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향사과 2.아나함의 사후(사리불의 설법) 어떤 것을 내결이 있는 사람인 아나함으로서 이 세간에 되돌아오지 않는다고 하는가? 만일 어떤 사람이 금계(禁戒)를 닦아 익혀서 구멍이 뚫린 적도 없고 이지러짐도 없으며, 더러움도 없고 혼탁함도 없으며, 지극히 많은 어려움도 없어서, 성인에게 칭찬을 받고 잘 닦고 잘 갖추었기 때..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2013.08.27
사향사과 1.四果 사문(沙門)에게 네 가지 과(果)가 있다. 무엇이 그 네 가지인가? 수다원과․사다함과․아나함과․아라한과이니라. 어떤 것을 수다원과라고 하는가? 세 가지 결(結)을 끊은 것을 수다원과라고 말한다. 어떤 것을 사다함과라고 하는가? 세 가지 결을 끊고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2013.08.27
아라한 5.바른 지혜를 해탈한 후에는 또 무엇을 공부하는가? 만일 아라한 비구로서 모든 번뇌가 이미 다 끊어졌고, 할 일을 이미 마쳤으며, 온갖 무거운 짐을 다 벗어버려, 자기 자신이 이익을 얻고 모든 존재의 결박을 끊으며 바른 지혜로 잘 해탈하였으면, 그 때에는 또 무엇을 공부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시바(외도출가자)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2013.08.27
아라한 4.아라한은 뱀에 물려 죽어가는 순간에도 안색이 온화하다. 이 때 우파선나(優波先那)라는 비구는 왕사성의 한림(寒林) 속 화장터에 있는 사두암(蛇頭巖) 밑의 가릉가행처(迦陵伽行處)에 있었다. 이 때 존자 우파선나는 혼자 굴 안에서 좌선하고 있었다. 이 때 길이가 한 자쯤 되는 모진 독사가 위쪽 돌 틈에서 나와 우파선나의 몸에 떨어졌다. 우파..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2013.08.27
아라한 3.번뇌가 다한 아라한은… 그 때 존자 사리불은 이른 아침에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고 사위성으로 들어가 걸식하였다. 걸식한 뒤에는 성을 나와 다시 정사로 돌아왔고 가사와 발우를 챙겨서는 염마가 비구가 있는 곳으로 갔다. 이 때 염마가 비구는 멀리서 존자 사리불이 오는 것을 보고는 자리를 펴고 발을 씻고..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2013.08.27
아라한 2.아라한으로서 행하지 않는 열 한 가지 법 때에 많은 사람들은 서로 이끌고 상사리불에게 가서 땅에 엎드려 발아래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 물었다. "혹 아라한으로서도 법복을 버리고 세속 생활로 도로 돌아가는 수가 있습니까." 상사리불은 대답하였다. "아라한으로서는 법복을 버리고 세속 생활로 도로 돌아가는 일은 없느니라." ..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2013.08.27
아라한 1.아라한이란? 아라한(阿羅漢)이라고 말들 하는데 어떤 이를 아라한이라 합니까? 사리불이 말하였다. 탐욕이 이미 끊어져 남음이 없고 성냄과 어리석음이 이미 끊어져 남음이 없으면 이런 이를 아라한이라 합니다. 또 물었다. 사리불이여, 닦아 익히고 많이 닦아 익히면 아라한이 되는 길이 있고 방법이..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2013.08.27
여래 11.여자의 몸으로는…… '대개 여자의 몸으로는 전륜성왕이 되려 하여도 되지 못하고 제석이 되려 하여도 되지 못하며 범천왕이 되려 하여도 되지 못하고 마왕이 되려 하여도 되지 못하며 여래가 되려 하여도 되지 못하느니라.' 夫處女人之身。求作轉輪聖王者。終不獲也。求作帝釋者。亦不可獲也。求作梵天王..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2013.08.27
여래 10.부처님에 대한 험담 “저는 들었습니다. 사문 고오타마는 일체의 모든 제사의 법을 꾸짖고 모든 고행하는 사람을 욕하여 더러운 것이라 하신다고. 고오타마시여, 만일 어떤 사람이 사문 고오타마는 일체의 모든 제사의 법을 꾸짖고 고행하는 사람을 욕하여 더러운 것이라 한다고 하면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은..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2013.08.27
여래 9.부처님을 받들어 섬기고 예배하는 다섯 가지 공덕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슈라아바스티이의 제타숲 <외로운 이 돕는 동산>에 계시면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부처님을 받들어 섬기고 예배하면 다섯 가지 공덕이 있다. 다섯이란 무엇인가. 첫째는 얼굴이 단정하고 둘째는 음성이 좋으며 셋째는 재보가 많고 넷째는 장자 집에 .. 아함경 주제별 정리/교리 2013.08.27