서 탐낼 것이 없다. 또 이 눈에서는 더러운 것이 새어 나온다. 누이야, 알아야 한다. 이 눈은 물거품 같아서 견고하지 않고 허깨비 같아서 진실한 것이 아니건만 세상 사람을 숙이고 미혹하게 하는 것이다.
귀, 코, 혀, 몸, 뜻도 그와 같아서 견고하지 않고 거짓되어 진실하지 않은 것이다. 입은 침 그릇으로서 더러운 물질을 내고 순전히 흰 뼈를 머금었다. 몸은 괴로움의 그릇으로서 없어질 법이요 언제나 더러운 물질을 담은 곳으로서 온갖 벌레가 득실거리는 곳이며, 또 그림 병과 같지마는 그 안에는 더러운 물질이 가득하다. 누이야, 지금 어디에 집착하는가.
그러므로, 누이야, 마땅히 그 마음을 온전히 하여 이것은 허깨비 같고 거짓되어 진실이 아니라고 생각하라. 만일 누이가 눈은 덧없다고 생각하면 모든 집착하는 욕심은 스스로 사라질 것이다. 귀, 코, 혀, 몸, 뜻도 다 덧없다고 생각하면 모든 욕심은 스스로 사라질 것이다.'
그 때에 장자는 곧 두려운 생각이 들어 벽지불 앞에 나아가 사뢰었다.
'나는 지금부터 허물을 고치고 선을 닦고 다시는 욕심을 일으키지 않겠습니다. 원컨대 내 참회를 받아 주소서.'
이렇게 두 번 세 번 수행하기를 맹세하였다.
벽지불은 말하였다.
'그만 그치라, 누이야. 그것은 네 허물이 아니다. 그것은 내 전생의 죄다. 이런 형상을 받아 났기 때문에, 남으로 하여금 나를 보고 욕정을 일으키게 한 것이다. 이 눈을 자세히 관찰해 보라. 이 눈은 <나>가 아니다. 또 나도 그의 것이 아니다. 또 내가 눈을 만든 것이 아니요 그것이 <나>를 만든 것도 아니다. 그것은 없는 가운데서 생긴 것으로서 곧 무너져 없어질 것이다. 그것은 과거나 현재나 미래도 아니요 모두 인연이 모여 된 것이다.
이른바 인연이란 '이것을 인연하여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면 저것이 일어난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즉 눈, 귀, 코, 혀, 몸, 뜻도 그와 같아서 모두 비고 고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누이야, 눈 모양에 집착하지 말라. 눈 모양에 집착하지 않으면 곧 안온한 곳에 이르게 되어 다시는 욕정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누이야, 이와 같이 공부하여야 하느니라.'
이와 같이 벽지불은 그 여자를 위해 네 가지 무상한 법을 말하고 허공에 올라가 열 여덟 가지 신통을 보이고는 제 곳으로 돌아갔다.
그 때에 그 여자는 눈, 귀, 코, 혀, 몸, 뜻을 관찰해 아무 것도 없는 것임을 밝게 하고 한적한 곳에서 이 법을 깊이 생각하였다. 그리고 다시 여섯 가지 감관의 주인이 없음을 깊이 생각하고 네 가지 평등한 마음을 얻었다. 그는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난 뒤에는 범천에 났다.
비구들이여, 알아야 한다. 만일 덧없다는 생각을 닦고 덧없다는 생각을 널리 펴면 욕심 세계, 형상 세계, 무형 세계의 애욕을 모두 끊고 교만과 무명이 모두 없어질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공부하여야 하느니라."
그 때에 비구들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하여 받들어 행하였다.
대정장 2/724 상-중 ;『한글 증일아함경』2, pp. 128~130.
'아함경 주제별 정리 >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상(無常) 7.수명은 매우 짦으니, 부지런히 범행을 닦아야 한다. (0) | 2013.08.27 |
---|---|
무상(無常) 6.이 산도, 여기사는 사람들도, 여래도 시간속에 사라진다. (0) | 2013.08.27 |
무상(無常) 4.항상 덧없다는 생각을 닦으면 욕심이 없어진다. (0) | 2013.08.27 |
무상(無常) 3.무명을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보아야 탐욕을 떠나 밝음이 생기겠는가? (0) | 2013.08.27 |
무상(無常) 2.모든 것은 덧없다. (0) | 201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